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lues of Organic Farm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Circulatory Economy

        윤병선(Byeong Seon Yoon),Sun Up Kim,Heung Ju Kim 지역사회학회 2014 지역사회학 Vol.15 No.3

        Power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ion has become concentrated ever more rapidly as Neoliberalism becomes globalized. Industrial agriculture can be defined as an agriculture that is subordinated to capital for agricultural materials, production, and processing. In response to this current tendency, organic farming, which tries to restore a self-reliant system and re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industrial agriculture. However, thought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organic farming has followed its fundamental values. Like industrial agriculture, the input materials of organic farming were replaced by external input materials that were produced by agribusinesses. One of the ways to overcome this conventionalization of organic farming and to realize the original values of organic agriculture is to combine organic agriculture with a local circulatory economy based on small-scaled family farming. As organic farming is an agriculture considering circulation, it would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values of organic farming solely through the efforts of organic farmer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local circulatory economy to restore the values of organic farming.

      • KCI등재

        푸드플랜 관점에서 본 서울시의 공공급식정책에 관한 분석

        윤병선(Byeong-Seon Yoon),송원규(Won-Kyu So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3

        최근 전국의 여러 지역에서는 푸드플랜(Food Plan, 먹거리 종합계획)을 만드는 작업이 진행하고 있다. 푸드플랜은 먹거리의 문제를 생산에서 유통, 가공, 소비, 그리고 재활용 및 폐기를 순환적, 통합으로 파악한다는 것이 그 출발점이고, 한국 사회의 먹거리문제는 거대 농기업이 현대의 먹거리체계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발생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현대의 기업이 주도하는 먹거리체계는 생산에서 유통, 가공, 소비를 분절적 형태로 만들었고, 이 과정에서 생산의 주체인 농민과 소비의 주체인 지역민과 국민들이 주도권을 상실했다. 더 큰 문제는 먹거리가 단순한 상품으로 취급되면서 먹거리와 관련한 농민과 지역민, 국민이 대상화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고민이 푸드플랜에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서울시의 푸드플랜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공적 조달체계의 특징을 다른 나라 도시의 푸드플랜과 비교함으로써 서울시 푸드플랜이 안정적으로 시행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한다. 서울시의 푸드플랜에 중요한 요소인 공적 조달체계가 안착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첫째, 공공급식과는 별개의 영역으로 진행되고 있는 학교급식을 통합함으로써 자치구 공공급식센터의 역할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산지의 중소 가족농에게 희망을 주고자 하는 취지가 실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산지 생산자의 조직화가 밀도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자치구 공공급식센터의 역할에 먹거리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사업과 결합된다면 서울시민들은 보다 용이하게 먹거리 기본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several cities are getting started to develop food plans in Korea. Food plans start with an understanding the agri-food system as a cycle of production, distribution, processing, consumption and disposal. The agri-food crisis of Korean society is originated from the global food system which is dominated by giant agri-food corporations. The corporate driven global food systems are fragmented to each stage of production, distribution, processing, and consumption. In the process, corporations took farmers’ rights on production and citizens’ right on consumption at the same time. To make matters worse, farmers, local residents, and the national people are objectified as food has been treated as just goods. Thus, food plans have the consider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intends to compare the public procurement systems of urban food plans in foreign cities to those of Seoul and suggest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ood plans in the following aspects, such as goals, locality, governance and institutional tools.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get public procurement system stabilized, which is a core of Seoul’s food plan. First, the public plate provisioning centers of the Autonomous Districts should be empowered by integrating public plate and school meal food provisioning. Second, organizing smallholder farmers in the rural area should be prioritized to achieve the goal of benefiting smallholders and family farms. Third, Seoul citizens could secure the right to food easily when the public plate centers of Autonomous Districts join the role of food support project on low-income families together.

