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촌 소하천 건천화 방지와 하천유지용수 공급을 위한 수문 수질 모니터링

        윤정혜 ( Jung Hye Yoon ),이예은 ( Ye Eun Lee ),김동현 ( Dong Hyeon Kim ),김상민 ( Sang Min Kim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본 연구에서는 농촌 소하천의 적정 환경유지용수 산정을 위한 기초조사로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에 위치한 봉현저수지를 수원으로 하는 봉현천과 하이저수지를 수원으로 하는 석지천을 시기적 우기이면서 농번기인 2011년 3월에서 9월까지, 2012년 3월에서 10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8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하천조사와 수문,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비관개기와 관개기로 구분하여 유량측정을 분석한 결과, 관개기에는 선행강수량이 비교적 많았으나 7월을 제외한 기간에는 대부분의 측점지점에서 유량을 측정할 수 없을 만큼 하천이 메말라 있었고, 비관개기에는 선행강수량이 적거나 없어 전 지점의 계측이 불가능 하였다. 봉현천 530m, 석지천 750m 지점과 같은 상류부의 경우 항시 일정한 유량이 있었으나, 봉현천 4,190m와 석지천 2,000m, 2,810m 지점은 7,8월에도 메말라 있었으며, 하류부 갈수록 유량이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농촌 소하천의 건천화 현상으로 하천유지용수의 부족을 나타내며, 향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그지역에 맞는 하천유지용수를 산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을 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공공복지 슈퍼비전 포커스 집단연구 - 팀원 슈퍼바이지 중심 -

        윤정혜 ( Jung-hye Yoon ),한정은 ( Jeong-eun Han ) 한국사회복지슈퍼비전학회 2021 슈퍼비전과 실천연구 Vol.6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7급, 8급, 9급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서 사회복지와 슈퍼비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공공복지 슈퍼비전 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제도 및 사회복지슈퍼비전에 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인천지역 사회복지전담공무원 26명을 5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포커스 집단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슈퍼바이지인 “나”라는 이슈에 ‘슈퍼비전이란 무엇인가’, ‘슈퍼비전 경험’, ‘원하는 슈퍼비전’, ‘슈퍼비전이 필요했던 순간’, ‘전문성을 높이는 방안’의 5개 상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총 26개의 하위범주들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공공복지 슈퍼비전 체계 구축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공공복지 분야의 사회복지슈퍼비전 제도의 공식적 업무체계 내 도입이 시급하며, 신입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사회복지 가치, 윤리 등 사회복지사 정체성을 갖출 수 있는 교육 및 슈퍼비전 기초교육이 요구된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슈퍼비전체계 구축의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강화와 함께 슈퍼비전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슈퍼바이저의 자격 기준 및 슈퍼바이저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이 확보되어야 실질적 슈퍼비전 체계구축에 대한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This research purpose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upervision system by conducting the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stand social welfare and supervision of the 7th, 8th, and 9th grade social welfare government officials. In this regard, the literature in terms of social welfare government officials and social welfare supervision were reviewed.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the five groups of 26 social welfare government officials in Incheon. As a result of this study, five top categories including “what a supervision is, a supervision experience, a desired supervision, the moment when supervision is needed, and the way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were generated from the supervisees’ perspectives, “I”.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o introduce the social welfare supervision system in the public welfare field urgently, and supervision essential education to empower social worker’s identity of new social welfare government officials in social welfare value and ethics.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 realistic alternative for the establishment of a supervision system to reduce job stress. Moreover, it is proposed to develop a supervision curriculum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social welfare government officials. In this context, it is suggested that the practical social welfare supervision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on the legislation including the supervisor qualification criteria and assure the incentives for supervisors.

