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품유형에 따른 비교광고와 비비교광고의 효과측정에 관한 연구

        유명길(Yu, Ming-ji)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1 經營經濟 Vol.44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광고유형(직접비교, 간접비교, 비 비교)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제품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자료는 부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설문조사를 통해 210부의 설문이 수거되었다. 주요결과 - 실증분석 결과, 광고유형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는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 본 연구 결과는 실용적 제품의 경우 직접비교광고가 더욱 효과적인 반면 쾌락적 제품의 경우 일반광고(비 비교)가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나므로 기업의 광고전략 수립에 있어 제품유형에 따른 비교광고의 활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compare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duct type on the effectiveness of comparative advertising. Design/Methodology - A 2 * 3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210 subjects. The size of the ad type and the product type were varied between each cell to determine changes in a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indings -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duct type plays a moderating role on a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Concretely the direct comparative ad was the most effective in inducing ad al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Implications -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advertising effects, product type was found to predict promotion strategy.

      • KCI등재후보

        온라인 상품구매에서 희소성과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에 따른 설득효과 - 부정경험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

        유명길 ( Yu Ming Ji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6 No.-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상황에서 소비자 구매의도를 촉진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메시지 구성을 파악함으로써 관련 분야에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희소성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과거 온라인 쇼핑에서 불만족 경험 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실험물을 제작하고 부산지역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물은 2(희소성 메시지 유/무)×2(프레이밍 메시지 긍정/부정) 단순 요인설계 실험방식을 사용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ANOVA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희소성 메시지가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경험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메시지 프레이밍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경험의 조절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tends previous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role of negative experience on scarcity message and message framing`s persuasion effects in the online shopping mall area. To test thes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designs. Scarcity message and framing type were manipulated ad between-subject factors. Then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yes or no negative experience in the past online shopp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negative experience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scarcity messag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Furthermore, negative experience also show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carcity messag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for online shopping mall management. We also indica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기부광고의 모델 표정이 광고 선호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해석과 메시지프레이밍 중심으로 -

        유명길 ( Yu Ming-ji ),김성재 ( Kim Sungja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본 연구는 기부공익광고의 모델표정에 따른 광고 효과를 밝히고, 그 과정에서 메시지 프레이밍과 자기해석 점화가 어떠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고모델의 표정을 슬픈 표정과 행복한 표정으로 분류하고, 메시지 프레이밍을 긍정과 부정으로 분류하였다. 나아가 자기해석을 독립적, 상호작용적으로 분류하여 이들이 광고 선호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슬픈 표정의 광고모델에 대한 기부 수용의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역할은 광고 선호도와 메시지 수용의도에서 모두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자기해석은 광고모델 표정이 광고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ffects according to model`s facial expression in the donative public advertising and investigate what controlling roles message framing and selfinterpreting-ignition has in the process. So we classified the model`s facial expression as sad and happy and message framing as positive and negative. Furthermore, independently and interactively sorting out self-interpreting, we empirically analyzed its effects on ad preference and acceptance intention. Results indicate that donative acceptance intention of sad facial expression is likely to be higher and the controlling role of message framing in both ad preference and message acceptance intention is meaningful. Meanwhile, self-interpreting has no controlling role on the effects of model`s facial expression in ad preference. In this study`s conclusion, we address summary of research results, implication, limitaions and suggestion on the subsequent study.

      • KCI등재

        서비스 기업에서의 물리적 증거 역할 조명

        서미옥(Seo, Mi Ok),유명길(Yu, Ming Ji),윤성욱(Yoon, Sung Wook)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2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3 No.5

        In this study, a critical incident technique(CIT) was employed to show the issues of physical evidence and types of service recovery on customer satisfaction regarding hotel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ssues of physical environment by use of qualitative approaches. The CIT data showed four major categories of service failure on physical environment: mechanical equipment, cleanliness, facilities, and design. The highest frequency of failure subcategories is mechanical problems, and the next one is cleanliness problems. The data also demonstrate that tangible recovery(discount, free meal, upgrade) seemed to be a better recovery strategy than the other types of intangible recovery.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service failure severity and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otel image and intention to revisit.