      • KCI등재후보

        세계 농식품체계하에서 지역먹거리운동의 의의

        윤병선(Byeong-Seon Yoon) 한국환경사회학회 2008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2 No.2

        현재의 세계농식품체계는 초국적 농식품복합체에 의해서 재구조화되었고, 초국적 농식품복합체의 농업지배강화는 세계 각지역에서 각기 독립적으로 유지되어 오던 먹거리의 순환체계를 품목별, 지역별, 영역별로 분화시키는 과정이었다. 이는 또한 국경을 초월하여 농민으로부터 소비자에 이르는 사회의 모든 참여자들을 시장을 매개로 연결시키는 과정이기도 했다. 특히 우루과이라운드를 통해서 만들어진 농업 및 먹거리와 관련된 ‘농업협정’, ‘무역관련지적소유권 협정’, ‘위생 및 식물검역조치의 적용에 관한 협정’ 등은 초국적 농식품복합체의 이해관계가 철저하게 반영되었기 때문에 먹거리의 안전성은 무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농업의 재생산을 위협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현재의 세계농식품체계의 대안으로서 먹거리의 생산과 소비 사이의 물리적ㆍ사회적 거리를 축소하는 지역먹거리(local food)운동을 통한 지역농식품체계 또는 지역먹거리체계의 복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지역먹거리운동은 일정한 지리적 거리 안에서 먹거리의 생산과 가공, 소비와 폐기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운동이지만, 로컬에 대한 개념정의를 어떻게 할 것인가는 여전히 논쟁적인 부분일 뿐만 아니라, 운동의 전개방향과 관련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지역먹거리운동은 돌봄과 책임감이라는 관계를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복원한다는 의미를 가질뿐만 아니라, 현재 붕괴된 지역자원의 연결고리를 복원한다는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다. In today's agri-food system, the transnational agri-food conglomerates(TNACs) are increasingly dominating the global agri-food system as a whole, from the seed to the supermarket. By the TNACs, today's agri-food system has broken the balance of the farming system, and has led to undermine the sustainable agriculture due to ecological problems and large-scale agriculture systems. Industrial agriculture tends to abuse agricultural chemicals, threatening the safe food, reducing the diversity of crops, and promoting inequality in the agricultural commu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notice of the local food movements which aim to reduce the physical and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farmer and the consumer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today's global agri-food system. In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local food movements, the way of defining the concept of the 'local'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has been a controversial term. In this study, the great emphasis will be placed upon the premise that the local food movements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ovements which restore the caring relationships and the responsibilities between the agricultural producers and the consumer. The local food movements can contribute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farming as the form of making the most use of the local resourc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식량주권운동에 관한 비교연구

        윤병선(Byeong Seon Yoon),김철규(Chul Kyoo Kim),김흥주(Heung Ju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2 農村社會 Vol.22 No.2

        2007-2008년의 세계적 식량위기 이후 "값싼 먹거리의 종말(The end of cheap food)"이라는 표현이 등장할 정도로 곡물가격이 급등했다. 실제로 최근의 곡물가격은 FAO(세계농업기구)가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최고가의 갱신주기도 짧아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체계에 편입된 한국과 일본 양국은 매우 낮은 식량자급률로 인해서 식량위기에 대하여 그 어느 나라보다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다. 한국은 연이은 FTA(자유무역협정) 추진으로 인해서 식량주권 회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위기를 맞고 있으며, 일본도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는 등 한국과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 양국의 농민단체와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식량주권운동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식량주권이라는 말은 보호주의에 호소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시장을 통해서 기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신자유주의적 "식량안보 의 정치화"에 대항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분석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한국과 일본 모두 식량주권 확립을 위한 다양한 논의와 고민을 하고 있다. 하지만 양국의 식량주권운동은 다른 주체들과의 적극적 연대로까지는 나가고 있지 못하며, 대안 패러다임으로서 식량주권에 대한 포괄적인 합의도 부족한 상황이다. 식량주권과 관련된 논의가 가진 함의는 먹거리 문제가 단지 농업, 농민, 농촌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경제적·정치적·문화적 요소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로 구체적인 식량주권 확립방안에 관한 논의가 먹거리와 관련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한 가운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phrase "the end of cheap food" suggests, international grain price has been rising rapidly since 2007/2008. The recent grain price has reached record high ever since the FAO began to publish official statistics. Both South Korean and Japanese agri-food systems are vulnerable to the food crisis because of their very low food self-sufficiency rate as they have been part of global agri-food system. Koreans` effort to establish food sovereignty has faced difficulty because of the government push for FTA. Japan is also in similar situation a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attempted to institutionalize TPP. The farmers` and consumers` organizations in Korea and Japan have been interested in food sovereignty movement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food sovereignty is a movement against neo-liberal idea of "politicization of food security," which claims that hunger could be solved via market. Our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re have been diverse efforts to achieve food sovereignty in Korea and Japan. Yet, they also face many obstacles. For instance, the food sovereignty movements have not been able to develop a more wider solidarity with other actors. There is little consensus on the food sovereignty as a an alternative paradigm either. Considering that food sovereignty is not just an issue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more inclusive and collaborative effort is necessary to encourage other actors to engage in the movement.

