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판단력비판』의 §59 <윤리성의 상징으로서 의미에 대하여>에 대한 정합적 해석

        유일환 ( Il Hwan Yu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3 시대와 철학 Vol.24 No.4

        칸트는 『판단력비판』의 여러 곳에서 미와 윤리성을 관련시킨다. 그중 특히, 59절 <윤리성의 상징으로서의 미에 대하여>에서는 서로 상반된 해석이 충돌하고 있다. 문제가 되는 지점은 ‘취미판단의 보편타당성의 요구’와‘윤리성의 상징으로서 미’의 관계이다. 즉, ‘윤리성의 상징으로써의 미’로부터 ‘취미판단의 보편타당성의 요구’가 완성되는지, 혹은 반대로 ‘취미판단의 보편타당성의 요구’로부터 ‘윤리성의 상징으로서 미’가 성립하는지가 대립의 핵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감적 판단에 대한 보편적 동의 요청’과 ‘윤리성의상징으로서 미’를 정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판단력비판』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칸트 철학에서의 유기성을 유지하는 것에 있다. 이에 따른 글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와 윤리성의 상징을 둘러싼 상반된 해석의 문제를 제기할 것이다. 둘째, 미와 윤리성의 상징을 연역의 완성으로 파악하는 크로포드의 주장을 다룰 것이며, 셋째, 취미판단의 자율성의 보증이라는 관점을 취하고 있는 앨리슨의 입장을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취미판단의보편성의 요구’와 ‘윤리성의 상징으로서의 미’의 관계를 정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Kant intends to connect the beautiful and the morality in various parts of The Critique of judgment Power. In particularly, contrary to interpretation is clashed in §59 "The Beautiful as a Symbol of The Morality". The point of a question is to mediate relation between demanding of everyone of the pleasure of taste and the beautiful as a symbol of the morally good. In other words, the point of opposition is whether only because the beautiful symbolizes the morally good that the pleasure of taste can be demanded (as a duty) from everyone, or the other way, because the beautiful pleases in a way that permits the pure judgment of taste to lay claim to the assent of everyone that it symbolizes morality.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rve consistency in The Critique of judgment Power and to preserve organic in kant`s philosophy by interpreting appropriately relation between that the beautiful symbolizes the morally good and the pleasure of taste can be demand of taste. Accordingly order of this paper is that first, I`ll raise a question about contrary to interpretation in the beautiful as a symbol of the morality good; second, I`ll deal with Crawford, D.`s argument that he suggests the justificatory project of the Deduction by means of the beautiful as a symbol of the morally good; third, I`m going to give consideration Allison`s argument that he suggests the point of the problem is to preserve the autonomy of taste; finally I shall find a way to interpret appropriately relation between that the beautiful symbolizes the morally good and the pleasure of taste can be demand of taste.

      • KCI등재

        칸트의 황금률 비판과 유가의 충서(忠恕) 개념

        유일환(Yu, Il Hwa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3 No.-

        유가의 충서(忠恕) 개념은 칸트의 황금률 비판을 넘어설 수 있는가? 이 문제를 다룬 국내 연구에는 문병도와 임헌규가 있다. 문병도는 충(忠)을 한낱 서(恕)의 보조적인 의미로 여기고, 오직 서(恕)의 원리를 재해석함으로써 칸트의 비판을 넘어서고자 한다. 반면, 임헌규는 충(忠)과 서(恕)를 각각 독립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하고, 충(忠)이 황금률인 서(恕)를 보완한다고 해석한다. 두 해석 중 어느 것이 더 타당한 해석인가? 나는 두 입장 중에서 임헌규의 입장에 동의한다. 따라서 이 글의 목적은 충(忠)이 서(恕)를 보완한다는 해석을 통해서 충서(忠恕) 개념이 어떻게 칸트의 황금률 비판을 넘어설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유가의 충서(忠恕) 개념이 보편적 도덕법칙으로 타당한지 여부를 검토해 볼 것이다. Kant criticizes the golden rule in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The point of criticism is that the golden rule never corresponds with universal laws of morality. Then, how about zhong-shu (忠恕) of Confucianism? Generally speaking, the shu (恕) of zhong-shu (忠恕) is referred to as the golden rule. Does zhong-shu (忠恕) not meet the universal laws of morality according to Kant’s golden rule critique? Moon Byung-do and Lim Heon-gyu are domestic researchers focusing on this problem. Moon Byung-do identifies the principle of shu (恕) construction on the universal laws of morality by setting logical problems, and Lim Heon-gyu emphasizes both shu (恕) and zhong (忠) and through this he proves that the principle of zhong-shu (忠恕) meets universal laws of morality. Which two interpretations are more valid? I agree with Lim Heon-gyu’s argument.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zhong-shu (忠恕) passes over Kant’s critique of the golden rule by means of the interpretation that zhong (忠) complements shu (恕).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I will investigate whether zhong-shu (忠恕) of Confucianism is based on the universal laws of morality or not.

      • KCI등재

        빈카 마이너 추출물의 항균 및 면역활성 연구

        김준섭,강조은,유일환,정경환,문기성,이향렬,Kim, Jun-Sub,Kang, Jo-Eun,Yu, Il-Hwan,Jung, Kyung-Hwan,Moon, Gi-Seong,Lee, Hyang-Yeol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2 No.1

        EtOH 추출법과 열수 추출법을 사용하여 빈카민 등의 빈카 알칼로이드 화합물을 함유한 빈카 마이너 추출물을 얻었다. 이들 추출물을 사용하여 비듬균, 효모, 그람양성 및 음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 하였다.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대하여 표준물질인 빈카민과 EtOH 추출물은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은 반면 열수 추출물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열수 추출물은 그람양성 및 음성세균에 속하는 바실러스(Bacillus sp.)와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HaCaT 세포(인간 케라티노사이트 세포), HT-29 세포(인간 결직장 선종암 세포), Raw 세포(인간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해당 세포들에 대해 특별한 세포독성은 발견 되지 않았다. 또한 형광기반의 탐색물질인 디클로로플루오신 디아세테이트(DCFDA)를 이용한 활성산소종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HaCaT 세포와 HT-29 세포군에서 활성산소종의 형성이 약 20% 정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inca alkaloid compounds including vincamine from Vinca minor L. have been extracted by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ion methods.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hose extracts have been investigated against dandruff causing microorganism Malassezia furfur, yeast, Gram 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Vincamine standard and ethanol extract showed no sign of antimicrobial activity, whereas hot-water extract had the activity against M. furfur. Furthermore hot water extract ha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Bacillus sp. and Gram negative Escherichia coli. Cytotoxic properties of those extracts have also been investigated with HaCaT cell (human keratinocyte), HT-29 cell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 and Raw cell, showing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s. We also measured the ROS using 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a popular fluorescence-based probe for reactive oxygen species detection. The result showed the increaseme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20%) in HaCaT and HT-29 cell 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