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다문화 역량의 다차원성과 영향요인

        원숙연(Won Sook yeon),문정희(Moon Jeoung 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19 No.4

        결혼이주여성의 국내 유입으로 ‘다문화가족’이 새로운 정책대상으로 부상하였다. 정부는 다문화가족의 사회문화적 적응을 지원하는 한 체계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정책과 다문화가족 사이의 매개자이며 정책서비스 전달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다문화 역량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 경기, 인천 소재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다문화 역량은 어느 정도이며, 다문화 역량의 각 구성요소가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 그리고 다문화 역량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다문화 인식, 다문화 지식, 다문화 기술로 구성된 다문화 역량의 다차원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실증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차원에서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지식과 기술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나 학력과 무관하게 다문화 인식은 상당히 높고 다문화 지식과 기술은 유사한 정도를 보였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서 연령과 학력은 다문화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반면, 종사자의 업무내용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횟수가 다문화 역량을 구성하는 모든 차원에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교육을 통한 간접적인 접촉효과가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Along with an increase in ethnic diversity,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Multicularal Family Support Center. Given that staff members are mediators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multi-cultural family and facilitators for cultural 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their cultural competence is of interest. As such, this study focuses on multi-cultural competence of staff member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paying special attention to multi-dimensionality of cultural competence and its antecedents. Cultural competence consists of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skill. Empirical data have been driven via survey with staff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o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multi-cultural awareness is higher in comparison the multicultural knowledge and skill. Regardless of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s, multicultural knowledge is higher than knowledge and skill. Second, job characteristics of staff make difference in multicultural competence, while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do not make any differences. Lastly, frequency of multi cultural education is the strongest antecedent to enhance multicultural competence. It means that multi cultural education works as indirect contact point, which supports the contact hypothesi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 KCI등재

        젠더-‘거버넌스’? ‘젠더’-거버넌스?

        원숙연(Sook-Yeon Won)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1 여성학논집 Vol.28 No.2

        Governance based on mutual trust and partnership among government-marketcivil society has been paid attention as an alternative way of public coordination. It is in sharp contrast to the hierarchial and top down way of coordination. In this context, applying the gender-governance as a conceptual framework,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Women-Friendly City Project(WFCP) initi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In doing so, the notion of gender-governance is defined, focusing on its multi-dimensionality, gender as policy content and governance as policy tool. Then, via a gender governance framework, the nature of the WFCP is empirically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terms of policy content, the WFCP tends to be far from its gender-involved rhetoric, women’s empowerment and improvement of gender relations. Rather, the WFCP re-enforces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ur and gender stereotypes, either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In terms of governance, the WFCP is another form of hierarchical and top-down mode of public coordination. That is mainly because the main agents of the WFCP-Yeohang Parteners-Yeohang Forum-Yeohang Supporters- Yeohang Prosumers were involved nominally, not substantially. Also, their views or suggestions are not considered substantially. This reality of WFCP is quite different from its rhetoric. In accordance with the findings, this study addresses the very nature of the WFCP based on a conflict between adminstration logic and political logic, and then discusses its implications for gender governance. 전통적인 위계적·하향적 정책과정을 넘어 정부-시장-시민사회 간 상호신뢰와 협력 및 파트너십에 입각한 새로운 조정양식인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여성관련 정책영역에서 논의되는 젠더-거버넌스를 조망틀로 하여 서울시의 ‘여성이 행복한 프로젝트(여행프로젝트)’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젠더-거버넌스의 중층적 구조를 이론적으로 규명하였다. 즉 젠더는 정책내용(contents)으로, 거버넌스는 정책을 담아내는 과정 또는 틀(container)로 규정하여 각각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여행프로젝트를 젠더 관점과 거버넌스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젠더 관점에서 여행프로젝트는 그 표면적인 목적과 취지와는 달리 다양한 방식으로 발현되고 강화되는 여성과 남성간의 권력적이고 차별적인 구조를 밝히고 이를 시정하려는 젠더-개입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사업영역에 따라서는 오히려 여성성을 분리하고 성-고정관념을 고착화하는 성격을 보이기까지 하였다. 또한, 여행프로젝트는 여성의 경험과 시각을 정책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진하고 반영함으로써 민주적인 거버넌스가 가능하다는 주장과는 달리, 여행동반자-여행포럼-여행프로슈머-여행서포터즈의 활동은 과거의 위계적이고 하향적인 정책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에 대한 논의에 따라, 여행프로젝트의 진정한 정체성을 정치적 논리와 행정적 논리에 입각하여 밝히고,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 사회적 성과의 영향요인

