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특집 - 환경 갈등의 사회학적 해부] 핵폐기장 갈등의 구조와 동학 - 부안 사례를 중심으로

        김철규(Kim Chul-kyoo),조성익(Cho Sung-Ik) 비판사회학회 2004 경제와 사회 Vol.- No.63

        이 연구는 2003년 여름부터 부안에서 진행된 핵폐기장 갈등의 역사적 맥락을 분석하고, 갈등에 참여했던 행위자들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였다. 크게 두 가지의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 첫째, 핵폐기장 건설의 역사를 조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부안사태는 경제발전을 뒷받침했던 전력 정책의 문제점, 오랜 핵폐기장 갈등 과정에서 형성된 이해집단의 구조, 그리고 핵폐기장 선정 제도의 모순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둘째, 2003년 이후 부안 갈등의 진행 과정에 대한 시기구분(periodization)을 시도하여, 관련 행위자들의 담론, 전술, 그리고 상호작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갈등 과정을 갈등전선 형성, 갈등폭발, 갈등 종식 등의 셋으로 구분했는데, 갈등전선 형성기는 핵폐기장 추진 세력의 위도 주민들에 대한 경제적 보상 담론 확산과 비민주적 절차에 대한 문제제기를 특징으로 한다. 갈등 폭발기에는 찬반 간에 타협할 수 없는 균열이 발견된다. 찬성측은 핵폐기장의 국가적 필요를 강조하며, 주민들을 고립시켰다. 그리고 주민과 경찰 간의 폭력적 갈등이 심화되었다. 부안사태는 결국 2003년 11월 25일 노 대통령의 발언으로 수습 국면으로 들어가, 2004년 2월 14일 자율적 주민투표로 마무리되었다. 부안사태는 성장지향적 국가와 이익집단이 경제적 보상을 통한 ‘이익의 정치’로 핵폐기장 문제를 해결하려던 실패한 시도였다. 국가가 기존의 핵 에너지 관련 구조를 그대로 두고 단순히 절차의 형식적 보완과 이익의 정치를 계속 시도하는 한, 제2, 제3의 부안이 또다시 등장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This study attempts co analyze the historical context of anti-nuclear movement in Buan and clarify the process of interaction among actors involved. We established a historical argument thar Buan struggle was not an isolated case bur it reflected the historical legacy of Korean energy policy, the structure of nuclear interest groups, and decision making processes. In addition, we periodized the Buan struggle into three different phases based on the tactics and discourse employed by different action. During the first phase,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won the support of Weedo residents by spreading the rumor of monetary compensation, while most Buan residents opposed the facility based on their feeling of betrayal to the governor of Buan. The second period was characterized by great violence and government's tactic to persuade the "public' by emphasizing the 'national interest.' The conflict gradually subsided by President Rho's remark to reconsider Buan in November. Buan people successfully administered a self-organized referendum in february, 2004. To conclude, Buan case was a failed attempt by the growth-oriented government and interest groups co build a nuclear waste facility by employing the 'politics of life,' which emphasized monetary compensation. Notwithstanding a fundamental change in nuclear energy policy, the limited procedural reform is likely to produce many more Buans in the future.

      • KCI등재

        2008촛불집회와 먹거리 정치

        김철규(Chul Kyoo Kim),김선업(Sun Up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09 農村社會 Vol.19 No.2

        이 연구는 2008년 한국사회를 들끓게 했던 촛불집회를 먹거리 정치의 시각에서 해석하고, 경험적 자료를 통해 촛불집회에 참여한 10대들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08촛불집회는 많은 이론적 논쟁을 야기했지만 집회의 핵심 주체가 10대였으며, 핵심쟁점이 먹거리 안전 문제였다는 점은 간과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촛불집회에 참여한 10대의 먹거리 의식, 정치사회 의식, 그리고 촛불집회 참여 정도 등을 알아보고, 그것들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조사자료를 통해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촛불집회 참여10대들은 비참여 10대들에 비해 사회현실, 정치적 이슈, 먹거리 안전, 그리고 건강 등의 문제대해 관심이 높았다. 둘째, 촛불참여 10대들의 일상생활적 관심은 전통적인 정치적 관심과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촛불집회의 참여빈도가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나 정치사회적 관심과 비례하지는 않았다. 넷째, 촛불집회에서 적극적 행동을 보여주는 참여자일수록 먹거리 위험에 대한 대응방식에 있어서도 더 방어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촛불집회는 10대라는 새로운 주체가 먹거리라는 새로운 주제를 적극적으로 의제화한 것으로 먹거리 정치의 중요한 사례이다. 연구결과 촛불집회 참여자들은 먹거리라는 일상생활의 이슈에 대한 관심과 민주주의와 같은 전통적인 시민적 이슈를 분리해서 생각하지 않았다. 먹거리라는 일상적 의제를 통해 모순된 정치사회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e candlelight vigil of 2008 in South Korea as food politics by analyzing empirical data of teenager participants. While there have been abundant theoretical debates on candle protests, it if often forgotten that the main actors were teenagers and the main issue was food safety.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eenagers` attitudes on food, behavioural change regarding food, social and political consciousness, and commitment to candlelight vigil. We have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 participants have higher degree of interest in food safety, health, and social issues than non-participants; second, the interest in everyday issues had close correlation with the interest in more conventional political issues; thir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candlelight did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interest in food or other social issues; fourth, those who committed themselves deeply in candle protest were more protective in food behaviors.

