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부조직 종물의 진단에서 초음파 유도하 중심부 침생검

        김정일,윤명수,천상진,최경운,이태홍,Kim, Jeung-Il,Youn, Myung-Soo,Cheon, Sang-Jin,Choi, Gyung-Un,Lee, Tae-H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2

        Purpose: To determine the utility of sonographically guided percutaneous core needle biopsy to diagnose musculoskeletal soft tissue masses.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55 patients referred for image-guided needle biopsy of primary or recurrent soft tissue masses and bone lesion or suspected solitary metastasis with extraosseous masses. Tissue samples were obtained with a 14-gauge or 18-gauge cutting needle coupled to an automated biopsy device under local anesthesia and sonographic guidance. Statistical analysis was based on 49 biopsies confirmed by successful clinical treatment (11 cases) or surgical resection (38 cases). Results: An accurate diagnosis was obtained in 47 (97%) of 49 biopsies; sensitivity was 95%, and specificity was 100%. The method did not yield sufficient tissue to establish a diagnosis in 6 cases. Considering all 55 biopsies, high-quality specimens were obtained in 87%. There were no serious complications. Conclusions: Sonographically guided core needle biopsy is accurate and safe, in soft tissue masses and bone tumors with extraosseous masses in the appendicular skeleton. In such patients, the sonographically guided procedure is the most prompt and effective method for obtaining tissue samples. 목적: 근골격계 종물의 진단에 있어 초음파 유도하 생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3년 8월 사이에 본원 정형외과를 내원한 환자 중 연부조직 종물을 가지는 환자의 진단을 위하여 조직 생검이 필요하였던 5 5명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조직검사는 초음파 유도하에서 조직의 채취 부위에 국소마취하에 시행하였으며 14 gauge 또는 18 gauge의 굵은 바늘을 사용하여 5~6개의 조직을 얻을때까지 시행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임상적으로 치료가 가능하였던 11명의 환자와 수술적 절제 후 조직의 최종 확인이 가능한 38명을 포함하여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불충분한 조직을 얻은 경우나 조직학적 진단이 불가능한 6명의 환자를 제외하고 정확한 진단은 49명의 환자중 47명의 환자에서 얻을 수 있어 정확도는 96%였고 민감도는 90%, 특이도는 100%였다. 전체 55명의 환자중 89%(49명)에서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한 충분한 조직을 얻을 수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특별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생검은 연부 조직 종물의 정확한 위치에 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어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이나 골종양의 진단에서 골외 부분이 있는 경우 시행할 수 있는 안전하면서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후방 Bankart 병변을 동반한 후방 II형 SLAP 병변 - 증례보고 -

        천상진,윤명수,김휘택,서정탁,Cheon, Sang-Jin,Youn, Myung-Soo,Kim, Hui-Taek,Suh, Jeung-Tak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2

        견관절 상완순 전후방(SLAP: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병변은 상부 관절와순 단독 손상으로 발견되기도 하고, 견관절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 전하방 관절와순의 파열, 즉 Bankart 병변의 연장으로 상부 관절와순까지 파열이 진행된 동반 손상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드물게 후방 Bankart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여러 가지 병변과 동반된 SLAP 병변이 보고되어 왔으나 그 중 후방 Bankart 병변과 동반하여 발생한 후방 II형 SLAP 병변에 대한 보고는 미미하고 그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복원술 시 봉합 나사(suture anchor)의 삽입과 봉합에 주의할 점이 있다. 저자들은 투구 동작과 같은 흔한 손상 기전이 아닌 팔을 뻗친 상태에서 넘어지면서 발생한 외상으로 야기된 본 증례에 대해 관절경적 복원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SLAP(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lesion is found in superior labrum injury alone and also combined with extension of the Bankart lesion(anteroinferior labral tear) in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patients and rarely accompanied by the posterior Bankart lesion. There have been reports about SLAP lesions associated with various lesions, however, posterior type II SLAP lesion associated with posterior Bankart lesion has been rarely reported. In such a case, there are important technical tips in inserting anchors and suturing during arthroscopic repair.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posterior type II SLAP lesion associated with posterior Bankart lesion, occurred not after repetitive throwing(common mechanism) but after trauma in slipping down with the arm stretched during riding a bicycle. The satisfactory result was obtained after arthroscopic repair in this case.