      • KCI등재
      • KCI등재

        판매원 언어적 메시지의 측면성 효과: 설득지식과 쇼핑목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성욱 ( Sung Wook Yoon ),유명길 ( Ming Ji Yu ),서미옥 ( Mi Ok Seo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3

        메시지 측면성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광고 메시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가장 먼저 고객을 접하고 제품을 판매하는 접점 판매원의 언어적 메시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판매원의 언어적 메시지 유형에 따른 판매원에 대한 태도와 메시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소비자 설득지식과 쇼핑목적이 어떠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시나리오기법을 통해 매장에서 의류제품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판매원의 언어적 메시지, 고객의 쇼핑목적을 조작하고 설득지식수준을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그 차이를 확인한 다음, 이들이 판매원에 대한 태도와 메시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의 외적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판매원 매력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황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메시지 유형이 판매원 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쇼핑목적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설득지식은 메시지 수용의도에만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 sidedness effect of the message has been heavily studied in the advertising area. The topic, however, has been relatively ignored in the context of the salesperson who is the primary contact point on the front-line, where the most frequent contact with customers happ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idedness effects of a salesperson`s verbal message and moderating roles of the shopping purpose and persuasion knowledge, after controlling an impact of the salesperson`s attractiveness. Recognizing these phenomena, we proposed differential effects of message type by shopping purpose(purchase / window shopping) and customer persuasion knowledge. Thus, this study examined 1) main effects of salesperson`s verbal message type (one-sided message vs. two-sided message), 2)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essage type and shopping purpose, and 3)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essage type and persuasion knowledge. To test these research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designs. Four hundred ninety-eight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Message type and shopping purpose were manipulated as between-subject factors. Five items were used to measure participants` persuasion knowledge. Then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high or low group based on their knowledge level to salesperson`s interpersonal marketing persuasion. Dependent variables were attitude toward salesperson and acceptance intention. Referring to prior research, we employed eight items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s. Seven point Likert-type scales were used to measure the eight items. Hypotheses relating to the dependent variables of attitude toward salesperson and acceptance intention were examined by MANCOVA followed by contrast between treatment groups. The data demonstrate that message typ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attitude toward the salesperson and acceptance intention. In addition, consumers` shopping purpose plays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between the message type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Furthermore, consumers` persuasion knowledge also shows a moderating effect on the acceptance intention, yet not on the attitude toward the salesper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as a new attempt to examine the sidedness effect of the message in the sales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for sales encounter by indicating salesperson`s verbal message as an important factor which can enhance customers` positive responses but has been passed over by the previous research. We also indica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메시지 프레이밍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성재(Sung-Jae Kim),유명길(Ming-Ji Yu)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8

        메시지 프레이밍의 설득효과는 마케팅과 광고 분야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된 연구주제의 하나이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시지 프레이밍 표현방식이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조절초점과 제품유형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실증분석 결과, 메시지 프레이밍 표현방식에서 부정적 메시지의 광고효과가 긍정적 메시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뿐만 아니라,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표현방식이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있다.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have been major research themes in marketing and advertising field and several studies on these effects have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rect effects of message framing on the ad and brand attitud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regulatory focus and product type in these direct effects. Results from experiments indicate that message framing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d and brand attitude. And consumers' regulatory focus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message framing and ad, brand attitude. We did not f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duct type between message framing and ad, brand attitude. Finally, we summarized these results, discussed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KS-SQI 개념을 근거로 한 호텔 고객 인터뷰 사례