        원숙연(Won, Sook Yeon),임현지(Lim, Hyun Ji)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8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사회적기업 운영주체의 인식에 주목하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업무를 담당하는 지방정부 공무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하였다. 한국 사회적기업은 정부주도의 정책 과제로 설계되었고, 사회적기업 운영에 있어서 정부지원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공무원의 인식이 갖는 의미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의 개념, 사회적 성과(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 제공), 그리고 사회적 성과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사회적기업가정신, 정부지원, 사회자본)으로 구성된 이론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론적 모형의 타당성을 사회적기업 업무를 담당하는 지방공무원 193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적 성과 중 취약계층일자리 창출의 경우, 사회적기업가정신을 구성하는 사회적가치지향성(+), 기업지향성(+)의 영향력이 발견되었다. 또한 정부지원 중 판로지원(+)이, 그리고 사회자본 중 인지자본(+)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한편, 사회적 성과 중 사회서비스 제공의 경우, 사회적기업가정신 중 사회적가치지향성(+)이 작용한데 반해 기업지향성의 영향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일자리 창출에 판로지원이 작용한 것과 달리 정부지원(재정, 경영, 판로)모두 사회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사회자본 중 구조자본(+)의 유의미한 영향력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와 관련 정책에 주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at pay attention to the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 operators, this study focuses on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s, who are in charge of position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 Given that the social enterprise has been designed as a government-led policy, the perception of public officials is significant to identify antecedents for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Bearing this in mind, this study addresses defini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performance (job creation of vulnerable groups,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identifies antecedents of social performance such as social entrepreneurship, government supports and social capital. Based on them, a theoretical model is derived and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model is verified with 193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s. Findings are as follows. For the job creation of socially vulnerable groups, social value orientation based on social entrepreneurship (+) and business orientation (+) have significant effect. For the governmental supports, marketing support (+) is significant on job creation. Regarding social capitals, the effect of cognitive capital (+) is statically confirmed. In the meantime, for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social value orientation is positively related, whereas none of government supports (finance, management, marke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service provision. On the contrast, a significant effect of structural capital (+) on social service provision is confirme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외국인정책에 대한 인식의 영향요인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원숙연 ( Sook-yeon Won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4

        외국인의 증가와 그에 따른 외국인정책의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외국인정책 집행비용의 부담자인 일반국민이 외국인정책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러한 인식에 작용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정책에 대한 인식에 작용하는 요인을 인구통계적 배경, 경제적상황 인식, 그리고 사회적가치로 범주화하여 이론적 모형을 도출하고, 그러한 모형의 경험적 타당성을 서울시 25개 구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영향력 요인을 단선적으로 논의하기보다는 범주별 구성변수의 차별적 영향력을 단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정책에 대한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사회적 가치임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영향력은 사회적 가치 중 평등주의>사회지배>인도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자신의 현재 경제상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그 뒤를 이었으며, 나이와 소득의 영향력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 rapid influx of foreigners and an increase in policy measures for them make perception of tax payers toward policy for foreigners crucial. Along with the changing rea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tecedents which influence the perception. In order to do so, a theoretical model consisting of demographic backgrounds, socio-economic status, subjective evaluation of economic conditions and social ideology is constructed and confirmed its empirical validity, apply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doing so, survey from general public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Findings show that social ideology is the strongest factor for perception of policy for foreigners; in detail, egalitarianism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nd social domination and humanitarianism follow consequentially. In addition, optimism of personal economic conditions, age and income have moderate impact on the perception. Their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policy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 출산율의 영향요인 - 자녀에 대한 비용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

        원숙연 ( Sook-Yeon Won ),최윤희 ( Yoon-Hee Choi ) 한국정책학회 2018 韓國政策學會報 Vol.27 No.3

        지난 10여 년간 정부는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여 100조원 이상의 재정을 투입하고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저출산 문제는 여전히 난제(wicked problem) 중 하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무엇이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자녀와 관련한 직·간접적 비용 및 그 비용의 절감과 관련한 정책변수의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교육, 주거, 경제활동 등의 자녀관련직·간접비용 요인과 그 비용 감소의 차원에서 출산, 보육 및 교육과 관련한 현금지원, 서비스지원 등 정책요인의 차별적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0년에서 2017년까지 우리나라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성하여 결합 시계열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자녀관련 직접비용으로서 사교육비는 출산율과 부적(-) 관계를, 간접비용으로서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정적(+) 관계가, 실업률 및 비정규직 비율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주거비용이 출산율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력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자녀관련 비용 절감과 관련된 정책 요인 중남성의 육아휴직급여는 정적(+) 관계를, 사립 보육시설 이용률 및 교육복지지원은 출산율과 부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와 정책적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Over the past decade, the Korean government has invested more than 100 trillion won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rate, and has made various policy efforts. However, as total fertility rate(TFR) of Korea, 1.05 in 2017, clearly shows, low fertility rate is still one of the wicked problems. In this context, this study seeks to answers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determinants for the fertility rate. In doing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direct and indirect costs associated with child rearing such as education, housing and economic activities. Also, the influence of policy measures to reducing the costs such as cash benefits and benefits in kind related to childbirth, childcaring, and education takes into account.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tilizes panel data of 17 metropolitan councils in Korea from 2010 to 2017 with pooled time series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show that private education expense, as the direct cost for childre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total fertility rate. On the contrary,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f housing cost. As the indirect cost for children,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has a positive relation, while unemployment rate and ratio of temporary employment have negative impact on the total fertility rate. Meanwhile, among the policy factors related to reducing the costs, parental leave benefits for me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hereas the ratio of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and educational welfare support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total fertility rate.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s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일-가족 양립 지원 정책이 노동시장 참여의 성별격차에 미치는 영향 -OECD 16개 국가를 대상으로-

