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위기 유형화에 따른 위기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유지윤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10

        Tourism is sensitive to different kinds of crisis as it has been seen in the case of 9·11, tsunami, recent radiation rise in Japan. In the context, the importance of tourism crisis management has been emphasized.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build a crisis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types of tourism crisis.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suggested seven different types of tourism crisis: tourism cooperation management crisis, natural disaster, traveller's security crisis, political crisis, economic crisis, disease and hygienic crisis and technology crisis. Out of the seven crisis, this study suggested crisis management strategies for five public crisis including natural disaster, travellers' security crisis, political crisis, economic crisis, and disease and hygienic crisis. Particularity, the five aspects of crisis management strategies were examined in terms of proactive strategies and reactive strategie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위기관련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위기관리를 위해 위기 유형별 대응전략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Cooms, 2000; Cooms & Holladay, 2002 & 2004; Fearn-Banks, 1996). 특히 관광부문의 위기는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고 그 유형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관광위기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먼저 위기 유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오상훈 & 양필수, 2008; 유지윤, 2001).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위기를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위기관리 전략을 구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위기 및 관광 위기와 관련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관광위기를 유형화하고 둘째, 관광 위기 유형의 특성을 반영하고 관광 위기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유형별 위기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관광위기를 발생지와 대상자를 중심으로 직접적 위기와 간접적 위기로 구분하여 유형화 하였다. 이후 도출된 위기 유형을 바탕으로 유지윤(2011)의 연구에서 제시된 관광산업 위기관리 모델을 바탕으로 관광위기의 접근 방식을 선제적(proactive) 접근방식과 대응적(reactive) 접근방식으로 구분하고 다시 위기 관리의 단계와 구성요소에 따라 관광위기의 유형별 위기 관리 전략을 위기발생 이전(예방․대비 단계)과 위기발생 이후(대응․복구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위기관리 전략의 세부 내용과 관련해서도 관련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논리적 객관성을 보완하였다본 연구는 관광 위기 유형별 위기 관리 전략을 통합적으로 제시한 최초의 연구라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위기 관리 단계를 보다 세분화해서 제시하지 못한 점은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관광 위기 유형별 위기 관리 전략을 바탕으로 공공차원의 위기 관리 가이드 라인과 산업 측면의 세부적인 위기 관리 매뉴얼이 개발 될 필요가 크다.

      • KCI등재

        농촌마을의 힐링자원화 선진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농촌힐링관광지 육성 정책모델 연구

        유지윤,오문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1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esent policy models for fostering rural healing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Using and creating healing resources of rural tourism area is one alternative that can overcome various problems in society, such as aging and excessive stress of modern people, and create income sources by putting new value on the rural areas. Thus, the government is already focusing its efforts on encouraging rural tourism through various projec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local rural tourism villages need to develop tourism products and programs that are highly associated with natural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in rural villages, and needs to repair aged infrastructure and strive for promotion and marketing. Care farms in Netherlands and community-based health tourism(CBHT) villages in Thailand, both of which are advanced cases in rural healing tourism, have been successful by actively utilizing the healing power of the rural areas. In particular, institutional base, financial support, and cooperation among related ministries were the main factors of success. In this study, we present a care farm model, a healing characterization model, a community-based health tourism model as policy models for fostering rural healing tourist sites in Korea, and proposed components, similar projects, examples of healing programs, support projects, and related ministries/organizations that need cooperation to ensure successful promotion. 본 연구는 국내 농촌힐링관광지 육성을 위한 정책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농촌관광지의 힐링자원화는 고령화, 현대인의 과도한 스트레스 등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농촌에 새로운 가치를 입혀 소득원을 창출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정부에서도 이미 다양한 사업을 통해 농촌관광 육성에 힘을 쏟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농촌관광마을들은 농촌마을의 자연자원, 문화자원과의 연관성이 높은 관광상품 및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노후화된 인프라의 보수, 홍보 및 마케팅 지원 등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농촌마을을 힐링자원화한 해외 선진사례인 네덜란드의 케어팜(care farm)과 태국의 커뮤니티 기반 헬스관광(CBHT) 마을들은 농촌이 가진 치유의 힘을 적극 활용하여 성공을 거둔 사례로 분석되었다. 특히, 제도적 기반, 재정적 지원, 관련부처 간 협업 등이 주요 성공요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촌힐링관광지 육성 정책모델로서 케어팜 모델, 힐링 특성화 모델, 커뮤니티 기반 헬스관광모델을 제시하고 구성요소, 유사 사업, 힐링 프로그램 예시, 지원 사업, 성공적 추진을 위해 협업이 필요한 관련부처/조직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