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roiler생산에 있어 점등방법이 그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창우,오세정 한국가금학회 1987 韓國家禽學會誌 Vol.14 No.1

        본 시험은 broiler 사육에 있어 점등방법이 broiler 증체나 사료요구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판사료를 이용하여 1986년 4월3일부터 동년 3월 21일까지 49일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broiler 감별 웅추 180수를 공시하였다. 시험구는 24시간 연속점등 방법(24L), 1시간 점등에 3시간씩 소등하는 간헐점등 방법(24L), 1시간 점증에 3시간씩 소등하는 간헐점등 방법(1L+3D), 20시간 점등에 4시간 소등하는 방법(20L+4D) 및 자연일조시간을 이용하는 방법(Natural)등 4개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시험기간중의 증체량은 1L+3D구가 가장 높았으며, 20L+4D구, 24L구, Natural 구 순으로 낮아졌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2. 전기 4주간의 증체량은 1L+3D구와 20L+4D구가 Natural구와 24L구보다 현저히 높았으나 각 추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각 구별로는 1L+3D구가 가장 증체량이 높았으며, 20L+4D구, Natural 구, 24L 구 순으로 낮아졌다. 3. 후기 3주간의 증체량은 24L구, 1L+3D구, 20L+4D구, Natural구 순으로 낮아져서 전기와는 상이한 경향을 보였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며 증체량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4. 전시험기간중 사료요구율은 1L+3D구가 가장 좋았으며, 20L+4D구, Natural구, 24L구 순으로 나빠졌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각 처리가 거의 같은 수준을 나타내어 각 처리별 점등방법이 공시계가 충분히 사료는 섭취하는 데는 시간이 부족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사료 섭취후 일정시간 활동을 억제하는 것이 사료요구율 개선에 좋은 영향을 미쳤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전기 4주간의 사료요구율은 1L+3D구와 20L+4D구가 Natural 구와 24L구에 비하여 현저히 좋았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각 구별로는 1L+3D구가 가장 사료요구율이 좋았으며 20L+4D구, Natural구, 24L구 순으로 나빠졌다. 6. 후기 3주간의 사료요구율은 1L+3D구가 가장 좋았으며 24L구, 20L+4D구, Natural구 순으로 전기와는 상이한 경향을 보였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며 사료섭취량도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broiler에 있어 일정시간 점등과 소등을 계속하거나 일정시간 소등을 해주는 간헐점등 방법이 24시간 연속점등방법이나 자연일조시간 방법보다 증체량이나 사료요구율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Four treat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ghting regimes on the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of broiler chicks during 7 weeks: 1) 24 hours consistant lighting regime, 2) intermittent lighting regime of 1 hour lighting and 3 hours dark, 3) 20 hours lighting and 4 hours dark regime, 4) natural lighting regime. Each treatment was composed of three replications and 180 broiler male chick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45 chicks for each treatment,15 chicks for each re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ody weight gains of 1 hour lighting+3 hours dark regime were heavier than those of any other treatments during whole perio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1-4 weeks, the body weight gains of 1 hour lighting+3 hours dark regime and 20 hours lighting+4 hours dark regime were much heavier than those of natural lighting regime and 24 hours consistant lighting regime, but in 5-7 weeks,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4 treatments. 2. The feed conversions of 1 hour lighting+3 hours dark regime were improved more than those of any other treatments during whole perio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1-4 weeks, the feed conversions of 1 hour lighting+3 hours dark regime and 20 hours lighting+4 hours dark regime were much more improved than those of natural lighting regime and 24 hours consistant lightine regime, but in 5-7 weeks,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4 treatments. 3.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mittent lighting regimes such as 1 hour lighting+3 hours dark and 20 hours lighting+4 hours dark are more efficient on the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of broiler chicks than natural lighting regime and 24 hours consistant lighting regim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카드뮴과 납의 다경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

        유창우,권훈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5 No.6

        국내외적으로 유해물질의 통합 노출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중금속에 대한 통합 노출 연구가 필요하다. 카드뮴과 납은 각각 신장 독성과 인지 장애 등 다양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발암 물질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과 납의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2016, 2017년의 7기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참여한 10,733명의 식품, 물, 흡연과 간접흡연, 호흡, 화장품, 여성용 위생용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 추정량을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카드뮴과 납 모두 식품을 통한 노출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흡연은 카드뮴의 주요한 노출원이었으며, 납은 화장품을 통해 높은 농도로 노출되었다. 통합 위해평가에서도 식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지역적 특성의 차이는 노출 추정량의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연령 별, 성별 간 노출 추정량은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월경 중인 성인 여성의 경우 카드뮴, 월경 중이지 않은 여성은 납의 노출 추정량이 더 높으며 신체 대사를 고려하였을 때, 그 위험성이 더 클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평가 모두 식품이 주요 노출원이었다. 다만, 잠재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경로에 대한 노출량 추정 및 위해평가가 요구된다. Exposure to hazardous substances occurs through multiple pathways. Aggregated risk assessment, which includes all potential exposure pathways to a single toxicant, is necessary to prevent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We aimed to estimate cadmium and lead exposure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food, water, air, smoking, cosmetics, and female hygiene products. This study covered 10,733 subjects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6, 2017). Dietary exposure was estimated using 24-hour recall data. For water and inhalational exposure, regional variations were considered. Water was classified as tap, bottled, and public water. Inhalational exposure was estimated using the ‘2014 Time Use Survey’ based on daily lifestyle and social status. The frequency and volume of cosmetic usage were randomly approximated by sex and age. Post-menarcheal and premenopausal women were assumed to use feminine hygiene products. Non-carcinogenic aggregated risks were estimated using the Aggregate Risk Index from EPAs and the Total Exposure Hazard Index from Korean government guidelines. For carcinogenic risk assessment, excessive cancer risk was estimated. Ingestion, especially food, was the major route for both cadmium and lead exposure. Smoking was also associated with high cadmium exposure. Exposure to lead from cosmetics was remarkable but not critical. In aggregate risk assessments, median cadmium and lead exposure did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Sex, age, smoking status, and income affected exposure levels, unlike to regional variations.

      • KCI등재

        Comparative sub-chronic toxicity studies in rats of two indistinguishable herbal plants,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ey and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유창우,홍소혜,이진희,정기경,오재호,정자영,권훈정,강종구,양준영 한국식품과학회 2022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31 No.6

        Sub-chronic toxicity studies using rats have been conducted for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ey (CW) and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CA). CW water extract didn’t show any adverse effects whereas administering CW powder decreased body weights in complication with decreased food consumptions. In the case of CA water extract, triglyceride and absolute/relative liver weights were elevated and vacuolation was observed in liver. Treated CA powder in male rats increased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induced single cell necrosis and multinucleated hepatocyte in liver. As for female rats, increased absolute/relative weights and hypertrophy/vacuolation in adrenal glands and vacuolation in ovaries were observed when administered CA powder. In conclusion,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of CW water extract was over 5000 mg/kg/day, while NOAEL of CW powder was 700 mg/kg/day for female and 150 mg/kg/day for male. In case of CA, NOAEL of water extract was 1500 mg/kg/day for male and 2000 mg/kg/day for female, while NOAEL of powder was 150 mg/kg/day for both gend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ub-chronic toxicity study on the adverse effects, target organs and its dose levels of C. wilfordii (Maxim.) Hemsley and C. auriculatum Royle ex Wight following GLP protoc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