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현실 기반 발파소음 및 진동 시뮬레이션 UI 설계

        이동윤(Dongyoun Lee),이상규(Sang Gyu Lee),서명배(Myoung Bae Seo)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1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0 No.4

        최근 국가적으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도심 내의 터널 굴착공사 시 진동, 소음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인근 거주자에 불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대비하고자 건설사는 공사계획단계에서부터 인근지역의 주민들과의 협의, 제기된 민원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 등으로 현장내 소음 및 진동 관리계획을 수립한다. 그러나 소음 및 진동 관리계획 수립에도 불구하고, 공사기간 동안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민원이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계획단계에서부터 인근지역 주민들 대상으로 현실과 몰입감이 높은 소음 및 진동 시뮬레이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해결책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실감과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발파소음 및 진동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개발에 앞서 시스템 사용의 용이성 및 편이성을 고려한 UI를 설계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가상현실 기반 발파소음 및 진동 시뮬레이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하며, 최종 결과물은 도심 내의 터널 굴착공사계획 수립 및 민원대응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the new subway project called Great Train Express is in progress. During the tunnel excavation in the center of city, vibration and noise are generated, which make an uncomfortable effect on nearby residents.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situation, the construction company generally establishes a noise and vibration management plan at the site from the construction planning stage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residents of nearby areas and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for complaints raised. However,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a noise and vibration management plan, civil complaints have not been fundamentally resolved due to occurring noise and vibr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in progres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s, one of the best solution is to provide noise and vibration simulation technology with a high sense of reality and immersion for residents of nearby areas. Considering the ease and convenience of using the system, we intend to develop a UI(User Interfac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system that can directly experience the air blast and vibra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based air blast and vibration simul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IPA를 활용한 건축 설계단계 VR 적용가능업무 평가

        이동윤(Dongyoun Lee),서명배(Myoung Bae Seo)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0 스마트미디어저널 Vol.9 No.4

        4차산업혁명 대표적인 기술인 VR(Virtual Reality) 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분야에서도 실무에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건축분야에서 VR은 안전 및 실무 교육용, 건축물 홍보용 등 사용자가 단순하게 3D 모델링을 가상현실에 구현하여 체험하는 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관련 연구로는 재난안전 대피 시뮬레이션, 설계교육용 컨텐츠 등 컨텐츠 및 가시화 시뮬레이션 개발에 대한 연구하는 수준이다. 실무에서 요구되고, 적합한 VR 기술 개발 및 방향성 제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분야에 적합한 VR 기술 개발하기 앞서 적용가능한 업무를 도출하여 전문가들의 판단을 근거한 정량적인 평가 및 분석을 하고자 한다. 단, 현재 건축 전과정에서 VR의 필요성 및 적용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건축 설계단계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도출된 건축 설계단계 VR 적용가능업무는 9개이며, 이들 업무를 대상으로 기대수준, 중요도, 적용도를 설문조사하여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평가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축 부재 설계 검토업무, 관련 이해관계자간의 의사결정을 위한 협업 업무에 대하여 VR 기술 및 컨텐츠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 및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건축 설계단계에 적용할 VR 기술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In the construction, VR(Virtual Reality) is simply used by users to implement and experience 3D modeling in virtual reality, such as safety, practical education, and promotion. The VR related research includes content development and visualization simulation such as disaster safety evacuation simulation and design education contents. Research on developing suitable VR and presenting directionality is insufficient, which is required in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prior to the development of VR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quantitative evalua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judgment of experts are performed. Howev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design stages, which are believed to have high needs and application effects of VR during the lifecycle of construction. There are nine tasks that can be applied to VR in the design stage, and these tasks were evaluated and analyzed using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by surveying the level of expectations, importance, and performance. As a result, it was evaluated and analyzed that VR and content development was necessary for the review of member interference and collaboration work for decision making among related stakehol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R to be applied in the design stage to the future.

