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 소규모 환경건설회사의 제출/승인 절차 분석에 관한 사례 연구

        이도균,Lee, Do Gyun 인천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17 도시과학 Vol.6 No.2

        A submittal, as a part of three main project management processes: production control, submittals and change orders, is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from the subcontractor to the general contractor to the owner, architect, and structural engineer, for review and approval. The purpose of the submittal process is for submittals to be approved in order to start construction. This benefits the contractor by ensuring that the finished project will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owner. This paper analyzed a case study regarding the submittal process for the local-based environmental construction company, which typically works as a subcontractor and may hire other subcontractors for additional work when applicab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oughly evaluate a project management process and understand the submittal process through the study of a case involving the local company.

      • KCI등재후보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연구

        이도균,이대식,성규선,변상해,Lee, Do Kyun,Lee, Dae Sik,Sung, Kyu Sun,Byun, Sang Hae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병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 문제해결능력,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군${\bigcirc}{\bigcirc}$ 부대에서 복무를 하고 있는 병사 중에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자살징후 대상 병사와 부대로 부터 자살징후가 있다고 분류된 병사, 본인이 자살 충동을 느낀다고 본 프로그램에 참가의사를 밝힌 병사 등 총 64명을 대상으로 총 16회기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였다.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실시 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대처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고 우울과 자살생각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suicide prevention affects private soldiers' stress-coping method, problem-solving ability, depression, and idea of suicide.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hypothesis, Air Force ${\bigcirc}{\bigcirc}$ Unit has previously classified 64 soldiers, who have signs of suicide, and are assorted to have suicidal symptoms by the Unit, and think that they have such symptoms and need our program. Following that, overall 16 time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m. For a statistical process of collected materials afte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Soldiers suicide prevention program, we practiced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Paired t-test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of SPSS 12.0 for Windows. In result, suicide prevention program shows positive effects upon improving stress-coping method and problem-solving ability as well as reducing depression and suicide thoughts.

      • 농업계 특수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따른 정신병리 차이와 개인상담의 효과검증

        이도균,노환국,정달상,안진선,Lee, D.K.,Nho, W.G.,Jeong, D.S.,An, J.S.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교육개발센터 2017 현장농업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al resear Vol.19 No.1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on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e-specialized college students, in a specific educational environment, consulting some students who show maladjusted characteristics, verifying its effects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college life instructions. The complete survey MMPI was conducted for 676 freshmen and juniors attending K agriculture-specialized college located in Jeollabuk-do. To analyze the results, basic statistic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overall clinical scale was lower than 50 points, standard point, and freshmen showed higher depression (D), hysteria (Hy) and psychasthenia (Pt) in general. Such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other study results. It is considered an anxiety in early stage, resulted from a living in a dormitory. For the juniors who came back from one-year practice, anxiety about employment seems little because they are already employed. Second, The effects of personal consultation for maladjusted students were proved (p<.01). The students who got consultation showed improvement effect from 'very bad condition' to 'considerable depression', which is low scor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preventing from any accident, by screening maladjusted students who are supposed to learn in a specific situation, by relieving their symptoms through consultation and letting them concentrate on learning.

