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T 활용 주제극놀이가 유아의 언어와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의사소통과 활동 과정의 분석

        유구종(Ku-jung Yoo),문신혜(Shin-hye M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ICT 활용 주제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와 사고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ICT 활용 주제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과 활동과정을 분석하는 데 주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만 5세 유아 18명씩 총 36명이었다. 실험기간은 12주였으며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는 ICT 활용 주제극놀이 활동을, 비교집단에서는 전통적인 주제극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ICT 활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언어 및 사고능력검사 결과 산출된 점수를 중다공변량 분석(MANCOVA)으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지각에 기초한 기능, 분석적 기능, 종합적 기능에서 비교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ICT 활용 주제극놀이 활동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과 활동과정의 양상을 관찰한 결과 멀티 이야기 친숙하기 과정과 반응, 역할 결정의 확장, 주제극놀이 상황설정과 첨가, 주제극놀이 준비의 확장과 변형, 놀이의 확장 등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ow ICT integrated thematic dramatic play affects young children's language and thinking ability, and to investigate children's activity process in the thematic dramatic pla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6 five-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a thematic dramatic play group which integrated ICT (n=18), and a traditional thematic dramatic play group(n=18). A pretest- posttest experimental group design was used to compare children's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over an 14 week peri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ANCOVA(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matic dramatic play, which integrated ICT on young children's perceptual function, analytic function, reasoning function. 2. The contexts in which communication appeared in the observed activity process were process and reaction for a multi-story familiarization, expansion of meta-communication in role decision, situation setting and addition of thematic dramatic play, and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matic dramatic play plan.

      • KCI등재

        유아 스마트매체 활용에 따른 상호작용 및 사회·정서행동 양상 분석

        유구종(Ku Jong Yoo),조희정(Hee Jung Cho),김은아(Eun Ah Kim),윤향실(Hyang Sil 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스마트매체 활용 여부에 따른 유아의 상호작용 양상과 사회·정서행동 양상 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E 유치원 어린이들의 자유선택활동을 관찰하고 유아-유아 상호작용, 유아-교구 상호작용, 사회정서행동 각각의 분석 준거를 구성하여 이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유 선택활동에서 스마트매체 활용 여부에 따른 유아 상호작용과 사회·정서행동 분석 결과, 유아-유아의 상호 작용 중 긍정적 상호작용과 규칙적 상호작용의 경우는 스마트매체의 활용 여부에 상관없이 비슷한 빈도로 나타났다. 유아-교구의 상호작용은 참여적 상호작용, 공격적 상호작용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참여적 상호작용에서는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자유선택활동에서 더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또 한, 스마트매체를 활용했을 때와 스마트매체를 활용하지 않았을 때의 유아 사회·정서적 행동 양상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스마트매체 활용의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mart media use on children`s interaction and social-emotional behaviors during free choice activities.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observed 5-year-old kindergarten children`s free choice activities. After the observations, scales for children`s social-emotional behaviors and interaction with peer and educational material have been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child interaction level has been observed similar between children`s smart media use and non-smart media use whether it is positive or regular interaction. Second, child-educational material interaction level has been observed similar between children`s smart media use and non-smart media use in participatory and aggressive interactions. However, higher level of child-educational material interaction has been observed when children used smart media than non-smart media use in children`s non-participatory interaction. Third, the level of children`s social-emotional behavior has been observed similar between children`s smart media use and non-smart media use.

      • KCI등재

        디지털기기, 스마트기기, 스마트 전자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현황

        유구종(Yoo, Ku-Jong),김민경(Kim, Min-Kyung),이정순(Lee, Jung-Sun),한명옥(Han, Myoung-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디지털기기, 스마트기기, 스마트 전자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교사들의 요구와 더불어 활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활동의 현황은 유치원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교사의 대부분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양한 디지털매체 활용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유아교사들은 다양한 콘텐츠의 부재, 디바이스의 부족, 디지털 기기 및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교육연수의 미비를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이에 따른 활성화 방안으로 교사들은 교수학습에 활용할 자료(교육콘텐츠) 개발 및 제공을 확대 해 주기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유아교육과정과 연계 가능한 상호 작용성이 높은 멀티 기반의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smart e-book and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the smart equipments. To examin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nd the educational activity situ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12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activities, that digital equipment application was suggested among the 4 volumes of activity programs, propag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analyzed. As the result, mos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ed to apply various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On the other h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ointed out the un-existence of various content, insufficiency of devices, and insufficiency of educational training applying digital equipment and smart equipment as the problems. Teachers need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based on multi improving mutual action which can be related to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other words, software development, which would motivate infants, improve concentration, make studying easy and support mutual action with peers, is necessary and the development of activities improving each multi function are urgent.