      • KCI등재

        여성근로자의 출산 후 휴직 사용과 이후 직장복귀에 대한 연구: 일자리특성을 중심으로

        정한나 ( Hanna Jung ),윤정혜 ( Jeong-hye Yoo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0 여성경제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한국 여성 근로자의 출산에 따른 휴직사용과 사용 후 직장복귀 특성을 분석한다. 한국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는 기업규모와 임금수준을 중심으로 고용보험 DB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기업 근로자의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률은 높지만 복직률은 낮았다. 제도는 갖추어져 있더라도 일-가정 양립하기 어려운 사내문화, 그로 인해 수반되는 육아문제 등을 이유로 육아휴직 사용 이후 복직이 어려운 현실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고임금 근로자는 육아휴직 사용 확률은 낮지만 복직 확률은 높았다. 한편 중소기업 근로자는 휴직 사용률은 낮지만 사용을 한 경우 복직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출산 이전에 일을 그만 둔 근로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해석이 요구된다. 한국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 설계와 집행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use of maternity leave and the return to work after childbirth focus on the firm size and wage level using the Korean Unemployment Insuranc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was high in the large firm workers. On the other hand, SME workers had a low rate of maternity leave and parental leave, but the return to work was high. If SME workers receive the benefits,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y will be reinstated without a career interruption, so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SME workers to use their leave. On the other hand, large companies seem to have difficulty in return to work because of the competitive atmosphere, the accompanying childcare problems, and the opportunity cost due to the difficulty of reinstating the place due to the place being replaced. In other words, the policy structure and execution based on the dual labor market structure of Korea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 밭 비점오염 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실트펜스와 식생밭두렁 포장실험 연구

        이예은 ( Ye Eun Lee ),윤정혜 ( Jung Hye Yoon ),김상민 ( Sang Min Kim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이용하여 밭 시험포장에서의 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북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에 시험포장을 설치하고 포장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밭 상단부의 경사를 9 %로 측량을 하고 각 시험구 크기를 가로 5 m, 세로 22 m로 실트펜스, 식생밭두렁, 대조구 각 1개씩. 하단에 3 %의 경사로 가로 15 m, 세로 15 m 크기의 실트펜스 1개로 구성하였다. 각 시험구별로 산출된 유출수를 채수하여 pH, NO<sub>3</sub><sup>-</sup>-N, BOD, SS, DO, Turbidity, T-P, T-N, NH<sub>4</sub><sup>+</sup>-N, COD, DOC, PO<sub>4</sub>-P와 같은 12개의 수질항목별 오염물질 농도에 대해 조사하였고, 실트펜스의 경우 초기 유출시 농도는 각각 5.9, 42.6, 1.1, 6.00, 3.22, 0.717, 46.29, 0.09, 3.5, 8.26, 0.8 mg/L로 나타났으며 1시간 후의 농도는 각각 3.8, 34.2, 1.0, 2.00, 6.4, 2.15, 0.750, 36.55, 0.05, 2.8, 9.00, 0.8 mg/L로 저감효과가 나타났으며, 식생밭두렁 또한 같은 항목으로 비교 하였을 때 초기 유출 시 각각 6.0, 61.4, 1.1, 26.00, 7.0, 6.61, 0.337, 65.69, 0.01, 2.5, 8.79, 0.3 mg/L, 1시간 후의 농도는 6.1, 65.7, 1.3, 12.00, 6.4, 1.37, 0.351, 65.91, 0.01, 3.7, 8.92, 0.3 mg/L로 저감효과가 측정되었다. 대부분의 수질측정값이 초기 유출이 높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시험구에 설치한 실트펜스로 인해 강우 발생 시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일정부분 차단되고, 식생밭두렁을 설치한 시험구내에서 유출수의 유속감소로 인해 유사가 퇴적되어 시험구 밖으로 유출되는 유사량이 대조구에 비해 줄어들어 실트펜스 및 식생밭두렁 처리구에서 오염부하량 저감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같이 실트펜스와 식생밭두렁을 설치하였을 경우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 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유출수를 통한 비점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시켜 수질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농업에 적합한 최적영농관리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신중 발생한 추간판 탈출증

        이호형 ( Ho Hyung Lee ),김석영 ( Suk Young Kim ),변아롱 ( A Rong Byun ),오혜영 ( Hea Young Oh ),이현이 ( Hyun Lee Lee ),윤정혜 ( Jung Hye Yoon ),이상구 ( Sang Gu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1

        A herniated nucleus pulposus (HNP) during pregnancy has been a rare occurrence with a reported incidence of 1:10,000 case. It is hard to diagnose because of the potentially hazardous effect of ionizing radiation to the fetus when complaining back pain during pregnancy. In this cas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provide safe and useful modality and in general, back pain usually respond readily to conservative treatment. Cauda equina syndrome or severe and/or progressive neurologic deficit is a medical emergency that necessitates prompt surgery during pregnancy. She admitted at 31 weeks gestation for sudden development of right leg paresthesia and ankle motor weakness, an MRI showing compression on right nerve root at the level of L5~S1. After 4 weeks treated with bed rest and analgesics, w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and laminectomy at the same time. We have experienced a pregnancy with HNP, so report of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