      • KCI등재

        인도네시아 갈탄의 촤-CO2 촉매가스화 반응특성연구

        이도균 ( Do Kyun Lee ),김상겸 ( Sang Kyum Kim ),황순철 ( Soon Choel Hwang ),이시훈 ( Si Hoon Lee ),이영우 ( Young Woo Rhee ) 한국화학공학회 201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2 No.4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갈탄인 로토(Roto) 탄의 촤(char)-CO2 촉매가스화 kinetic 분석을 열중량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촉매는 Na2CO3, K2CO3, CaCO3 및 천연광물 촉매로 dolomite을 선정하였으며, 석탄과 촉매의 물리적 혼합을 통하여 촤를 제조하였다. 촤-CO2 촉매가스화반응은 850 ℃ 에서 CO2 농도가 60 vol%, 촉매 함량은 Na2CO3를 7 wt% 혼합할 때 가장 빠른 탄소전환율을 보여주었다. 750~900 ℃ 등온조건에서 촤-CO2 촉매 가스화 반응결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탄소전환율 속도가 빨라졌으며, 기-고체 반응모델 shrinking core model(SCM), volumetric reaction model(VRM), modified volumetric reaction model(MVRM)을 실험결과에 적용하였을 때, MVRM이 로토 탄의 가스화반응 거동을 잘 예측하였다. 특히 Arrhenius plot을 통한 활성화에너지는 Na2CO3와 K2CO3를 혼합한 촤의 활성화에너지가 각각 67.03~77.09 kJ/mol, 53.14~67.99 kJ/mol으로 우수한 촉매 활성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kinetics on the char-CO2 gasification reaction.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char-CO2 catalytic gasification of an Indonesian Roto lignite. Na2CO3, K2CO3, CaCO3 and dolomite were selected as catalyst which was physical mixed with coal. The char-CO2 gasification reaction showed rapid an increase of carbon conversion rate at 60 vol% CO2 and 7 wt% Na2CO3 mixed with coal. At the isothermal conditions range from 750 ℃ to 900 ℃, the carbon conversion rates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ree kinetic models for gas-solid reaction including the shrinking core model (SCM), volumetric reaction model (VRM) and modified volumetric reaction model (MVRM)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data against the measured kinetic data. The gasification kinetics were suitably described by the MVRM model for the Roto lignite. The activation energies for each char mixed with Na2CO3 and K2CO3 were found a 67.03~77.09 kJ/mol and 53.14~67.99 kJ/mol.

      • KCI등재

        전주국제영화제 방문객의 선택속성과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이도균(Lee do Kyun),하정훈(Ha jung hoon) 한국영화학회 2014 영화연구 Vol.0 No.62

        About seventy Film festivals are held in Korea.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Bu-Cheon I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 are good examples. With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so many research associate Film festival with festival arttributes. But Film festivals" basic is watching movies. There aren"t enough studies that study on satisfaction of visitors at Film festival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festival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festival. The main results were that (1) Film select properties based on visitor characteristics will show the difference. (2) Event service quality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ors of the festival satisfaction. (3) Participated in the film propertie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ors of the festival satisfaction. (4) Film satisfaction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return visits for the visitor. (5) Film satisfaction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or"s recommend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영화 속 다문화 가정의 재현 방식에 관한 연구 - 영화 <완득이>를 중심으로 -