      • KCI등재후보

        현대 식품체계의 동학과 먹거리 주권

        김철규(Chul-Kyoo K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08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2 No.2

        이 논문은 우리 사회가 맞닥뜨리고 있는 식량 수급과 식품 안전의 문제를 이론적이고 역사적인 수준에서 분석하고, 대안 모색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식량 수급과 식품 안전의 문제가 현대 식품체계의 구조적 속성과 깊이 관련되는 점에 착안해서 식품체계의 역사적 발전 궤적을 조망하였다.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형성된 제2차 식품체제와 이어지는 기업식품체제가 어떻게 우리 식탁을 위협하게 되었는가를 규명하였다. 제2차 식품체제는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포드주의적 식품체계에 기반하고 있었으며, 이는 거대 농식품 기업이 성장하는 조건이 되었다. 1980년대 이후 본격화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속에서 초국적 농식품 기업들이 전체 식품체계를 지배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는 기업식품체제로 개념화할 수 있다. 글로벌 기업식품체제는 먹거리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으며, 한국에서 먹거리 위기는 낮은 식량자급률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식품 사고로 나타나고 있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는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먹거리 수급의 불안정성과 위험이라는 이중적 위기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이에 저항했던 시민들의 촛불집회는 위기에 대한 생명정치의 표현으로, 먹거리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먹거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먹거리 주권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와 정치적 실천이 필요하다. 비아 캄페시나와 닐레니 선언에서 제시된 먹거리 주권 개념을 검토함으로써, 생산자와 소비자 간 사회적 관계 회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먹거리 주권을 통한 새로운 먹거리 정치가 활성화되어야 먹거리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urrent problems of food provision and safety from a theoret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By doing so, I hope to make a contribution in making an alternative food system. I begin by examining the trajectory of food system because the food shortage and food risk are both embedded in the modern food system itself. I analyze how the Second Food Regime and following the Corporate Food Regime have come to threaten our everyday diet and food on the table. The Second Food Regime was based on Fordist system characterized by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food, which was a condition for large agro-food companies to grow rapidly in the 20th century. In the context of neo-liberal globalization, these companies became truly global dominating whole food system. This new system can be called Corporate Food Regime, a term coined by Philip McMichael. The global Corporate Food Regime exacerbates the food crisis and the crisis is expressed in Korean society in the forms of low food self-sufficiency and food accidents. The US beef import scandal of 2008 in Korea displays the vulnerability of Korean food system in terms of bam food provision and safety. Furthermore, candlelight protest by millions of Koreans can be interpreted as an effort to protect food sovereignty. I propose that we need to aggressively employ the concept of food sovereignty as a measure to re-connect social tie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of food, which will solve the food crisis engendered by modern food system.

      • KCI등재

        북한의 농업 위기와 식량 문제 : 거시 역사적 접근

        김철규(Chul Kyoo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02 農村社會 Vol.12 No.1