      • KCI등재

        세계적 식량위기와 한국농업의 대응과제

        윤병선(Yoon, Byeong-Seon) 한국사회경제학회 2008 사회경제평론 Vol.- No.31

        최근까지 세계 곡물시장을 뒤흔들던 투기자본이 금융시장으로 이동하면서 국제곡물가격의 상승세가 다소 주춤한 상황이지만, 식량자급률이 전 세계 175개국 중 124위, OECD가맹 30개국 중 25위의 한국으로서는 식량의 안정적인 확보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세계 곡물시장은 태생적으로 불안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 더해서 최근의 식량위기는 미국 등 곡물수출국의 식물성연료정책과 투기자본의 가세 등 곡물자체의 수급문제의 완화로 해결되기 어려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Monsanto를 비롯한 생명 공학기업들은 식량위기를 유전자조작농산물의 확산기회로 이용하려는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식량위기로 곡물 수출국가들이 자국의 곳간을 챙기기에 나서고 있는 현실에서 안전한 먹거리의 안정적인 확보는 자신의 곳간을 스스로 챙김으로써 가능하기 때문에 식량자급률의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이를 보다 구체화하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국가적 차원의 식량자급률제고는 품목자급률의 제고와 함께 지역자급률의 제고를 통해서 구체화 될 수 있기 때문에 로컬푸드(local food)운동이 필요하며, 아울러 지역농산물의 가공활성화를 통한 농업경영의 안정화와 농업생산의 확대 등도 이루어져야 한다. Even though the world grain market is ge179nerally unstable, bio-ethanol policies of grain export countries and an inflow of speculative funds have made the food crisis worse. Such biotechnology companies as Monsanto have also concretized the plan of spreading genetically modified crops. Given the fact that major countries producing grains have restricted their exports, it is highly necessary to improve the grain self-sufficiency ratio and make strategies to concretize it in order to ensure the stable safe food. Since the improvement of grain self-sufficiency ratio in national wide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regional self-sufficiency ratio, the establishment of local food system, the stabilization of farm economy through revitalization of the local food processing, and the expans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will be indispensable.

      • KCI등재

        로컬푸드를 활용한 지역생협의 활성화 방안

        윤병선(Byeong-Seon Yoon),송원규(Won-Kyu So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1

        최근 로컬푸드와 관련한 사회적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세계화된 농식품체계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대안농식품운동 가운데 하나인 로컬푸드운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의미 있는 일로 평가할 수 있다. 로컬푸드운동 이전에 한국에서 대안농식품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소비자생활협동조합운동은 운동초기에 한국의 유기농업을 비롯한 친환경농업의 확장에 크게 기여해 왔으나, 최근에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정체성에 대한 스스로의 성찰도 나오고 있다. 사업성과 운동성을 고민해야 하는 모순적 통일체로서의 결사체인 협동조합이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정체성을 잃고 있다는 자성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로컬푸드운동이 지향하는 다양한 가치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정체성을 회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협조직이 대안적인 농식품유통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러 지역생협들은 매장판매를 중심으로 하면서 로컬푸드에 적합한 새로운 방식으로 제철꾸러미, 로컬푸드직판, 직거래장터 등 다양한 방식의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생협은 자체 조합원 규모가 작고, 물류시설도 부족하기 때문에 독자적인 생존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지역 내의 다양한 조직들과의 물류협력, 지역의 사회적경제 영역의 주체들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Alternative agri-food movements, such as organic farming movement and consumers" cooperative movement, are still expanding in the 21st century in Korea. But doubts, especially to consumers" cooperative movement, are cast on whether the current rapid growth of physical distribution is on the right track. But the consumers" cooperative movements which aim to create efficiency in physical distribution now run counter to the alternative movements. In some aspects, consumers" cooperative movements may come to a crisis in the near future, because the emphasis on business can bring about the lack of identity as a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may be a meaningful attempt for the local consumers" cooperatives to introduce the local food movements in their business realm. The consumers" cooperatives can strengthen the relations between the producers and consumers through the local food movements. In the circumstance of the small scale, which most of the regional consumers" cooperatives confronts, it is better to establish cooperations between the local consumers" cooperatives. Also diversification of business, such as joint use of the physical distribution facilities and box scheme program, can create the new realm of regional consumers" cooperativ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지역먹거리운동 비교

