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에서의 영성회복: 학교에서의 영성교육을 위한 시론

        유재봉 ( Jae Bong Y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1

        이 논문은 오늘날 학교의 다양한 병리 현상과 파편화된 인간의 문제가 교육에서의 영성의 상실에서 비롯되었다는 전제하에, 교육에서의 영성교육의 위치를 재음미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현대 교육의 문제점을 영성교육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영성교육이 왜 상실되었는가를 지성사적, 문화적, 정책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영성교육이 무엇이며, 왜 영성교육을 해야 하는지를 논의한 후, (학교)교육에서 영성을 어떻게 함양 할 것인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성과 과학을 중시하는 시대정신, 사이버와 물질적인 것을 추구하는 풍토, 가치와 종교 중립적 정책 등이 교육에서 영성의 상실을 초래하게 되었다. 영성의 상실은 인간의 한 측면의 상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총체적 인간 형성을 불가능하게 한다. 학교에서 종교적 영성교육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나, 총체적 인간의 형성을 위해서 적어도 비종교적 영성교육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restate the importance of pursuing spirituality in education having faced human debris and pathological symptoms in school. To this end, I explore the causes of forgetting spirituality in education in terms of the history of intellect, culture, and educational policy. Furthermore, I discuss why we should pursuit spirituality and how to cultivate in school education. The modern thought imbued with scientific thinking and reason, material and economy, and neutrality in education has brought about neglection of spirituality in education. The lack of spirituality does not only deprive one aspect of the whole person, but also makes it difficult for us to become integrated people.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a wholly-balanced person and aid human flourishing, the pursuit of spirituality is necessary in school education, in the form of either religious or secular spirituality.

      • KCI등재

        학교폭력의 현상과 그 대책에 대한 철학적 검토

        유재봉 ( Jae Bong Yo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ition and its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appearances of school violence critically. To accomplish this end, I sketched conceptions of school violence, explored the view grounded on the appearances of school violence, and criticized ``th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of school violence`` which is relied on the appearances of school violence. My main argument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We should consider the reality of school violence rather than the appearances of that, when we see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On the same token, the countermeasure of school violence should be radical rather than superficial. The radical countermeasure of school violence should also be based on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which is liberating from pupils from ignorance on the one hand and cultivating moral dispositions on the other. 이 논문은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그것의 외양에 근거해 보는 관점과 그것에 토대를 둔 대책을 비판적으로 검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학교폭력의 개념을 분석하고,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외양에 두는 통념과 그에 기반을 둔 정부의 학교폭력 대책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면서, 그러한 통념에 대한 대안적 관점과 교육적 관점을 제안하였다.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 사람들은 대체로 그 근거를 학교폭력의 ‘실재’보다는 ‘외양’에서 찾고 있다. 정부의「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도 근본적인 대책이라기보다는 학교폭력의 외양의 심각성에 토대를 둔 처벌주의와 대증적 성격을 띤 대책이다. 이러한 성격의 대책은 필요한 것이기는 하나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교육적인 것은 아니다. 학교폭력을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타인을 ‘해치려는 마음의 상태’로부터 해방하거나 ‘해치려는 의도가 부재한 마음의 상태’를 길러주어야 하며, 그것은 합리성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이성을 자유로운 상태로 끌어 올리는 방식과 인간을 존중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도덕적 심성을 함양하는 방식을 통해 가능하다. 이 일은 어렵고 대단한 노력이 요구되는 만큼, 그것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가정과 사회 풍토가 요청된다.

      • KCI등재

        이론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의 '실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