        원숙연 ( Sook-Yeon Won ),이동선 ( Dongsun Lee ) 한국정책학회 2012 韓國政策學會報 Vol.21 No.3

        여성인력의 효과적인 활용이 갖는 중요성의 맥락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한 정책적 노력 가운데 본 연구는 ``보살핌``에 대한 여성의 책임과 그에 따른 노동시장 참여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일-가족 양립지원정책에 주목하였다. 특히, 일-가족양립지원정책이 과연 그 목적에 부합하여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노동시장 참여의 성별격차를 완화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질문에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일-가족 양립 지원정책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하며 이를 통해 노동시장 참여의 성별차이를 감소시키는가? 둘째, 일-가족 양립 지원 정책을 구성하는 정책요소 간 차별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그러한 영향력의 차별성이 향후 일-가족 양립 지원 정책의 내용과 방향에 갖는 함의는 무엇일까?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OECD 16개국을 대상으로 1980년부터 2005년의 시간적 범위를 설정하여 결합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가정 양립 지원정책 중 노동시장 참여의 성별격차를 완화하는데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은 보육재정 지원과 남녀(부모) 모두를 정책대상으로 하는 부모휴가로 나타났다. 보육재정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속성과 부모책임의 공유의 실현이 갖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여성(모)만을 대상으로 하는 모성휴가(모성휴가기간 및 급여 포함)는 그 영향력이 발견되지 않거나, 오히려 노동시장 참여의 성별격차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가족 양립을 여성만의 문제로 규정하는 정책적 개입이 의도하지 않게 여성에게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부모휴가의 긍정적인 영향력과는 대비되는 결과이다. 셋째, 여성대표성 비율, 여성의 교육수준,및 노동조합가입율 등 여성의 권한부여(empowerment)를 나타내는 요소가 노동시장의 성별격차를 완화하는데 상당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와 향후 일-가족 양립지원정책의 내용과 방향성에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long with an active female participation in the labour market, work-family reconciliation has been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Responding the situation, state policy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has been initiated and expand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state policy for balancing between work-family on gendered gap in the labour force participation, paying special attention to experiences of OECD 16 countries over the period 1980-2005.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applying a pooled time-series analysis. To what extent does state policy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mitigate gender gap in labor for participation? Are there differentiated effects of each program in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reducing gender gap i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What are their implications for policy contents and directions in the futur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iscal policies for childcare and paid parental leave for women and men have the strongest effect mitigating gender gap in the labor market. On the contrary, maternity leave for women only has not any substantial effect, or rather intensifies gender gap in work force participation. Theses findings prove that work-family reconciliation is not only the matter of women, but also that of men. Finally, factors regarding empowerment for women, such as gender ratio in parliament, education level of women, and union mobilization density, are positively related to female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Won, Sook-Yeon),김예슬(Kim, Ye-Seul)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그에 따른 일-가족 양립 정책이슈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모성 이데올로기와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의 구조와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힌다. 특히 우리나라의 현실을 미국, 스웨덴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국제비교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국제사회조사 자료(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ISSP) 중 “가족과 변화하는 성역할(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 FGR)”자료를 바탕으로 다음의 질문에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모성 이데올로기와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은 어떤 구조를 갖는가? 각각의 인식에 따라 작용하는 영향요인이 달라지는가? 국가(한국, 미국, 스웨덴)에 따라 영향요인의 차이가 존재하는가? 만일 차이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으며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상의 결과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및 일-가정 양립 정책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을 포함한 비교대상 국가 모두에서 모성 이데올로기가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비해 더 전통적으로 나타났다. 국가에 따라 정도차이는 있지만 ‘모성’에 부여된 사회적 압력을 가늠하게 하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모성 이데올로기의 경우 첫째, 미국과 스웨덴과 달리 한국에서는 연령의 영향력만이 발견되었다. 이와 함께, 한국은 미국이나 스웨덴과는 달리 여성이 모성 이데올로기에 대하여 전근대적 인식을 가질 가능성을 보였다. 셋째, 스웨덴은 30대가 모성에 대하여 가장 근대적인 인식을 보인데 반해 한국에서의 30대는 60대와 동질적인 인식을 보였다. 다음으로 남성부양자이데올로기의 경우 첫째, 한국에서 연령만이 영향을 미친 모성 이데올로기에 비하여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는 성별, 연령, 학력, 가구소득 등 보다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였다. 둘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교대상 국가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남성부양자이데올로기에 대하여 근대적 인식을 보였다. 셋째, 국가 간 영향요인의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은 모성 이데올로기에 비해 대상국가간 인식의 유사성이 발견된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일-가족 양립정책에 갖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ual structure and antecedents of maternal ideology and male breadwinner ideolog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work-family bal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among Korea, the United States, and Sweden.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s “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 (FGR)” data from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ISSP).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deprivation ideology is more conservative than male breadwinner ideology in all the countries. This finding proves the strength of social pressure given to ‘motherhood’, regardless of country. In terms of maternal ideology, unlike the United States and Sweden,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s age in Korea. Second, different from the United States or Sweden, the possibility that Korean women retain considerably conservative perception on maternal ideology is shown. Third, in Sweden, the 30s shows the most liberal perception toward maternal ideolog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Korean counterparts that show the similar perception as the 60s. Regarding male breadwinner ideology, unlike maternal ideology that age alone has significant impact, male breadwinner ideology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household income as well as age. Second, in all of the countries compared, women have more liberal perception on male breadwinner ideology than men, with some variations in degree. Third, albert different by country, structure of the perception on male breadwinner ideology is similar to that of maternal ideolog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policy of work-family balance a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조직 내 여성관리자에 대한 평가의 젠더화된 작동원리