      • KCI등재

        유아 동기 유형 평가도구 적용 군집화 및 사례분석

        유구종 ( Yoo Ku Jong ),최승연 ( Choi Seung Yeon ),조희정 ( Cho Hee Jung ),성은영 ( Sung Eun Yo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유아 동기 유형 평가도구에 의해 평가가 실시되었을 때 유아의 동기 유형이 어떠한 하위 군집의 유형으로 분류 되는지 살펴보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하위군집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현장 적용성을 비롯한 생태학적 타당도를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614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 동기 유형 평가도구를 적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군집화 된 군집유형을 명명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 군집 유형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만 5세 유아 20명으로 구성된 1개 학급을 대상으로 군집화를 통해 도출한 군집 유형으로 연구대상을 유형별로 나누어 군집유형에 따른 행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계층적 군집분석, K-means 군집분석의 총 2회에 걸친 군집분석을 통해 3개의 군집으로 유아의 동기 유형을 군집화 하였다. 군집 1은 동기 유형에 있어 내적 동기가 월등히 높고 외적 동기와 무동기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고(高)내적 동기형으로 명명되었고, 군집 2는 내적 동기가 군집 1과 군집 3에 비하여 절반수준에 머물렀고, 외적 동기와 무동기의 경우에도 군집 3에 비해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나 저(低)동기형으로 명명하였다. 군집 3의 경우는 내적 동기는 군집 1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무동기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나 복합동기형으로 명명하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분석은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동기는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는 개인의 일반적인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분석에서는 군집분석을 통해 군집화 된 군집별 특징이 사례에 부합되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or clustering of infant motivation type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nfant motiv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3 clusters. As for the motivation types of cluster 1, internal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outstanding while external motivation and internal motivation were quite insignificant. Internal motivation of cluster 2 was as low as a half of those of cluster 1 and cluster 3. External motivation and no-motivation as well were lower than those of cluster 3. Internal motivation of cluster 3 was similar to that of cluster 1, but the level of no-motivation was the highest. Accordingly, in this study, cluster 1 is called the high internal motivation type, cluster 2 the low motivation type, and cluster 3 the complex motivation type, respectively, to represent the attributes of the clust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cluster types depending on the sex and age,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ex and age of the infant. As a case study on the clusters of motivation types, anecdote recordings were conducted for 12 weeks and analyzed systematically.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young children in the high internal motivation type cluster were seeking self-satisfaction and satisfying their internal curiosity while young children in the low motivation type were following the instruction of others and expected extrinsic rewards. Young children in the complex motivation type cluster were sensitive to external stimuli and would act at a moderate level.

      • KCI등재

        지능형 로봇 제니보와의 놀이상황 분석을 통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의미 탐색

        유구종(Yoo Ku-Jong),윤향실(Yun Hyang-Sil),정상녀(Jung Sang-Ny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유아들과 지능형 로봇 제니보와의 놀이상황을 분석하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약 5개월 동안 만 5세 유아 8명을 대상으로 20회 기의 놀이상황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그리고 분석 자료로 수집된 45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의미와 친사회적인 행동에 미친 요인을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7개의 하위영역에서 17개의 내용요소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 기간 동안 유아들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한 친사회적 행동은 ‘감정이입 및 조절’이며, 그 다음으로는 ‘공동놀이’, ‘의사소통’과 ‘친근감 갖기’, ‘지도하기’, ‘나누며 놀이하기’, ‘도움주기’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제니보의 특성과 제니보와의 협동 놀이 상황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by analyzing play situations with intelligent robot ‘Genibo.’ and to look factors, which lead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For this purpose, we sampled 8 five-year-old children and videotaped their play situations through 20 sessions for around 5 months. We conducted qualitative analyses using 45 collected cases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s of the content elements of pro-social behaviors and to suggest the educational uses of robo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consisted of 7 sub-areas and a total of 17 content elements. In addition, the pro-social behavior used most frequently by the children during the research period was ‘empathy and control,’ which was followed by ‘joint play initiative,’ ‘communication,’ ‘have affinity,’ ‘leadership,’ ‘share and play’ and ‘help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lead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is the characteristics of Genibo and situation of cooperative-playing with Genibo.

