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 러닝 기반의 수세기 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세기 수행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현아,방명애,홍점숙 한국자폐학회 2016 자폐성 장애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mart learning counting program on counting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three components: the baseline phase, the intervention phase, and the maintenance phas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smart learning counting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unting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mart learning count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counting competence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improved counting competence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maintained three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Second, the smart learning count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improve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maintained three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러닝 기반의 수세기 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세기 수행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 통합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성장애 남학생 세쌍둥이였으며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및 유지의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러닝 기반의 수세기 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세기 수행을 향상시켰으며, 습득된 수세기 수행은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스마트 러닝 기반의 수세기 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향상시켰으며, 습득된 수업참여행동은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적 강점을 가진 자폐성 장애학생의 학습을 위한 스마트 러닝의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고대중국어 ‘제사’류 어휘 연구 — ‘祭’와 ‘祀’를 중심으로

        유현아 한국중문학회 2020 中國文學硏究 Vol.0 No.80

        Sacrifice is a primitive religious activity created by mankind, and It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gods. For ancient Chinese people, it was a very sacred and solemn ritual. The ancestral rites were not only implemented in the battlefield system of each period but were also reflected in the language texts. They were establish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ancient Chinese culture, because they emphasized internal unity and could be linked to everything in daily life. Language letters and social culture are in a two-way relationship,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provides a glimpse into the culture of the specific period, and the culture of the specific period provides abundant information on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culture of the ancient time. By analyzing the types and examples of the verbs ‘祭’(ji) and ‘祀’(si) in the synonyms of sacrificial rites, we also find out some differences in the meanings of the two verb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se two verbs appearing in the representative literature of ancient and Middle Ages, this paper studies the changes of the dominant position of Monosyllabic Verbs ‘祭’(ji) and ‘祀’(si) in different periods. 제사는 인류가 神靈의 개념을 갖게 되면서 생겨난 원시적 신앙 활동으로, 고대 중국인들에게는 매우 신성하고 엄숙한 의식이다. 제사는 내부적 단결을 강조하며 일상적인 모든 것과 연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중국 고대문화 중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면서 각 시기마다의 전장제도 속에서 구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언어문자에도 반영되었다. 이처럼 언어문자와 문화는 쌍방향의 互證 관계에 있으므로, 한자 어휘를 통해서 그 시기의 문화를 엿볼 수 있고, 해당 시기의 문화를 통해서 한자 어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는 ‘제사지내다’의 의미에서 유의관계에 있는 ‘제사’류 동사 ‘祭’와 ‘祀’의 자형 및 용례 분석을 통해 당시의 제사문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동시에 두 한자가 담고 있는 제사문화의 특징 분석을 통해 두 동사의 의미상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상고시기와 중고시기를 대표하는 문헌상의 출현빈도수 분석을 통해 단음절어 ‘祭’와 ‘祀’의 시기별 주도적 지위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셀과 아웃라인에 의한 허니콤 직물구조의 형태에 관한 특성연구

        유현아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2

        섬유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개성화와 고급화, 다양화는 중요한 변수로 대두되고 있으며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서 창의적 직물 디자인 개발과 기존의 직물 디자인의 응용 가능성을 넓히기 위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이에 그 특별한 구조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일찍이 연구가 미흡했던 허니콤형태를 연구하였다. 근본적으로 허니콤은 블록 디자인으로 제직하는데 있어 블록과 블록 사이의 장력을 다르게 하여 3차원적 입체감을 내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구조들과는 달리 위사나 경사 또는 두 가지가 모두 느슨하게 굽이쳐 거의 원이나 타원에 가깝게 늘어져 그 특성을 만들어 내는데 작은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 그 구조가 블럭 디자인의 일종으로 블럭이 작고 균형 있게 디자인되었을 때 가장 모양이 아름답게 표현된다. 이러한 허니콤의 문양을 배경으로 허니콤 용어에 대한 유래와 형태의 구조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형태의 기본 조직도를 연구하고 다양한 응용형태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종강에 따른 형태의 응용방법을 알아보았다. 섬유 산업의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이미 같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세계 속에서 조금씩 자신의 입지를 넓혀 가고 있는 일본의 새로운 섬유 개발과 구조 개발에 따른 특수 직물 개발 선례는 우리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라 생각하며 많은 구조적 개발 연구가 섬유 디자이너 사이에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Personality, high quality and diversification of products are primary factors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extile industry. In an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nd open economy, we need to develop creative textile design and study to apply existing weaving design. Therefore, I studied Honeycomb weave which has not been fully studied in spite of its special structure. Basically, structure of honeycomb weave as a block design makes a three-dimensional effect with different tension between blocks. Honeycomb structure makes a peculiar character with a drooping warp, weft, or both of them which shaped circle or oval. It is different from ordinary structures. The Structure forming small shape of prominence and depression is one of the block designs.It looks most beautiful in shape with small and balanced block design. Based on the background of honeycomb weave, I studid on the basic structure of honeycomb shape to understand genesis of technical honeycomb terms and a peculiar character of honeycomb structure and suggested various application in shape. I studied the application of form according to harness. Among a few tactic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Textile industry, it is good model to us that Japan developed special fabric by developing new textile and structure. I wish there will be a lot of weavers' studies for structures.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친족 호칭 비교 연구 -친족지칭 "조카"에 대한 비교

        유현아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9

        漢語親屬稱謂的선變需要從社會和文化上理解。因此本文通過社會語言學的角度探討指稱侄子(女)的稱謂的歷時演變,可見漢語親屬稱謂具有明顯的特點。隨著中國各種社會制度的變更,關於指稱侄子(女)的稱謂也發生著相應的變化。指稱侄子(女)的稱謂之歷時演變壹方面反映這壹類詞在語言系統中功能配置的演變,同時也反映出指稱侄子(女)稱謂的時代變遷,還涉及到中國古代結婚文化進步的過程。

      • KCI등재

        지방선거 매니페스토 제도 도입의 실효성 평가

        유현종(劉泫鍾),최연태(崔連泰)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지방선거에서의 매니페스토 제도 도입이 지방자치에 실질적이고 유효한 변화를 야기하는지 여부를 기초지자체의 예산지출 구조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매니페스토 제도 도입여부’가 기초 지자체의 일반회계 예산 규모, 행정운영경비 비중, 정책사업비 비중 등에 기대했던 변화를 실제 초래하는지 여부를 2004년부터 2009년까지 230개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패널데이터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매니페스토를 도입할 경우 당초 기대와는 반대로 일반회계 예산지출이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행정운영경비 비중은 유의미하게 증가하며, 정책사업 비중은 비록 유의미하지는 않으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니페스토 실천 제도가 예산지출과 실질적으로 연계된 실효적 제도로서 자리매김하지 못한 채 선거과정에서의 홍보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매니페스토 제도 도입이 실체적 효과를 담보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