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조합 공동주택 재건축안전진단에 관한 연구

        오태근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지 Vol.14 No.6

        일반적인 조합 공동주택 재건축사업은 다수의 주택소유자가 정비조합을 구성하여 관리처분계획을 인가받아 공급하는 관리처분방식으로, 이에 대한 절차와 일부규제 및 완화요건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후 “도정법”이라 한다,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 “MIUD Act”)에 명시되어 있으나, 공공기관과 같은 비조합 (재건축 조합방식이외의 개발형태) 공동주택의 경우 토지 등을 단독으로 소유하기 때문에 도정법에 의한 추진위, 조합설립 단계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택법2)에 의한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을 받아서 신축방식으로 추진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며 재건축안전진단 시행여부에 대한 타당성 검토 및 이에 따른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유자가 다수이고 이해관계가 다양할 경우에 상호 조정을 통하여 원활히 사업추진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도정법의 입법 취지로, 비조합 공동주택 재건축사업의 경우 소유자가 1인이므로 도정법상 조합 설립대상이 될 수 없으나, 주택소유자가 1인이라는 이유로 도정법 적용이 불가하다고 한다면 향후에 민간 이외의 국가, 지자체 등 공공기관에서 이와 유사한 사업을 추진할 경우 어려움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1인 소유의 비조합 공동주택의 재건축안전진단에 대한 법률해석(유권해석, 자문) 및 유관기관 협의 등을 통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고 진단비용을 직접 산출‧분석하여 실무 사례로 활용한다면 안전진단 시행여부 판단과 사업비의 효율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 KCI등재

        충격반향기법에서의 휨 모드 및 두께 모드의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

        오태근,박종일,변요셉,이영학,Oh, Tae-Keun,Park, Jongl-Il,Byun, Yoseph,Lee, Young-Hak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8 No.6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층상박리균열 위에서의 손상탐지에 효율적인 충격반향기법에 대해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영향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충격반향기법에서의 균열 가시화를 위해 층상박리균열위의 동적거동 및 두께를 나타내는 휨 모드 및 충격반향모드(두께 모드)에 영향을 끼치는 균열의 폭/두께(a/h) 비, 균열위의 상대적 가진 점, 측정 점의 위치 등의 시험설정 변수 등을 매개변수적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a/h비는 2보다 클 경우 휨 모드가 지배적이었으며 작을 경우 두께 모드가 지배적이었다. 또한 가진 점, 측정 점 중 어느 하나만 균열 위에 존재할 때도 휨 모드가 지배적이었으며 균열 밖의 범위의 건전한 영역에는 가진 점, 측정 점이 모두 위치하여야 두께 모드가 지배적이었다. In this paper, various influence factors on the impact-echo test which is an effective method in characterizing defects such as such as the delamination in the concrete structures were studied. The side to thickness ratio(a/h), the relative position of impacting and sensing points over the delamination that have great effects on the flexural and impact-echo(thickness) modes were investigated and examined by the parametric finite element analysis. As a result, the flexural modes dominate in the case of a/h > 2 and the thickness mode was more evident when a/h < 2. With regard to the relative position of impact source and sensing point to the defect, the flexural modes dominate even when either the loading or sensing point was over the delamination defect. However, the thickness mode prevails when both the impacting and sensing points are over the solid region beyond the delamination area.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특집 - 당분 흡수 억제제

        오태근,O, Tae-Geun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2008 당뇨 Vol.222 No.-

        당뇨병환자의 식후 고혈당을 조절하고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제가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라는 당분 흡수 억제제이다. 이는 복합탄수화물의 흡수를 지연시켜서 식후 고혈당의 폭을 감소시킨다.

      • 갑상선암에서 Ⅰ-131 투여 후 stunning 현상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

        오태근,김미성,궁성수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忠北醫大學術誌 Vol.10 No.2

        연구목적 : 분화가 잘된 갑상선 암의 수술 치료 후, 경과 관찰에는 혈청 thyroglobulin 농도 측정과 I-131 진단적 전신 스캔이 표준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I-131을 이용한 진단적 전신 스캔 시행 후에 바로 I-131 치료를 하면 병변에 I-131의 섭취가 감소하여 치료 효과가 낮아지는 stunning 현상이 있음이 알려지면서, stunning 현상의 발생 기전과 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I-131 진단적 전신 스캔 시행 후 stunning 현상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46명의 분화가 잘된 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절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갑상선 암에 대한 양측성 갑상선 전절제수술 혹은 근전절제수술을 받았으며, 1회 이상의 I-131 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었다. 성별, 연령, 진단적 전신 스캔에 사용한 I-131의 용량, 1-131 진단적 전신스캔 후 I-131 치료기간 까지의 기간, 병변의 위치, I-131 진단적 전신스캔에서의 병변의 I-131 uptake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이 stunning 현상 발생에 관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I-131 진단적 전신스캔에서 모두 114 개의 병변이 확인되었다. 이중 목에서 관찰된 병변이 106병변 이었고 폐 7병변, 골 1병변 이었다. 총 114 병변중 18병변(15.8%) 에서 stunning이 관찰되었으며 목에서 13병변으로 12.3%, 폐와 골 병 변에서는 모두 5병변으로 62.5%의 stunning현상 발생율을 보였다. 1-131 진단적 전신 스캔 시행 시 사용한 I-131의 용량, 1-131 진단적 전신스캔 시행 후 치료까지의 기간, 병변의 위치 등이 stunning 현상 발생에 관여하는 의미 있는 인자들로 확인 되었다. 결론: 잘 분화된 갑상선 암의 치료 후 암의 재발 유무 확인을 위하여 I-131 진단적 전신스캔을 시행할 때에는 stunning 현상의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검사 전 암재발의 가능성이 높은 환자의 경우에는 진단적 스캔을 시행하지 않고 바로 치료 용량의 I-131을 투여하거나, 다른 영상 진단 방법의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Purpose: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to find out the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the stunning with I-131 diagnostic whole body scan (Dx-WB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wo pairs of Dx-WBS & post-therapeutic WBS (Tx-WBS) from 46 patients, performed between 1996-200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operated in our hospital due to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nd had a previous history of I-131 ablation. Dx-WBS was taken 24 & 48hours after I-131 administration. Tx-WBS was taken 7 days after treatment. Dose of I-131 for Dx-WBS, interval between Dx-WBS & I-131 treatment, site of metastasis, intensity of I-131 uptake in Dx-WBS were evaluated as possible factors. Results: There were 15 male and 31 female patients. The age ranged over 14-75 (47±16). The I-131 dose for Dx-WBS ranged over 1.7-7.1 mCi (3.1±2.7mCi). The therapeutic 1-131 dose ranged over 60-200mCi (132±29.Bmci). The interval between Dx-WBS and treatment ranged over 7-48 days (21.1 ±8.5 days). Among 52 pairs of scans, 12 pairs(23.1%) showed stunning in at least one lesion. Among the 114 metastatic lesions, 18 lesions showed stunning (15.8%). Uptake in neck showed stunning in 13/106 (12.3%). Uptakes in lung or bone showed stunning in 5/8 (62.5%). Multivariate linea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iagnostic dose of I-131, interval between Dx-WBS & I-131 treatment, site of metastasis were significant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tunning. Conclusion: We suggest tha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rrence of the stunning and clinical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