      • KCI등재

        외동이의 사회적 능력 특성 탐색

        유구종(Yoo Ku-Jong),조희정(Cho Hee-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외동이의 사회적 능력 특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문헌검토, 교사설문, 참여관찰, 심층면담 방법 등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외동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대상은 유치원 교사 109명, 참여관찰 연구대상은 3개 지역의 유아 19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촬영 비디오 파일 및 전시자료, 교사설문 자료들을 분석적 귀납방법을 통하여 개방적 코딩, 중추적 코딩, 선택적 코딩 방법으로 분석 사회적 능력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외동이의 사회적 능력 특성으로 분석되는 기준은 관찰된 외동이와 외동이가 아닌 유아들의 상호작용 중에서 외동이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특성들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기준에 의해 분석된 4가지 특성은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기’, ‘내가 중심인 세상’, ‘나만의 방식으로 접근하기’, 그리고 ‘타협해 가는 아이’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nly child's social ability.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of teachers, an review of article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n in-depth interview of teachers were implemented.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only child(19) ranging from 3 to 5 years of ag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pen, axial, selective coding through inductive method. The only child's social ability standard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social interactions of the only child with those of not only child and analyzed the traits displayed to the only child. 4 traits analyzed by this standards were 'take the lead', 'myself-dominated world', 'my own way', and 'child compromising situation'.

      • KCI등재

        유아교육용 인터넷 콘텐츠 평가 및 콘텐츠 유형별 사례분석

        유구종(Ku-jong Yoo),정상녀(Sang-Nyu Jung),김민경(Min-Kyung Kim),양애숙(Ae-Sook 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포털사이트에서 링크하고 있는 유아 교육관련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시하는 유아학습용 콘텐츠를 평가 분석하여 유아학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이트의 콘텐츠에 대한 평가 자료를 마련하고, 유아 발달에 적합한 교육적인 콘텐츠를 찾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개의 포털사이트에서 링크하고 있는 학습용 콘텐츠 200개를 무작위로 수집하여 ‘유아대상 유아교육용 인터넷 콘텐츠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5개 영역별 평가 결과 분석을 실시하였고, 콘텐츠 유형별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 점수를 받았으나 영역별로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교육성과 내용의 적합성 영역에서 콘텐츠 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유형별 사례분석에 있어서는 평가결과 상위?하위 점수를 얻은 콘텐츠를 선정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콘텐츠 내용과 더불어 유아들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분석함으로써 콘텐츠 유형별, 영역별 요소 등이 실제로 발현되는 양상을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internet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will provide students an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a better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internet contents for young children. Subjects were 200 internet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internet portal sites. The criteria for evaluating internet contents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used for evaluating and analyzing internet contents. This criteria was consisted of five consistent criteria: ease of use (9 items), interest (7 items), educational features (10 items), content appropriateness (5 items), and technical features (3 items). Adopting a case analysis method, this study first analyzed content of internet contents in five evaluating areas. In addition, using the same research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action interface process of contents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for evaluating internet contents generally showed high points. 2. The results for evaluating internet contents were different by contents types in education and content suitability. 3. The context in which interaction appeared in the observed activity process was harmony and simplicity, interaction design technology, flexibility, organizational content and screen assignment.