        윤병선(Byeong Seon Yoon),김철규(Chul Kyoo Kim),송원규(Won Kyu S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3 農村社會 Vol.23 No.1

        세계 농식품체계 안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안전한 먹거리의 지속 가능한 생산을 위한 다양한 대안운동의 하나인 지역먹거리운동이 세계 각지에서 전개되고 있다. 지역먹거리운동은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지역먹거리 운동의 관행화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70년대의 제휴운동이 지산지소 운동으로 확대되어 지역먹거리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기에 이르렀지만, 최근에는 생협이나 직판장, 꾸러미사업 등에서 지역먹거리운동의 지향점과는 달리 대안으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는 자기성찰이 제기되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지역먹거리운동의 역사는 일본에 비해서 매우 일천한데, 최근에는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정책의 일환으로 지역먹거리운동이 논의되고 있다. 지역먹거리운동에 대한 농정당국의 관심 증대는 운동의 활성화에 일정정도 기여할 수 있겠지만, 지역먹거리운동은 지역을 매개로 한중소농민과 소비자사이에 "관계의 경제"를 창출하는데 진정한 의미가 있기 때문에 우려되는 부분도 적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전개되고 있는 지역먹거리운동이 관행화되는 현실을 분석함으로써 지역먹거리운동의 지향점, 놓지 말아야 할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s many experts on food agree, current global agri-food system cannot produce safe food in a sustainable wa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global agri-food system, various forms of alternative food movements have been experimented including local food movement. While local food movement has become quite popular in Korea and Japan, concern regarding conventionalization of local food has been expressed recently. In Japan, Chisan-chisho(locally produce, locally consume) has become widely popular over the years. Yet, there has been some critique that consumer cooperatives and Chisan-chisho shops have lost their value as alternative movement. Korean local food, which has a shorter history than Japanese one, has been characterized by active involvement of local governments. More recently, the central government of Korea is interested in local food as a strategy to rationalize national agricultural commodity distribution. The involvement of central government in local food may increase the market share of local food in Korea. Yet,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weaken the social meaning of local food movement, which should emphasiz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small farmers and consumers. We analyze the process of conventiona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local food movements in Korea and Japan. In doing so, we would lik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s and embeddedness as an integral and essential part of any local food movement.

      • KCI등재

        비즈니스 역량이 창직 의지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 열정의 매개효과 및 성별 조절효과

        윤병선(Byeong-Seon Yoon),김천규(Chun-Ky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는 다양하고 세분화 되어가는 노동시장에서 취업 및 창업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창직 활동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비즈니스 역량이 창직 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가 열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집단 간 비교를 위하여 성별을 조절변수로 활용하였다. 설문은 6개 변수에 각각 4문항으로 구성하고 7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한 392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적 관계분석, 매개효과, 조절효과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비즈니스 역량에서 창직 의지, 비즈니스 역량에서 기업가 열정, 기업가 열정에서 창직 의지의 관계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부트스트래핑 매개효과 검증에서 기업가 열정은 비즈니스 역량과 창직 의지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한 성별에 따는 창직 의지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직 활동은 아이템의 차별화, 경험 및 노하우,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비즈니스 모델, 열정과 끈기의 창직가 정신을 갖추고 주위의 부정적인 시각과 걱정을 극복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effectively utilize job creation activities that can be an alternative to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in diverse and subdivided labor markets. The effect of business capability on the job creation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were identified, and gender was used as a control variable for comparison among group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questions for 6 variables, and a 7-point Likert scale was us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were conducted on 392 people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sincerely. As a result of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creation intention in business capability, the entrepreneur passion in business capability and the job creation intention in entrepreneur passion had a positive (+) effect. Entrepreneur passion in the verification of bootstrapping mediating effects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capability and job creation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job cre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der that was compared between groups. The job creation activities must overcome the negative perspectives and worries around them with the differentiation of items experience and know-how a business model that reflects recent trends and a passionate and persistent Jobcreatorship.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