        서미옥(Seo, Mi-Ok),유명길(Yu, Ming-Ji) 동아대학교 경영문제연구소 2014 經營論叢 Vol.35 No.-

        This study adopted a qualitative approach and classified customer satisfaction on hotel service using KS-SQI guidelines. Literature review regarding hotel service quality, SERVQUAL, SEREPERF, and KS_SQI was discussed and In-depth Interview was employed to collect data from customers who experienced a satisfied critical incident. Interview cases were sorted based on KS_SQI’s two factors: Performance factor(Primary Needs Fulfillment, Unexpected Benefits, Contract Performance, Creativeness) and Process factor(Receptiveness, Credibility, Accessibility, Physical Evidence). Each case from in-depth interview with customers will be a helpful educational content for hotel service providers.

      • KCI등재

        광고 태도와 브랜드 인지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김성재(Sung-Jae Kim),유명길(Ming-Ji Yu)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8

        본 연구에서는 직접비교 광고와 간접비교 광고, 그리고 일반광고와 비교하여 브랜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적(광고 태도), 인지적(브랜드 인지)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직접비교 광고에서는 브랜드 인지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광고 태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비교 광고에서도 마찬가지로 브랜드 인지가 광고 태도에 비해 브랜드 태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비교 광고에 비해 그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광고에서는 광고 태도의 영향력이 브랜드 인지에 비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직접비교 광고뿐만 아니라 간접비교 광고에서도 소비자들이 인지적 노력을 통해 태도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동안 국내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꺼려왔던 직접비교 광고가 간접비교 광고에 비해 오히려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mpares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affective factor(Ad attitude) and cognitive factor(Brand cognition) on brand attitude among three ad types - direct comparative, indirect comparative, and noncomparative ads. The results showed that in direct comparative advertising context the brand cognition is dominant in determining brand attitude. In indirect comparative advertising context brand cognition is also dominant in determining brand attitude, but the difference is less than direct comparative advertising. In noncomparative advertising context the ads attitude is dominant in determining brand attitude. According to research outcomes, it could be said that direct comparative advertising is more effective than indirect comparative advertising.

      • KCI등재

        정품과의 일치성 및 가격이 복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윤성욱(Yoon, Sung-Wook),덩신(Deng, Xin),유명길(Yu, Ming-Ji) 한국상품학회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6

        연구목적: 그동안 많은 학문 분야에서 불법 복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나 구매행동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복제품을 구매함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변수로 판단되는 정품과의 일치성 및 가격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제품의 가격과 정품과의 일치성이 복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성별의 조절역할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남학생과 여학생들이 공통으로 사용할 제품으로 루이비통 지갑을 선정하여 실험을 설계하였으며, 2(가격 High vs Low)×2(일치성 High vs Low) 단순 실험설계방식을 사용하였다.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15부를 제외하고 최종 135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분석결과, 복제품 가격은 구매의도에, 일치성은 복제품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격이 복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바, 가격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욱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뿐만 아니라 정품과의 일치성이 복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치성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욱 호의적인 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나타내었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복제품의 정품과의 일치성고 가격이 복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복제품 관련 당국자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루이비통 지갑만을 가지고 실험을 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른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 다양한 인구 통계적 특성, 심리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도 함께 검증할 필요가 있다. 공헌점: 본 연구는 복제품이 정품과의 일치성과 가격이 복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타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unterfeit price and consistency of a real product on attitude toward counterfeit and purchase intention.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test the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designs. The counterfeit price and consistency of a real product were manipulated as between-subject factors.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ttitude toward counterfeit and purchase intention. Out of 150 participants, 135 usabl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findings: The data demonstrate that the price of counterfe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whereas consistency with a real produc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the counterfeit. In addition, consumers' gender plays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between the price and attitude toward the counterfeit as well as, between the consistency with real product and purchase intention.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s some useful implications for counterfeits policy makers. Although this study has fou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moderating role of demographic factors should still be analyzed for further research. Originality/value: This study first shows the impacts of counterfeit price and consistency of a real product on attitude toward counterfeit and purchase intention.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