        이도균 ( Do Kyun Lee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4

        최근 한국 사회에서의 가족문제는 다양한 형태로 급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족 문제는 사회문제를 불러오는 근본적 원인을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가족문화에 대한 담론은 예술분야와 대중문화와도 연결고리를 형성한다. 대중문화의 중심에 있는 영화는 영상언어를 바탕으로 가족문화의 변화에 대해 재현한다. 특히 최근의 한국 영화의 경향을 살펴보면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영화를 이끌어가는 중심 내러티브에 있어 가족문제를 서사의 중심에 위치시키며 사적영역의 성격이 강한 가족문제를 공적영역으로 확장하며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을 시도 한다. 영화에서 드러나는 서사와 양식체계를 통해 가족의 해체적 원인과 위기, 그리고 문제의 해결을 통한 재결합 과정을 통해 현재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가족문제를 스크린 밖으로 꺼내어 재생산해 냄으로써 이를 사회적 담론으로 이끌어 낸다. 영화 <완득이>에서 재현되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모습을 통해 바라본 한국사회의 가족문화는 결국 사회체제가 안고 있는 해체의 위기 속에서 가족집단의 화해와 봉합을 통해 다양한 문화의 충돌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일반적인 정상성에서 벗어난 다문화가정을 비롯해 장애인, 이주민, 외국인 노동자 등 사회적 타자로 인식되는 소외계층과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를 우회적으로 지적한다. 이에 영화는 모든 계층이 하나 되는 통합과정을 결말로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통합을 이끌어 내며, 모든 이들이 제도권 안에서 함께 할 때 비로소 완성된다. 영화에서 표현된 다문화가정의 재현은 우리 현실사회의 다양한 문화성을 재생산해 낸 하나의 사회구조를 의미한다. 영화 <완득이>를 관람하는 행위는 단순한영화관람 형태를 지나 우리가 다문화가정, 혹은 영화에서 드러내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자신들의 시선이 된다. 시선은 곧 우리의 사회적 현실을 뒤돌아보게 만드는 계기가 되며, 새로운 시각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 우리는 사회를 되돌아보는 과정 속에서 전통성이라는 관습과 규범에 가려진정한 의미를 찾지 못한 것은 아닌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The family affair in Korean society is one of the most rapidly changing social phenomena and it provides the fundamental cause in various social problems. And the discussion on family culture is linked with art and popular culture. The film, which are in the center of the popular culture, represents the changes in family culture with the basis of graphic languages. Through researches on recent changes in Korean films, these tendencies seemed strengthened. It places the family affair in the center of narrative and tries new perspective with extending family affairs, which are in private area, into public area. It draws the family affairs in Korean society out of the screen and reproduces into social discussions through the process of deformation, crisis and reunion in narratives and structures in styles, which revealed in films. The family culture of Korean society, which represented as a multi-cultural family in the film <Punch>, tries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and the collision between various cultures through forgiving and reuniting of family groups in the crisis of deformation. And it indirectly reveals the social problem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disabled people, immigrants and foreign workers who are regarded as social aliens away from normality. So the film shows the ending in a reunion of all different social groups so that derives the social integration, and completes when everyone dwells in the system properly. The represen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the film means a social structure which reproduced various cultural aspects in our society. The action of watching the film <Punch> is not just a movie-going but making own perspectives on various social problem which revealed in the film. And those perspectives give them a chance to look back the reality in our society and motivate new approaches. We should consider the true meanings which might concealed with traditions or conventions through the process of looking back our society.

      • KCI등재

        시네리터러시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설계 모형 개발: 3년제 전문대학교 영화영상과를 중심으로

        이도균 ( Lee Do Kyu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4 현대영화연구 Vol.20 No.1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상은 생각을 넘어 상상을 만들어 내는 창의적인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문제해결 능력, 소통 능력, 창의적 능력을 갖추고 있는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기초학습 능력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모든 교육과 학습의 기본 능력은 읽기에서 시작하여 쓰기, 말하기 등으로 연결되며, 기본적인 읽기 능력의 한계는 다른 학습 능력의 부재로 나타나고 있다. 전문대학 영상계열에서 글쓰기에 대한 중요성은 학습자나 교수자 모두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글을 쓰는 과정은 매우 어려운 과정이며, 단기간의 교육을 통해 급속한 향상을 보이기 어렵다.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며, 기초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도의 글쓰기로 연계될 수 있는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영화를 바라보는 관점과 방식의 변화를 통해 글로 쓰고, 읽고, 말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를 감상하고, 이해하는 과정은 글쓰기, 말하기를 통해 표현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전문 자료와 정보를 읽어 내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교수학습법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시네리터러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법 개발의 필요성과 전문대학 상황을 고려한 적절한 전공 교과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시네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시네리터러시 능력 향상을 위한 요소별 향상 방안, 연구 동향을 통해 시네리터러시 능력 향상 논의를 검토하고, 요소별 적합한 교수학습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모형설계는 2단계 과정을 통해 단계별로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고, 성장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2C 활동을 통해 단계별로 1C-이해(comprehension): 이해와 분석 2C-해석(construe): 해석과 재해석 활동을 진행하며, 단계별 W-O-R-D 활동인 ① Watching/Writing, ② Option/Objectivity, ③ Reading/Review, ④ Discussion 학습으로 이어지는 모형을 설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전체 모형뿐만 아니라 단계별로 모듈화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적용하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할 수 있는 기초학습 능력, 토론 토의 능력, 종합적 학습 능력, 창의적 아이디어 등의 역량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human resources requir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 creative talents who create imagination beyond thinking. It can be said that what is needed to foster convergent talents with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and creative abilities starts with basic learning skills. The basic skills of all education and learning start with reading and are connected to writing and speaking, and the lack of basic reading skills is manifested in the lack of other learning skills. The importance of writing in community college imaging is recognised by both learners and teachers. However, writing is a very difficult process, and it is difficult to show rapid improvement in a short period of training. There is a need for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eliminate vague fears of writing, cultivate basic writing skills, and lead to advanced writing. It can be said that writing, reading, and speaking begin with a change in perspective and the way we look at film. Therefore, the process of watching and understanding films should be expressed through writing and speaking,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process of reading professional materials and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improve cine-literacy skills and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can improve cine-literacy skills in appropriate major subject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vocational colleges.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cine-literacy, improvement methods for each element of cine-literacy, and research trends to review discussions on improving cine-literacy, and to consider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ach element. The model design was a two-stage process to consider learner levels and induce growth. Through the 2C activities, learners progress from 1C-comprehension: understanding and analysing → 2C-construe: Interpretation and reinterpretation → 3C-creation: We designed and developed a model that leads to W-O-R-D activities of ① Watching/Writing, ② Option/Objectivity, ③ Reading/Review, and ④ Discussion learning in stages. The developed model is not only a complete model, but also a modularised model that can be implemented step by step. By applying the developed model,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ability to self-directed learning, basic learning ability, discussion and debate ability, comprehensive learning ability, and creative ideas can be improved.