      • KCI등재

        성장판 부분 폐쇄의 수술적 치료

        김휘택(Hui Taek Kim),윤명수(Myung Soo Youn),구자경(Ja Gyung Ku),강정한(Jeong Han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성장판 부분 폐쇄에 대해 시행한 골가교 제거술 및 유리 지방 이식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3예(원위 대퇴골 4예, 원위 경골 8예, 원위 요골 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단판 손상의 원인은 모두 외상성이었다. 골가교의 위치는 중심형 3예, 주변형 9예, 혼합형 1예였다. 수술 당시 환아의 평균 나이는 10.7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47개월이었다. 최종 결과 판정은 변형된 Williamson-Staheli 분류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만족 6예(우수 3예, 양호 3예), 불만족 7예(보통 5예, 불량 2예)의 결과를 얻었다. 부위별로는 원위 경골의 경우 전체 8예 중 5예에서, 원위 대퇴골의 경우 전체 4예 중 1예에서 만족의 결과를 보였다. 골가교의 위치에 따라서는 중심형 3예 중 1예, 주변형 9예 중 4예, 혼합형 1예 중 1예에서 만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골가교의 범위가 30% 미만인 7예 중 5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으며 30% 이상인 6예 중 5예에서 보통 이하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골가교의 크기와 유형에 대한 술전의 정확한 평가와 정교한 수술 방법이 만족스러운 골가교 제거술의 결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다. 골가교의 범위가 30% 이상인 경우 대체로 불량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physeal bar resection and free fat graft as a treatment method for partial epiphyseal closure. Materials and Methods: Thirteen cases of partial epiphyseal closure (4 of the distal femur, 8 of the distal tibia and one of the distal radius) were subjected to physeal bar resection. All of the cases were caused by trauma. The physeal bar was central in 3 cases, peripheral in 9, and mixed (central-peripheral) in 1. Mean patient age at surgery was 10.7 years and mean follow-up period was 47 months. Final results were evaluated by a modified Williamson-Staheli classification. Results: Results at final follow-up were as follows: 6 satisfactory (3 excellent and 3 good) and 7 unsatisfactory (5 fair and 2 poor). Satisfactory results according to location and region of the physeal bar were as follows: distal tibia, 5 of 8 cases; distal femur, 1 of 4; central, 1 of 3; peripheral, 4 of 9; and mixed, 1 of 1. When considered by areal extent, physeal bars occupying 30% or less of the bone's cross-sectional area showed satisfactory results in 5 of 7 cases, while in 6 cases with the physeal bar over 30%, 5 were unsatisfactory. Conclusion: Accurate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size and type of the physeal bar, and meticulous surgical technique, are important predictors of satisfactory outcome of physeal bar resection. Cases where the physeal bar extent exceeded 30% had mostly unsatisfactory results.

      • KCI등재

        소아에서 요골 원위 골단판 골절

        김휘택 ( Hui Taek Kim ),윤명수 ( Myung Soo Youn ),이종서 ( Jong Seo Lee ),최영준 ( Young Jun Choi ),성윤재 ( Yoon Jae Seong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소아에서 발생한 요골 원위 골단판 골절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치료 후 1년 이상 추시 (평균 3.2년)된 23예를 도수 정복과 석고고정을 시행한 1군 (6예)과 도수 정복 및 K-강선 고정술과 석고고정을 시행한 2군 (17예)으로 나누었다. 술 후 및 추시 관찰 엑스선에서 골단판의 잔여 전이 정도와 골단판의 경사도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방사선학적 기준 (요골측 경사, 수장측 경사, 요골 단축)과 임상적 기준 (운동 범위 제한, 동통, 파악력, 완관절의 변형)으로 양호, 보통, 불량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1군은 양호 5예, 보통 1예를 보였으며 2군은 양호 14예, 보통 2예, 불량 1예를 보여 양 군 간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복 후 30% 이하의 골단판 전위는 만족스럽게 재형성되었다. 불량을 보인 예는 조기 골단판의 폐쇄와 함께 요골 단축, 완관절의 변형을 호소하는 경우였다. 골단판 폐쇄가 발생한 예에서는 골교 제거술, 지방 조직의 이식, 요골 절골술, 척골 골단 유합술, 요골 연장술 등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전위된 소아 요골 원위 골단판 골절은 비교적 풍부한 재형성력을 기대할 수 있다. 정확한 정복을 이루기 위한 과도한 도수 정복은 이차적 골단판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long-term results of treatment of epiphyseal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23 cases of distal radial epiphyseal fracture, treated by two methods: group 1, closed reduction (CR) plus cast (6 cases); group 2, CR and K-wire fixation (under anesthesia due to marked translation of the distal fragment and swelling) plus cast (17 cas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verage: 3.2 years). Postoperatively, epiphyseal displacement and epiphyseal angulation were measured on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At follow-up, the affected and normal sides were compared. Final results were classified by radiologic (radial inclination, volar tilting and radial shortening) and clinical (limitation of ROM, wrist pain, grip strength and wrist deformity) criteria. Results: Group 1 had 5 good, 1 fair result; group 2 had 14 good, 2 fair and 1 poor-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ll cases where the epiphyseal displacement was less than 30% had good results. A poor case showed a radial shortening, wrist deformity and pain due to premature epiphyseal closure. Premature epiphyseal closure was treated by bar resection and free fat, along with corrective osteotomy when necessary and lengthening of radius with or without epiphysiodesis of the ulna. Conclusion: Remodeling can be expected in epiphyseal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Repeated forceful attempts to achieve accurate reduction should be avoided to prevent secondary physeal injury.