      • KCI등재
      • QFD를 이용한 비정형 거푸집 제작 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이동윤 ( Lee Dongyoun ),홍준호 ( Hong Junho ),조훈희 ( Cho Hunhee ),강경인 ( Kang Kyung-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7 No.1

        In free-formed form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s deteriorated due to the expensive form, the long manufacturing period, and the high degree of construction difficulty.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there is a need to research improvement from the phase of manufacturing free-formed form.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rive significant technical characteristics using QFD approach as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manufacturing system of the free-formed form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free-formed construction formwork. This study employs the QFD to reflect users` needs into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 correlation between users` requirements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then weights them by their importance.

      • 엔지니어링 복합소재를 활용한 갱폼의 경량화

        이창수 ( Lee Changsu ),이동민 ( Lee Dongmin ),이동윤 ( Lee Dongyoun ),조훈희 ( Cho Hunhee ),강경인 ( Kang Kyung-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8 No.1

        Despite of its advantange on shortening framework period of a super-tall building, gangform is prone to high safety risk due to its heavy weight during operation. Thus,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a lightweight gangform made of engineering composite material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angform, the proposed gangform showed greater performance not only in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on-site, but also in constructability and environmental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served as the basis for developing the lightweight gangform in future.

      • KCI등재

        Sloped-LOM 방식 3D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형 EPS 거푸집 제작 공법 개발

        안희재,이동윤,지우종,이우재,조훈희,Ahn, Heejae,Lee, Dongyoun,Ji, Woojong,Lee, Woojae,Cho, Hunhee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0 No.2

        Recently, free-formed construction technology is becoming a new measure of representing technological superiority and sociocultural ingenuity. However, the CNC processing technology utilizing the existing wood and iron form has limitations in terms of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terial cos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thod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free-formed EPS form using S-LOM-based 3D printing technology were suggested. Furthermore, through the mock-up tes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time and precision with CNC milling technology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S-LOM-based 3D printing technology has reduced manufacturing time about 57.4% compared to CNC milling technology during the free-formed EPS form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compared to the design drawings, the maximum error value was 20.5mm, proving the applicability of S-LOM-based 3D printing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LOM method and the activation of S-LOM method by verifying the applicability of S-LOM-based 3D printing technology. 최근 비정형 건축물이 한 나라의 기술적 우월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척도로 부상하기 시작하면서 비정형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목재, 철재 거푸집 등을 CNC 기술로 가공하여 비정형 거푸집을 제작하는 방식은 제작시간과 재료 비용 측면에서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LOM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을 통한 비정형 EPS 거푸집 제작 공법을 개발하고 제작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물 모형 시험을 통해 기존 CNC 밀링 기술과의 제작시간 및 정밀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S-LOM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할 경우 CNC 밀링 기술 대비 약 57.4%의 제작시간 단축 효과가 있었다. 또한 S-LOM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의 경우 설계도면 대비 약 20.5mm의 오차의 최대 절댓값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푸집 제작시간과 정밀도 측면에서 S-LOM 방식 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여, S-LOM 방식 기술의 개선 및 공법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건설장비의 탄소배출량 산정에 미치는 유휴시간의 영향 분석

        오상민 ( Oh Sangmin ),이동윤 ( Lee Dongyoun ),강고운 ( Kang Goune ),조훈희 ( Cho Hunhee ),강경인 ( Kang Kyung-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7 No.1

        Effect of variable factors on carbon emissions in construction industry is hard to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analyzies effect of variable factors on carbon emissions. This study shows importance of variable factors and emphasizes need of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s considering variable factors.

      • 가변요인을 고려한 철골세우기 작업의 탄소배출 인과지도 개발

        남철우 ( Nam Chulu ),이동윤 ( Lee Dongyoun ),조훈희 ( Cho Hunhee ),강경인 ( Kang Kyung-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6 No.2

        Because of variable factors in construction phase, measurement of carbon emission in construction industry is more difficult than in other industries. To enhanc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the impact of variable factors must be considered. In this pap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variable factors in steel erection work, a carbon emission casual map was developed. The map demonstrates that the considerations of variable factors in measurement of carbon emission improves the accurac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arbon emission casual map and carbon emission measurement model for the entire construction ph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