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담수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에서 분리된 내생균류의 지베렐린 생산과 동정

        유영현,강상모,최유미,이명철,김종국,You, Young-Hyun,Kang, Sang-Mo,Choi, Yu-Mi,Lee, Myung-Chul,Kim, Jong-Guk 한국균학회 2015 韓國菌學會誌 Vol.43 No.1

        수생식물 샘플은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는 달성습지에서 자라풀을 채집하였다. 자라풀의 뿌리에서 내생균류를 분리하고 형태가 다른 균주를 관찰하여 최종적으로 16개 균주를 선발하였다. 내생균류의 배양여과액은 식물생장촉진활성 검정을 위하여 난장이벼에 처리하여 스크리닝하였으며, HD1008 균주가 식물생장촉진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HD1008 균주의 배양여과액을 HPLC와 GC/MS-SI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HD1008 균주가 식물호르몬인 지베렐린 $GA_1$ (1.2 ng/100 mL)과 $GA_4$ (5 ng/100 mL) 를 생산하는 것을 정량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HD1008균주의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동정에 이용하였으며, 분자적인 방법과 형태적인 방법으로 관찰하였을 때,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새로운 P. trzebinskii로 동정되었다. Aquatic plant Hydrocharis dubia (Blume) Backer was collected from the Dalsung wetland in Daegu. Sixteen endophytic fungi with different colony morphologies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aquatic plants. Waito-c rice (WR) seedlings were treated with fungal culture filtrates (FCF) for screening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y. In the results, HD1008 strain isolated from aquatic plant showed highest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y. The FCF of HD1008 strain wa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with selected ion monitoring (SIM). Analysis of the FCF of HD1008 strain found that it contained gibberellins (GA) ($GA_1$, 1.2 ng/100 mL; $GA_4$, 5 ng/100 mL). Phylogenetic tree of HD1008 strain was constructed by parti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and partial beta-tubulin gene sequences. Therefore, we describe HD1008 strain as a new gibberellin-producing Penicillium trzebinskii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 KCI등재

        재난적 해양오염방제시스템의 바람직한 개선방향

        유영현(Yung Hyun Yu)(柳泳賢)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2

        과거 씨프린스호나 허베이스피트호 오염사고처럼 향후에 이보다 더 큰 규모의 국가재난적 해양오염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내재되어있다. 국ㆍ내외의 재난적 오염사고 방제과정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해양오염방제시스템의 문제점과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이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사고에 대한 예방, 대비책으로 적극적인 해상교통관제, 대응복구책으로는 지자체의 방제실행능력배양과 제도개선, 방제유형별 전문교육훈련체계수립, 합리적인 방재종료기준마련, 자원봉사자관리시스템마련, 사후관리책으로는 피해보상에 대한 과학적 입증체계마련, 갈등해소책등의 합리적인 대책 등이 필요로 되어짐을 지적하였다. Like past pollution accidents of the Sea Prince or the Hebei Spirit, it is possible bigger disastrous pollution accidents than this one would occur in the country in the future. Based on experiences of preven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disastrous pollution accidents,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scientific and efficient improvements in problems of marine pollution prevention system. As preventive measures on such kind of accident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positive vessel traffic system, materialization of defense resources mobilization plan on national emergency prevention plan, disasters prevention equipment mob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waters characteristics; and, as responsive recovery measures, it is also required to establish disasters prevention development ability and system improvement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Corporation, professional education/training system as per prevention of disasters, reasonable disasters prevention closing criteria, voluntary service control system; and as follow-up management measure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reasonable measures including scientific verification system for damage compensation, conflict solutions, and others.

      • KCI등재

        해양경찰 공무원의 공정성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영현 ( Yu Yung-hyu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4

        세월호 사태 이후 문재인 정부출범과 함께 해양경찰청 체제가 본격화됨에 따라 이전보다 훨씬 강한 해상치안 서비스 실현을 위해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역량강화가 시급하며, 해양경찰공무원들의 해양경찰조직에 대한 헌신적인 자세와 태도가 요구된다. 해양경찰이 보다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양경찰공무원 들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도의 재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기에 해양경찰의 어떠한 공정성(분배, 절차, 상호작용)요인이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해양경찰조직의 인사·조직관리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상호작용 공정성(표준화계수 β: 0.365)이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다음으로 분배공정성(표준화계수 β: 0.218)과 절차 공정성(표준화계수 β: 0.191)순으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상호작용 공정성(표준화계수 β: 0.363)이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다음으로 분배공정성(표준화계수 β: 0.295)과 절차 공정성(표준화계수 β: 0.136)순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위 연구결과를 요약하여보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공정성 요인은 상호작용공정성이고 다음으로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With the launch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after the Sewol ferry, the maritime police agency system was in full swing, and it is urgent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maritime police officers to realize a much stronger maritime security service than before. In order for the maritime police to secure higher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to the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policies of maritime police organizations by analyzing which factors of Justice (distribution, procedure, interaction) of the maritime police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maritime police officers during this period. Proceede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Interactional Justice (standardization factor β: 0.365) had the greates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llowed by distributive Justice (standardization factor β: 0.218) and procedural justice (standardization factor β: 0.191), in order,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actional Justice (standardization factor β: 0.363) had the greatest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distributive justice (standardization factor β: 0.295) and procedural justice (standardization factor β: 0.136), in order, affecting job satisfactio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factors of justice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interactional justice, followed by distribution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내 신뢰와 조직몰입과의 관계

