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小说时报》的整理再版与学术考察

        王燕(Yan Wang) 중국어문논역학회 2016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8

        2015년 출판된 《晚清小说期刊辑存》 영인본은 十种晚清小说期刊을 재판한 것으로, 그 중 청말 민초에 간행된 《小说时报》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이 잡지는 동시기 출간된 《小说月报》에 버금가는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학계에서 그 중요성을 인정 받고 있지 않았다. 《小说时报》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가 정밀하고 도판이 많은데, 특히 ‘명기와 명배우’ 사진은 손에 꼽을 정도로 뛰어나다. 이러한 독특한 제재 선택은 직관적인 형식을 지닌 오락성과 취미로서의 소설 시대가 도래할 것을 알리는 것이었다. 본고는 《晚清小说期刊辑存》에 실린 《小说时报》의 특징, 기획, 편집 등을 대상으로 학술적 검토와 분석을 진행했다. The Collection of the Late-qing Novel Periodicals, published in May in 2015, was composed of the photocopies and reprints of ten novel periodicals of the Late-qing Dynasty, among which the Fiction Times was quite eye-catching. It played a role as important as the Fiction Monthly, but it gained far less attention than the latter in academic arena. Fine printing and abundant pictures were the two marked features of the Fiction Times. It was also famous for the publication of the photos of the “prostitutes and actors”. The unique selection of materials announced directly the arrival of the era of novel entertainment and leisu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iction Times systematically, aiming at giving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its founding and editing features.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학술 논문에 나타난 대인 관계적 메타담화 표지 대조 연구 - 결론 부분을 중심으로-

        왕연 ( Wang Yan ),채윤미 ( Chae Yunmi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23 텍스트언어학 Vol.55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interpersonal metadiscourse markers that appear in the conclusion texts of academic papers in the field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education. For analysis, a list of interpersonal meta-discourse markers was selected by referring to Hyland(2004) and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we examined interpersonal metadiscourse markers focusing on hedge markers, booster markers, author attitude markers, and author reference markers that appeared in the conclusions of 30 Korean and 30 Chinese artic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commonality in that the author attitude marker was frequently used in both Korean and Chinese articles, and the use of the booster marker was the least. In addition, in terms of frequency, it was found that hedge mark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in Korean articles, and author reference marks were used the most in Chinese articles. The causes of this pattern could be explored in various factors such as thesis structure, norms of the academic community, way of thinking and cultural influence, and type of research in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to select and use genre characteristics of texts and meta-discourse markers in teaching reading or writing academic text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uggested that an appropriate educational direction needs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핵심 어휘 및 문법 사용 양상 연구

        채윤미(Yunmi Chae),길호현(Ho hyun Kil),왕연(Yan Wa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내러티브 텍스트의 언어적 표현에 대한 사용 양상을 한국어 모어 화자의 텍스트와 비교하여 살펴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이루어졌던 분석 방법과 차별화를 두어 텍스트 마이닝의 언어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였다.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판단되는 어휘와 문법적 요소를 추출한 후, 텍스트 구조에 따라 어휘와 시제·상의 사용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두 집단은 대부분 도입부, 사건 전개부, 결말부 구조에 따라 글을 전개하였으며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조별 핵심 어휘와 어휘 간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도입부, 사건전개부, 결말부에서 두 집단은 주제에 따른 내용의 차이를 보였으며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도입부에서 1인칭 대명사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각 구조에 나타난 시제·상의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외국인 학습자는 한국인 모어 화자에 비해 시제와 상, 그리고 양태성을 지닌 문법 요소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학습자가 초급에서 배운 문법 사용에 익숙해져 있으며 시제와 상과 관련한 습득은 아직 불완전한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학습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성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서는 확인하기 어려웠던 언어적 특징을 전산화하여 명시적으로 파악하고 결과를 도출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patterns of linguistic expressions in narrative texts produced by foreign Korean learners compared with the text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to reveal their characteristics objectively. To this end, the semantic network technique of text mining was used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existing analysis methods. After extracting the words and grammatical element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examined how the use of word, tense, and aspect differed according to the text structure. Korean native speakers and foreign Korean learners mostly developed their writing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events, and conclus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words and words for each structure,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content according to the topic in the introduction, events, and conclusion. Foreign learners displayed a characteristic of excessive use of first-person pronouns.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usage patterns of tenses and expressions in each structure, it was confirmed that foreign learners were unable to utilize the grammatical elements with tenses, aspect, and modalities as variedly as native Korean speakers did. This shows that the learner is accustomed to using grammar learned at the beginner level, and the acquisition related to tense and phase is still incomplete; hence, learning is requir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computerize and explicitly identify linguistic features that were difficult to confirm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rive at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