        유재봉(Jae-Bong Yo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0 교육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교육에서 흔히 실제 혹은 실천의 개념을 이론에 대비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이원론을 사회적 실제의 관점에서 옳지 않다는 것을 밝히기 위한 시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론'과 반대되고 분리되는 개념으로서의 '실제'혹은 '실천'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그리스 맥락에서의 프락시스, 라일과 비트겐쉬타인과 같은 현대 철학자들의 실제에 관한 논의, 그리고 교육적 관점에서의 이론과 실천간의 역동성에 비추어 논의했다. The conception of 'practice' is often understood as 'everything that is not 'theory'' without any doubt. Is this conventional usage of 'practice' correct? This paper tries to show that the conventional usage of 'practice' is not appropriate in terms of the Greek notion of 'praxis'. Ryle's 'knowing how' and Wittgenstein's 'language-games', and is also not appropriate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My min arguments for thi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of all, a conventional usage of 'practice' is mistaken in the light of the Greek notion of praxis. The notion of praxis makes sense in relation to poiesis('making' or 'producing') rather than theoria('theory'). Two ways of live, I.e. theoretical life and practical life also should he understood as a way of two different forms of socially embedded human activities rather than a dualistic distinction. Secondly, for Ryle and Wittgenstein, all human activities, whether 'knowing that' or 'knowing how', or 'language-games', are basically regarded as 'practices'. For Ryle, 'knowing how' is logically prior to 'knowing that' and thus practice is not a step-child of theory, but rather theory cannot be fully understood without participating in practices to which someone belongs. For Wittgenstein, language-games are fundamentally social practices that relate to bringing about some actions and doings through engaging in the activity rather than simply linguistic utterances or statements. Lastly,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the strict dichotom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may not plausible in that it tends to overlook the nature of educational practices and the role of practitioners who engage in them and, further, the dynamics among practitioners, practice and theory. Given these grounds, I would suggest that the conception of practice can be fully, and adequately, understood in terms of social practices in which people engage.

      • KCI등재

        학교 인성교육의 문제점과 방향

        유재봉 ( Yoo Jae-b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3

        이 논문은 인성교육 정책을 학교 수준에서 검토하고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인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현행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교육정책과 관련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학교 수준에서 바람직한 인성교육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인성은 물성과 구분되는 인간다운 성향과 성품의 총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그것은 교육을 통해서 인간만이 보다 온전하게 성취할 수 있다. 인성의 개념은 또한 기술적 의미보다는 규범적인 의미로, 그리고 인격이나 도덕성처럼 좁게 규정되기보다는 인간다운 특성 전체를 일컫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인성은 인성 요소나 덕목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각각의 인성요소를 단순히 합하여 가르친다고 길러지는 것이 아니며, 특정 인성 요소를 함양하는 유일한 교육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다.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증요법으로 부족하며, 이 점에서 보면 실천 혹은 체험 중심의 교육은 근본적인 방안이 될 수 없다. 학교 인성교육의 방향은 올바른 교과교육 혹은 지식교육을 통해 다양한 교과에 스며있는 가치를 내면화시키는 일과 교과 공부가 실지 삶과 유리되지 않도록 ``프락시스로서의 교육``을 하는 일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Korean education policies regarding character education, an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To this end, I intend to analyse the concept of humanity compared with animality, examine the problems of humanity education with regard to educational policies in Korea, and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humanity education in schools. The main arguments are as follows. Unlike animality, humanity is a complex concept with a distinctive humane nature and character, and it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 of humans. The conception of humanity should be understood in a normative sense rather than a descriptive sense, and understood in a broad sense rather than a narrow sense. Humanity is neither learnt through adding various humanity elements and virtues nor by specific teaching methods. Solving the problems of humanity education is not done sufficiently by symptomatic therapy, thus practice-based or experience-based activities are by no means a fundamental solution. Rather, humanity education in schools should focus on both subjects-based education which addresses internalization of values of various subjects and praxis-based education which stresses the connection of life and knowledge.

      • KCI등재

        자유교육 기원에 관한 논쟁 검토: 뮤어(J. Muir)의 논의를 중심으로

        유재봉 ( Jae Bong Yoo ),정철민 ( Chul Min Jung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7 No.-