        유영현(Yung-Hyun Yu)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해양경찰조직은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조직 신뢰 및 대인간 신뢰가 바탕을 이뤘을때 조직의 효과성이 크게 고양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경찰조직은 해상에서 함정을 근무수단으로 하여 각종 해상치안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해양경찰공무원들의 경우 조직내 신뢰요인들별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양상을 조사함으로서 향후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조직몰입도 제고노력이 요구되어진다.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행한 결과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해양경찰공무원의 경우 조직신뢰요인은 조직몰입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고 다음으로 대인간 신뢰요인중에서는 동료신뢰 요인이 상관신뢰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해양경찰공무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신뢰요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비 간부에 비해 간부가 동료를 더욱 신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관신뢰보다 동료에 대한 신뢰가 높은 이유는 해양경찰의 경우 근무여건으로 인하여 그들간의 접촉 빈도가 많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 연구결과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몰입도 제고를 위해서는 조직신뢰와 동료신뢰를 제고시키는 다양한 인사ㆍ조직 관리전략이 필요로 되어짐을 발견할 수 있다. Coast guard organization has very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 with other gene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r police organizations. Because they are charging various coastal crimes and safeties by using war vessel at ocean, it was expected that in case of coast guard officers, the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for each trust factor within organization has the differentiation with other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Core of results by conducting positive research is as following: It is indicated that for coast guard officer, organization trust factor most strongly impacts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f social trust factors, colleague trust factor more impacts relatively than boss trust factor. Then, when searching the difference of trust factor recognition depending on population sociological properties of coast guard officers, it is indicated that the one having the experience of working at war vessel has more trust to its colleagues than the one having not and executives more trust their boss than non-executives. The reason why the trust to colleague is higher than to boss is recognized that it is caused from deep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who work and live together when considering working conditions of security vessel.

      • KCI등재

        수사권조정에 관한 연구

        유영현(Yu Yung Hyun),이상문(Lee Sang Mu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0 No.2

        경찰과 검찰은 수사권 조정에 대해서 국가가 범죄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수사과정에서 국민의 인권이 보호되고, 국민의 권익과 편익이 제고되어야 한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각론에서는 심각한 의견대립이 있다. 즉 검찰 측은 수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권침해에 대비하여 경찰에서 수사하는 사건에 대해서는 즉각적으로 관여하고자 한다. 즉 수사지휘권은 유지하고자 한다. 또한 검사가 수사를 총괄하며 이를 조정할 수 있어야만 국가의 적정한 형벌권을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검찰의 의견과는 달리 경찰은 경찰에서 수사하는 동안 검사의 통제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수사를 하게 해달라는 것이다. 즉 이렇게 하면 국민의 인권보호나 권익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의를 지켜보면서 필자들은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개정시 고려사항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우선 사법경찰관리의 수사개시ㆍ진행권을 확인하는 일반적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수사권조정의 핵심문제인 검사의 수사지휘권은 유지되어야 한다. 다만 검사의 수사지휘권은 중요범죄에 집중하여 행사되는 것이 필요하다. Police's being independent of prosecutor in investigation authority has denied mainly because of prosecutor's objection, showing anxiety about possible police abuse of power and stressing the nature of prosecutor as a quasi-judicial bureau agency which means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Survey, however, conducted in this thesis says that neither of them are credited by citizens, who especially demand prosecutory reformation while they take side with police on police independence issue, recently raised again. The gist of the argument consists in breaking order-obedience relations of each other, solving the long-standing feud between the two agencies in terms of judicial service. Police's being independent of prosecutor seems to be one of core reformations of criminal justice system in Korea, serving an easement of strained relations between concerned agencies through resonable distribution of authority of discretionary power, enabling virtual prevention of infringement on human rights through so called check and balance. With every chance of transacting the issue of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between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 raised, both the agencies have been slandering and abusing each other for half the century only to make the complication worse, failing to draw any consent. The question of the sharing of investigative authorities needs to be approached not from the angle of the conflict of attribution but from the viewpoint of the securing of human right and judicial justice. Therefore, the answer to be found should guarantee the control over probes for the prosecution and expand the authorized limit of the investigative competence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abusing of the power by decentralizing it. The controversy of the separation of police investigation should be examined with a broad scope considering the Local Government Police to be enforced and criminal judicial reformation which means citizen participating trial, rather than merely on the level to tune a conflict over the allotment of authority. Now that, with most of the opinions and the positions announced and studied, this is nothing to be postponed anymore. Rather, a legislative resolution to determine the longpending question is requ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