      • KCI등재

        영화관 서비스품질이 브랜드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도균(Lee, Do Kyun),이규정(Lee, Gyu Jeong)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6

        한국영화 산업에서 천만 영화의 추이를 살펴보면 천만 이상의 관객이 관람한 국내·외 17편의 영화 중 13편은 한국영화이며, 최근 5년 사이의 11편의 천만 영화 중 8편을 한국영화가 차지하고 있다. 이는 한국영화 산업의 양적인 성장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 속에 영화를 감상하게 되는 멀티플렉스상영관의 산업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멀티플렉스상영관은 두 개 이상의 스크린을 가진 영화관으로 관객의 영화 선택을 용이하게 하며, 상영관이 제공하는 최신 시설로 감상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특성은 국내 4개 브랜드에서 유사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차별성을 통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소비자가 선택하는 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멀티플렉스상영관의 서비스품질과 물리적환경이 브랜드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 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멀티플렉스 상영관 서비스 품질 3개의 요인 중 직원서비스와 보조서비스는 영화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멀티플렉스상영관의 물리적 환경 요인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 되었다. 셋째,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멀티플렉스상영관을 방문하는 고객을 위해 새롭고 다양한 물리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통해 각각의 브랜드만의 고유성과 차별성을 소비자에게 상기시켜야 할 것이다. Examining the changes in ten-million movie in Korean movie industry, 13 movies of 17 internal and external movies drawing over ten million viewers, and 8 movies of 11 ten-million movies are Korean movies during these five years. This certified quantitative growth of Korean movie industry. It is judged that an industrial study of multiplex cinema where people see a movie is needed in this growth. Multiplex cinema is a theater having more than 2 screens, so makes viewers choose a movie easily, and can raise the quality of appreciation through the most modern facilities multiplex cinema offers. However, characteristics of multiplex cinema have been similarly offered by 4 domestic brand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 more competitive through the distinction in the face of stiff competition and to understand the elements viewers choose. For thi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n brand image and behavior intention of servic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of a multiplex cinema. The results of research work are as follows. First, staff service and auxiliary service of 3 elements of service quality in multiplex cinema have an impact on a brand image of theater. Second, it was deducted that physical environment element of a multiplex cinema has an impact on brand image. Third, brand image of a multiplex cinema has an effect on a behavior intention of consumers. It is so important to offer new and various physical environments and service for customers who visit a multiplex cinema. Through this, characteristic and distinction of each brand should make consumers remember it.