        원숙연(Won Sook-Yeon)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여성학 Vol.23 No.4

        하위직에 여성이 집중포진되어 있는 수직적 편중화를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노력의 의미를 완전히 부인할 수는 없지만, 관리직에서 여성의 과소대표성은 단순한 양적인 접근만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보다 복잡하고 근본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에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즉, 조직에서 여성관리자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는 어떠한가? 여성관리자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와 남성관리자에 대한 실질적 평가 간에 일정한 간극(gap)이 존재하는 것은 아닐까? 만일 그렇다면 그러한 간극에 작동하는 기저원리(underlying assumption)는 무엇일까? 바로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한 여성관리자의 수적인 증가는 단지 상징적 수사(修辭)나 표면적인 변화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적 문제의식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에 대한 부정적 평가의 기저원리와 작동과정을 이론적ㆍ논리적으로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젠더화된 기저원리를 추적할 수 있었다: 1) 조직구조적 측면(수직적편중화, 젠더유형화, 높은 가시성과 성과압력), 2) 상호작용적 측면(동일-성선호, 유사성-매력, 동일-성 선호의 역작용), 3) 사회문화의 조직적 투영측면(성-역할전이, 여성-관리직 불합치성, 업무정체성-성 정체성 갈등, 접촉결여로 인한 성-편견 강화). 본 연구는 탐색적이고 시론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관련 연구의 축적을 통해 그러한 한계와 오류를 교정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과제로 남는다. 다만 이론적 탐색을 통해 경험적 연구와 실천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예비적 논의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In order to diminish vertical segregation that women are largely concentrated in lower level, there have been a wide variety of policy measurements, which are implemented in terms of affirmative action. Even though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ose measurements can not be denied, we need to raise more substantial and fundamental questions of under- representativeness of women in managerial positions. In other words, a quantitative approach toward vertical segregation is necessarily limited to solve under-representativeness of women in managerial positions. That is mainly because gender stereotype of an ‘appropriate' manager is still tenacious in organizations regardless of public or private sectors. Keeping this context in mind, this study seeks to find some possibl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In what ways are female managers perceived by their subordinates?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or gender gap in perception of male managers and female managers? If so, what are the underlying assumptions of the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managers in organizations? Unless the questions are answered, an increase in female managers become only a symbolic rhetoric, rather than a substantial change. In so doing, this study theoretically traces some mechanisms for gendered perception of female managers. As a result, there are three paths; 1) aspect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vertical segregation, gender-typing, high level of visibility of female managers, and high performance pressure towards female managers), 2) aspects of interaction(same-sex preference, similarity-attraction, a reaction of similarity-attraction), 3) aspects of social culture(gender-role spillover, women-manager incongruity, conflict between gender identity and occupation identity, the lack of contact and intensification of gender-role stereo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