        이 논문은 북한 농업위기를 진단하는 최근의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거시-역사적 조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북한 농업위기의 원인을 집단주의 농업과 사적 이익 추구의 억제에서 찾고자 하는 기존 연구들이 제시하는 대안은 자본주의적 개인농이다. 현 자본주의 사회에서 발견되는 개인농의 위기를 간과하는 이런 대안 제시는 현실로서의 북한 식량문제 해결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북한의 농업 위기는 북한 농업체제를 지탱해왔던 물적 토대와 국제적 맥락의 해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이 이 연구의 진단이다. 20세기 발전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끌려왔던 북한 농업은 극단적 고에너지형으로 자리잡았다. 엄청난 화학비료, 전기, 그리고 화석연료를 필요로 하는 이러한 고에너지형 농업은 사회주의 국제체제를 전제로 형성된 것이었다. 따라서 1980년대 후반 이후 진행된 사회주의 체제의 와해는 북한 농업시스템의 해체를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이런 역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 북한 식량위기를 해결하고 농업을 다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비료, 원유, 전기 등의 국제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current literatures on North Korean food crisis and proposes a macro-historical (re)understanding. Existing literatures suggest that North Korean agricultural failure is due to the collective farming and lack of farmers` incentive. Accordingly, adoption of capitalist (family/individual) farming is proposed as the solution. I maintain that this ideal (and ideological) alternative does not help the current food problem. Instead, I argue that the current crisis has resulted from the collapse of international, and thus material, context in which North Korean agriculture was embedded. During the developmentalist era of 20th century, the North Korean agriculture became extrememly energy intensive. The dissolution of international socialist bloc in late 1980s meant the cut-off of energy from socialist countries. This led to the North Korean agricultural crisis. In this vein, supply of chemical fertilizers, fuel, and electricity by international community is important to solve the North Korean food problem.

      • KCI등재

        남한 농식품체계의 구조와 변화

        김철규(KIM Chul-Kyoo) 지역사회학회 2014 지역사회학 Vol.15 No.2

        이 글에서는 1960년대 이후 남한 농식품체계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고, 현재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난 45년간의 식량 공급과 소비의 변화를 경험적 자료를 통해 검토하고, 그것이 가지는 사회학적 함의를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한 이론적ㆍ인식론적 토대로써 식량체제론과 상품체계론을 검토하여, 먹거리의 생산과 소비를 통합적으로 이해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러한 입장에서 1965년 이후 남한 농식품체계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원조경제, 발전주의, 세계화 등의 변화 속에서 남한의 농업은 시장지향적 산업형 농업으로 변화되었으며, 동시에 대량의 외국산 농산물이 수입되고 있다. 소비의 측면에서는 곡물류 소비 감소, 육류의 소비 급증, 그리고 과일 및 채소 소비 증가 등이 두드러진다. 쌀 소비의 감소와 밀 소비의 증가는 남한 농식품체계 변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인데, 이는 미국에 의해 주도된 세계식량체제의 맥락에서 국가의 정책과 소비양식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체계는 여러 가지 사회생태적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는 지속가능성의 문제를 제기한다. 지속가능한 농식품체계를 만들기 위한 대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hanging trajectory of South Korean agrifood system since the 1960s. I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ver the past 45 years and to grasp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them. In order to carry out these tasks, food regime perspective and commodity system analysis have been employed as theoretical and epistemological springboard. I have emphasized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should be understood holistically as integral parts of agrifood system. In the production sphere, aid economy, developmentalism, globalization have transformed Korean agriculture into market oriented one relying heavily on imported food. As for consumption, decrease of grain and increase of meat, fruit and vegetables have been observed. The most distinct feature of South Korean agrifood system is the sharp increase of wheat consumption and decrease of rice consumption. This reflects the interaction among factors such as global food regim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and consumption culture. The current South Korean agrifood system is not sustainable as it includes various social and ecological problems.

      • KCI등재

        세계체계의 변화와 한국의 농식품체계: 식량체제론을 중심으로

        김철규(Chul-Kyoo K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0 아시아리뷰 Vol.10 No.2

        세계체계론은 사회학 연구의 여러 분야에 큰 이론적·경험적 영향을 끼쳤다. 농업과 먹거리 관련해서는 식량체제론이 대표적이다. 식량체제론은 세계체계론, 특히 헤게모니 체계와 관련된 논의를 식량 공급의 영역으로 확장시켜 중범위적 역사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이 글은 맥마이클과 프리드먼에 의해 만들어진 식량체제론의 내용을 정리하고, 그 이론적·방법론적 함의를 기반으로 한국의 농식품체계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식량체제의 개념화가 어떤 방법론적 기반을 갖는지를 소개하고, 영국 헤게모니를 기반으로 했던 ‘1차식량체제’와 미국 헤게모니를 기반으로 하는 ‘2차식량체제’의 특징을 비교한 뒤, 새로운 조절양식을 기반으로 하는 ‘3차식량체제’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거대구조의 변화 속에서 한국의 식량 공급기제, 즉 농식품체계를 통합적 비교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3차식량체제, 즉 신자유주의적 기업식량체제하에서 진행되고 있는 식량주권 및 대안 모색의 노력들을 소개하였다. The world-systems perspective has a great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act on various fields in the social sciences. The sociology of food and agriculture is one such area. The food regime perspective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world-system perspective, especially its discourse on hegemonic cycles. This paper introduces the food regime perspective, which has been advanced by Philip McMichael and Harriet Friedmann, to explain the trajectory of food provision on a global level. Building upon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the food regime perspective, I use the term agri-food system to explain the paths of Korean food provision structures and dynamics since the mid-20th century. This will be followed by a discussion of what needs to be accomplished in order to challenge a third food regime, which is characterized by corporate domination. The issue of food sovereignty and alternative movements are examined to seek a more sustainable food system against the corporate food regime.