      • KCI등재후보

        외동이 사회성 증진을 위한 부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유구종(Yoo Ku Jong),조희정(Cho Hee Jung)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0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외동이 사회적 능력 증진을 위한 부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밝히는 데 주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만3세는 총 6명으로 외동이 3명, 외동이가 아닌 유아 3명이며, 만4세와 만5세는 총 24명으로 각각 외동이 6명 외동이가 아닌 유아 6명으로 전체 유아 30명과 유아의 부모들이었다. 따라서 외동이 15명은 실험집단, 외동이가 아닌 유아 15명은 비교집단에 배정되었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 검사를 위해서는 윤혜숙(2001)이 사용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검사’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담임교사가 평가하였다. 각 가정에서 부모가 유아와 함께 3주간에 16회기의 활동을 진행하며, 마지막 활동이 끝난 후 프로그램에 대한 간단한 질문지를 작성하여 원에 제출하게 하였다. 외동 여부와 검사 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차이를 알아본 결과, 외동 여부의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의 외동 여부와는 관계없이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성별에 있어서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들의 평가에 있어서는 아이의 행동 변화와 부모들에게 있어 새로운 교육경험의 기회와 양육환경에 대한 반성적 태도를 갖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 program for only child’s social enhancement and parent's assessment on the parent program. For this study, 30 children in 6 class in Gangneung and Donghae and parents of children were assigned to only child group and non-only child group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mparable group. The 6 3-year old children of experimental(n=3) and comparable group(n=3), 12 4-year old children of experimental(n=6) and comparable group(n=6) and 12 5-year old children of experimental(n=6) and comparable group(n=6). The Social Competency Rating Scale was used for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y. The social enhancement program conducted for a 3-weeks period was developed on the bases of studies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16 activities of the program were constituted game, conversation, expression, and other activities. To find out what difference exists between groups, repeated measurement two-way ANOVA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wo Group’s social competency was not significantly statistical different, but a pretest-posttes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2. There were no differential effects of the program according to sex and age. But a pretest -posttest was significantly statistical different. 3. Parent’s assessment on the parent program was positive on children and parents. This result may have the influence on finding out desirable methods for operating only child’s education.

      • KCI등재

        유아용 컴퓨터 활용능력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유구종(Yoo Ku-Jong),정상녀(Jung Sang-Nyu),김영옥(Kim Young-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용 컴퓨터 활용능력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확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유아의 컴퓨터 활용능력과 관련된 문헌괴 검사도구들을 분석하여 기초문항을 작성하고 두 차례의 예비검사와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유아용 컴퓨터 활용능력 평가척도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광주와 전남지역의 3, 4, 5세 유아 399명을 대상으로 한 요인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컴퓨터에 대한 기본 지식' 7문항, '컴퓨터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6문항, '프로그램 활용능력' 4문항, '프로그램 사용기술 6문항으로 구성된 유아용 컴퓨터 활용능력 평가척도 23문항을 최종문항으로 구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용 컴퓨터 활용능력 평가척도에 대한 검증 결과, 문항양호도인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 척도의 구인타당도와 공인타당도, 척도의 신뢰도인 문항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신뢰도는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evaluating young children's computer application abilities. For this purpose, we formulated basic questions through analyzing literature and test tools related to young children's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and through two preliminary tests and specialists'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drafted an evaluation scale of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for young children. Reflecting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with 399 children - three, four, five years old - in Gwangju and Jeollanam do, the scale of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for young children contains 23 final questions, of which 7 are on knowledge about computer, 6 on self efficacy related to the use of computer, 4 on program application ability and attitude, and 6 on program application skills.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questions were appropriate, through construct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of construc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the reliability of test-retest.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에서 멘토링 활동을 통한 반성적 수업활동의 과정과 의미

        유구종(Yoo Ku-Jong),정상녀(Jung Sang-Nyu),최옥련(Choi Ok-R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멘토링 활동을 통한 반성적 수업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동료 교사와 타 기관, 전문가와의 협력적이며 참여적인 관계에서 나타나는 긍정적인 효과와 교육적 변화를 도모하고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연구유치원 3명의 교사와 원장, 두 곳의 협력유치원 교사 2명, 연구보조 전문가 2인이 참여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실행연구의 과정에서 수행된 활동들을 기록화하는 방법으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멘토링 활동에 대한 반성적 수업활동은 유아에게 적합한 교육활동을 유아교육현장의 다른 동료들과 공유하는 기회가 되었을 뿐 아니라 참여한 교사들에게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도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동료교사와의 소모임 활용, 온라인의 활용, 디지털 기록화 자료의 활용 등은 멘토링 활동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urposed to test whether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in kindergartens are adequat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ir age by applying the activi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action research, and for this study,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ree kindergartens(one research kindergarten and two cooperative kindergartens). Data were collected from field application, action research, and recording, and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were analyzed in three stages ? ‘making observation plans’(Stage Ⅰ), ‘performing actions and observing’(Stage Ⅱ), and ‘reflecting’(Stage Ⅲ) ? and the adequacy of revised and supplemented educational activities was tested through actions at the cooperative kindergarte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operation of monthly field workshops provided valuable opportunities to review the results of participatory research and to plan, execute, and evaluate educational activities with colleague teachers through mentoring activities, and these opportunities enhanced the teachers’ sense of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