      • KCI등재후보

        실사영화에서 나타나는 3D특수효과의 역할에 관한 연구 -영화 <아바타>를 중심으로

        이도균 ( Dokyun Lee ),이종한 ( Jonghan Lee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0 예술과 미디어 Vol.9 No.2

        영화 <아바타(Avatar)>로 시작된 3D 영화의 돌풍 은 영화계에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 입체영 화라는 기술로 이미 관객들에게 선을 보인 기술이 지만 지금에 와서 다시 각광을 받고 있다. 그 이유 에 중심에는 역시 제임스카메론 감독의 <아바타> 가 있다. <아바타>가 3D영화의 돌풍을 몰고 온 이 유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영화의 내러티브에 충 실히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3D기술의 화려함을 관 객들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영화의 내러티브에 철저히 종속 시킨 것이다. <아바타>를 통해 알 수 있는 중요한 것은 3D 기술의 적용 유무가 아니라 영화와 3D의 기술 활용의 적절한 조화이다. 과거 실재와 같은 입체효과에 관객들이 반응하였다면, 지 금의 관객들은 3D기술의 적용이라는 새로운 시도 는 단순히 보는 대상이 아닌 경험하는 대상이라는 변화된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 문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은 실사영화에서 사용되어지는 3D 애니메이션이 실사영화에 미치는 의미 와 역할에 대해 영화<아바타>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자 한다. 영화<아바타>는 새로운 가상현실과 현실을 만들어내(이분화 하였고), 마치 한 시대를 공유하는 것처럼 현실(실사)과 가상현실을 오가면서 수용자에 게 상상력을 증폭시켜주고 더 리얼하고 능동적인 내러티브를 전달하고 있다. <아바타>는 3D 입체 영상을 통해 가상공간을 만들어내고 재현한다. 이질 적일 수 있는 이러한 부분을 3D 입체 영상을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 시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다. 시공간을 넘나들고 표현의 한계가 사라지고 있는 디지털 영화의 장점을 적절히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3D 입체 영상은 앞으로 더욱더 극 사실적인 가상공간을 만들어 낼 것이며 관객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다. 또한 디지털 영화가 모든 영화 시장을 이끌어 가게 되었고 영상에 새로운 시도들은 관객들을 수동적인 관람이 아닌 가상공간 체험이라는 능동적인 경험으로 이끌 고 있다. 이러한 능동적인 경험은 일반적인 스토리와 미디어의 기술이 더해져 미래의 새로운 세계를 제시하기도 한다. 3D 기술을 뛰어넘어 4D, 5D로의 발전 가능성을 한층 밝게 해주는 것이다. The new wave of 3D films launched by <Avartar> has become an issue in the film-making community. Although that is not the first movie produced by 3D technology, 3D movies have lately come into spotlight again due to the movie produced by James Cameron. The reason is that the narrative of the movie is absolutely backed up by the advanced digital technology. That is, the film didn`t simply try to show viewers the splendid 3D technology, but the technology is actually the foundation on which its narrative is built. What primarily matters in relation to that movie is not the 3D technology itself but the harmony between it and the technology. In the past, movie viewers just responded to 3D effect itself, but today`s movie viewers regard the 3D technology as what`s experienced, not as what`s merely se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3D animation used in an actuality film, especially <Avartar> for the film. <Avartar> generates reality and a virtual reality (and drew a line between the two). And that movie conveys a realistic and positive narrative and enriches the imagination of receivers by moving from the reality to the virtual reality and vice versa as if the two belonged to the same age. The movie generates and reproduces a virtual space by utilizing 3D stereoscopic images. Actually, a virtual space is likely to look strange and foreign, but the movie produces synergy effects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 of 3D stereoscopic images and playing up their strength. In a word, that movie makes good use of the benefits of digital films such as an absence of time and spatial restrictions and elastic potentials of expression. Thanks to the advance in digital technology, 3D stereoscopic images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generation of more realistic virtual spaces, and there will be more efforts to interact with viewers. Digital films take initiative in the film market, and movie viewers will have more chances to gain positive experiences with virtual spaces instead of merely watching films in a passive manner. A combination of general stories and fantastic media technology will open a new chapter for the future, which is expected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e film industry from 3D technology to 4D or 5D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