      • KCI등재

        한국의 농촌사회학과 『농촌사회』 20년

        김철규(Chul Kyoo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0 農村社會 Vol.20 No.2

        이 논문은 농촌사회학회 창립 20년을 맞아 농촌사회학의 과거를 되돌아보고 학회지 『농촌사회』의 변화 궤적을 검토함으로써, 농촌사회학의 미래를 조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사회가 산업화와 도시화의 길로 내달리면서 농(農)은 주변적인 것으로 밀려났으며, 이에 따라 농촌사회학도 쇠락의 길을 걸었다. 그러나 농의 위기가 심화될수록 농촌사회학자들의 역할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농촌과 농민의 지속가능성을 복원하고, 과잉산업화와 과잉도시화로 출구를 잃은 한국사회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일은 농촌사회학자들의 몫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사명을 배경으로, 이 연구에서는 농촌사회학의 역사를 간단히 검토하고, 농촌사회학의 출범이 가졌던 역사적 의미를 당시 발기 취지문 및 『농촌사회』 창간사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했다. 또 20년 간 『농촌사회』에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와 연구자들의 전공 등을 경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농촌사회학이 어떤 학문적 정체성을 가지고 발전해왔는지를 평가하였다. 끝으로 농촌사회학이 위기에 처한 한국사회에 비전을 제시하는 미래학문으로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envision a new future of rural sociology via examining the past trajectory of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as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celebrates its 20th anniversary. As Korean society has undergone a rapi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rural and the rural sociology have been marginalized. However, I argue that the more the crisis of rural society and agriculture is deepened, the more the role of rural sociologists becomes important. It is the responsibility of rural sociologists to recover the sustainability of rural society and farmers and to provide a new vision for the Korean society in crisi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story of Korean rural sociology and attempt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establishment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by examining the early documents. I also investigate how the research trend has changed over time by analyzing the themes and authors of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over the past 20 years. Finally, I propose amore active role by rural sociologists to cope with the challenges Korean society in general, and rural Korea in particular, face at the moment.