        자유교육은 (학교)교육의 전형으로 간주될 만큼 오랫동안 교육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현대적 자유교육개념은 허스트가 정치한 교육이론으로 정립한 것이며, 영미 분석적 교육철학자들에 의해 그 가치가 정당화 되어왔다. 허스트가 자유교육의 기원을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찾은 이후, 자유교육의 기원이 아리스토텔레스라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이에 대해 뮤어는 그러한 통설을 포함한 자유교육의 논의들이 공통적으로 역사적 무지에서 비롯되었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누락시켰으며, 철학적 전통과 교육학적 전통을 혼동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그에 의하면, 자유교육의 기원은 아리스토텔레스라기보다는 이소크라테스이다. 자유교육의 기원에 대한 논쟁은 교육철학과 교육의 역사적 사실, 그리고 철학적 전통과 교육학적 전통의 관계에 대한검토를 필요로 한다. 자유교육 기원에 대한 논쟁은 결국 상이한 자유교육의 개념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힌다. 허스트가 원리 혹은 정신으로서의 자유교육의 기원을 제시한 것이라면, 뮤어는 프로그램으로서의 자유교육의 기원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Liberal education as the pursuit of theoretical knowledge, which was elaborated by P.H Hirst, has been regarded as a typical form of (school) education. Hirs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developed the Aristotelian conception of liberal education. It is therefore taken for granted that the origin of liberal education was from Aristotle`s idea. However, J. Muir refuted the generally accepted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uir`s view on the origin of liberal education. According to him, the common view on the origin of liberal education has a weak stance in two grounds, i.e. lack of historical facts and not justl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hilosophical tradition and the educational tradition. He claims that the liberal education was from Isocrates`s idea, for Isocrates established his school prior to Aristotle`s one historically, as well as the school curriculum being based on the seven liberal arts. The question of whether Muir`s view is correct could be answered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facts and philosophical arguments of liberal education, and the validity of his distinction between the philosophical tradition and the educational tradition in detail. Regardless of whether his view on the origin of liberal education is right,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striking difference between Hirst`s view and Muir`s view; which was fundamentally due to different conceptions of liberal education., i.e. liberal education as a principle for Hirst and liberal education as a programme for Muir.

      • KCI등재
      • KCI등재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도덕교육

        유재봉(Jae-Bong Yoo) 한국도덕교육학회 2000 道德敎育硏究 Vol.12 No.2

        본고는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허스트의 사회적 실제에 기반을 둔 교육 의 관점과 논리를 종전의 교육 패러다임인 자유교육과 관련하여 드러내고, 그것이 도덕교육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기 위한 시도이다. 자유교육과 사회적 실제에 기반을 둔 교육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교육이 추구하는 좋은 삶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기인한다. 자유교육에서는 좋은 삶을 합리적인 마음 혹은 이론적 합리성을 추구하는 일로 보며, 교육의 초점은 주로 지식의 형식으로 대표되는 이론적 교과를 가르치는 일에 둔다. 반면에, 사회적 실제에 기반을 둔 교육에서의 좋은 삶은 주어진 상황에서 인간의 전반적인 욕구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최대한 만족시키는 삶이다. 이러한 실질적인 좋은 삶을 사는 데는 실천적 합리성이 요구되며, 그것은 삶의 추상인 이론적 교과를 공부함을 통해서라기보다는 우리가 실지로 살고 종사하고 있는 합리적인 사회적 실제에 입문함으로서 습득될 수 있다. 사회적 실제의 관점을 따를 때, 교육과 도덕교육은 실천적 합리성에 따른 실질적인 좋은 삶을 영위하는 데 두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을 그 사회의 합리적인 실제에 입문하는 길밖에 다른 방도가 없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from liberal education which concerns with forms of knowledge to social practices-based education which concerns with social practices . This paradigm shift brings about the change of educational perspectives as a whole and of moral education.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assertions and logic this paradigm shift and its moral implications.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liberal education and social practices-based education depends on what the good life is. The good life in liberal education is regarded as the pursuit of rational mind or theoretical rationality and thus this type of education addresses the transmission of theoretical subjects or disciplines so-called forms of knowledge . The good life in social practices-based education is connected with the maximisation of the overall desire satisfaction in the long run of the people engaged in the social practices and thus stresses practical rationality by initiating people into rational practices to which they belong. In conclusion, in so far as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is concerned with fulfilling the good life, it is natural to say that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rational practices developed by practical reason so as to maximise the satisfaction of human wants and desires.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의 종교적 차원과 그 정당화

        유재봉 ( Jae Bong Yoo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validity of teaching a religious dimension in education. School education fails to bringing up children to the whole person. The fundamental reason of this seems to be seen excluding religious dimension in education. The religious dimension in educ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forming a whole knowledge in that it is a portion of whole knowledge as well as integrating all knowledge. Nevertheless, Korean schools tend to exclude religious education under name of ``religious neutrality`` in education. The exclusion of a religious dimension in education results in short of the whole person education which has balancing diverse aspects of human, such as a mental, moral, aesthetic and religious aspect. In conclusion, religious education is necessary in those religion is a mode of reality and one of forms of knowledge as well as every human has a religious root. Therefore, a key task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explore and specify a religious dimension i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