      • KCI등재

        특발성 경막 내 지주막 낭종

        김대성(Dae-Seong Kim),이정섭(Jung Sub Lee),윤명수(Myung Soo Youn),서근택(Kuen 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척추강내 지주막 낭종은 상당히 드문 질환으로서 특히 외상이나 감염과 연관되지 않은 특발생 지주막 낭종은 더욱 드물다. 저자들은 특발성으로 발생한 지주막 낭종을 후궁 절제술 및 적출술로 치료한 바가 있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n intradural arachnoid cyst is a relatively rare condition. Idiopathic arachnoid cysts are rare lesions that are not associated with trauma or other inflammatory insults. This report describes one case of an idiopathic arachnoid cyst treated by posterior laminectomy and an excision of the mass with a brief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이분굴곡날 금속판과 강선 장력대 고정을 병행한 불안정성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

        서근택 ( Kuen Tak Suh ),노형록 ( Hyoung Lok Roh ),윤명수 ( Myung Soo Youn ),이정섭 ( Jung Sub Lee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4

        목적: 불안정성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하여 이분굴곡날 금속판 고정과 부가적으로 결절부 또는 회전근개에 강선 긴장대 술식으로 치료한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불안정성 상완골 근위부 골절로 이분굴곡날 금속판 고정과 강선 긴장대 술식을 시행받고 1년 이상 추시 관찰 가능했던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9예, 여자가 10예였고, 연령은 24세에서 69세까지로 평균 46.5세였다. 방사선학적으로 골유합 및 상완골 경간각을, 임상적으로 Neer의 기능적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방사선 소견상 19예 중 18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평균 골유합 시기는 12.5주 (10∼16)였다. Paavolainen의 방법에 의한 해부학적 정복 정도는 경간각이 120∼140˚인 경우가 16예였다. Neer의 평가기준으로 양호 이상이 17예였다. 합병증으로는 불유합이 1예와 외반 변형이 1예가 있었다. 결론: 불안정성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한 이분굴곡날 금속판 고정과 강선 긴장대 술식을 병행한 고정술은 보다 용이한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초기 조정력으로 조기에 견관절 운동이 가능하였으며, 비교적 양호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어 불안정성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에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internal fixation with bifurcate angled blade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of greater tuberosity or rotator cuff for the unstable proximal humer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cases of unstable proximal humerus fracture who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were treated using bifurcate angled blade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between March 2003 and March 2005.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6.5 years (range, 24 to 69), and there were 9 male and 10 female patients. The radiolog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bony union and neck shaft angle. In addition,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Neer`s evaluation criteria. Results: In 18 out of 19 cases, bony union was obtained in average 12.5 weeks after operation. The neck shaft angles of sixteen cases were between 120 and 140 degrees by Paavolainen method. According to Neer`s evaluation criteria, 17 cases showed excellent or good results. Conclusion: The patients treated using bifurcate angled blade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could exercise earlier because of good initial stability. Also,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were relatively good. The treatment of unstable proximal humerus fracture with bifurcate angled blade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was considered as a good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