      • KCI등재

        먹거리 위험사회의 구조와 동학

        김철규(Chul-Kyoo Kim),윤병선(Byeong-Seon Yoon),김흥주(Heung-Ju Kim)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6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먹거리 위험 문제를 위험사회론과 식량체제론의 시각에서 조망하고, 경험적 자료를 통해 현대 농식품체계의 위험 구조와 동학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과학기술 및 근대성의 실현은 역설적으로 먹거리 위험을 양산하고 있으며, 이는 그동안 진화해온 역사적 식량체제의 구조 속에 내재되어 있다. 오늘날 먹거리 위험의 구조는 초국적 농식품기업들에 의해 지배되고 관리되는 기업식량체제라고 할 수 있다. 기업식량체제는 1995년 WTO ‘농업협정’ 을 통해 본격적으로 제도화된 것이다. 기업식량체제는 한편으로는 식량위기와 다른 한편으로 먹거리 위해라는 이중적 위험을 만들어내고 있다. 우선 식량위기는 식량수급을 세계 시장기제에 위임하게 되고, 이를 실질적으로 초국적 농식품기업들이 지배하게 되면서 심화되고 있다. 더 이상 국민국가 단위의 식량보장이 어려워졌으며, 서민들은 항시적으로 국제 농산물 가격 폭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이 과정에서 Cargill, ADM, Bunge 등의 초국적 농식품기업들은 더 많은 이윤을 얻고 있다. 한국의 경우, 20%대에 머무는 낮은 식량 자급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식량보장의 차원에서 심각한 위험이라고 할 수 있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먹거리 위해들은 식탁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고도로 산업화된 농업 생산 체계는 잔류 농약, 유전자 변형, 광우병, 구제역 등 소비자들의 건강에 실질적인 위해를 야기하였다. 초국적 농식품기업들의 이윤 극대화 논리가 먹거리 위해를 상시적인 것으로 만들었으며, 식품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먹거리 위해는 또한 개인들이 느끼는 심리적 불안 문제와 연결된다. 한국인들의 경우, 다양한 위험 가운데 ‘본인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의 측면에서 먹거리 위험을 가장 심각한 것으로 여기고 있다. 식량 수급 불안정과 식품 위해라고 하는 이중적 위험이 구조화된 현재의 한국 농식품체계는 지속가능하지 않다. 신자유주의적 시장주의에 기반하고, 농식품기업들의 지배하에 있는 현재의 구조에 균열을 내고,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일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역, 공동체, 건강, 사회생태적 정의 등을 기반으로 한 대안 먹거리 운동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대안 먹거리 운동들을 통해 지역 단위의 식량보장을 강화하고, 먹거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urrent food-related problems from sociological perspectives. In order to do so, we employ the concept of risk society and locate the food issue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food regime. The concept of risk society informs us that the very suc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the cause of food risk. The food regime perspective provides us with the understanding that the current food risk is structured by the food system dominated by agri-food companies. The structure of food risk was institutionalized with the Agreement on Agriculture in 1995, which legitimized the agricultural free trade and the role of transnational companies. Global agri-food system produces the dual risk of food crisis (imbalance in supply and demand) and food hazards (and fear). The food crisis resulted from relying on global market mechanism, which meant the domination of agri-food system by a few transnational agri-food companies. The national governments have given up the basic responsibility of providing food to their people. The socially disadvantaged are now under the threat of hunger as international market for food is fluctuating. South Korean food self-sufficiency rate is around mid-20%, which is an evidence that its food security is extremely vulnerable. Food hazards, the other form of food risk, has become important social problem. It threatens the safety of food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human health. Highly industrialized and globalized food production system has increased systemic food hazards, such as chemical residues, GM, and most notably mad-cow disease.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food hazards has led to the spread of food fear among the consumers. The perceived risk is distinct, yet important dimension of food risk society. We conclude that the dual food risk, consists of unstable food supply and food hazard, is deeply embedded in the current agri-food system. This shows that our food system is unsustainable. We need to seek alternatives, both academically and policy-wise, emphasizing local, community, health, and socio-ecological justice.

      • KCI등재

        『농촌사회』와 한국의 농촌사회학 연구 - 경향과 과제

        김철규(Kim, Chul-Kyoo) 한국농촌사회학회 2018 農村社會 Vol.28 No.2

        이 논문은 한국농촌사회학 연구가 어떻게 변해왔으며, 현재 어디에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농촌사회학회의 학술지인 『농촌사회』의 논문들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했다. 1991년 창간호부터 2017년 겨울호에 게재된 총 324편을 주제별, 전공별로 분석하여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초기에 많이 연구되던 농촌 현장의 구체적인 문제들에 대한 연구가 감소하고, 식품 관련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2018년 아시아농촌사회학회에서 발표된 84편의 논문들을 농촌사회에 최근 게재된 88편의 논문들과 비교하여, 한국 농촌연구의 특징을 보다 선명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아시아농촌사회학회 발표 논문들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한국 농촌사회학 연구가 식품 관련 연구에 편중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농촌 문제 관련 연구는 소수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한국 농촌사회학의 정체성에 대한 깊은 고민과 치열한 토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사회변동과 연구 환경의 변화 속에서 이뤄진 식품과 대안먹거리에 대한 연구 활성화가 농촌 현장의 구체적 문제에 대한 연구 부족 현상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key features of Korean rural studies by examining researches carried out by sociologists and experts in the related fields. In order to so, I analyzed 324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Rural Studies, the official journal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since 1991 till 2017 by categorizing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the authors’ majors. I found that there has been significant growth of food-related studies while researches on rural communities and rural problems have decreased. In addition, I have analyzed the subjects of recently published articles at Journal of Rural Studies with papers that were presented at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Asian Rural Sociological Association. The comparison of two groups of papers also showed that Korean rural studies are much more interested in food-related issues while researches in other regions of Asia are more interested in the problems that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rural communities. These results, I argue, raise the identity issue of what is Korean rural sociology. While food issue is certainly very important one today in Korea, this may have led to relative neglection of concrete issues that are of concer for Korean farmers and rura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