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홈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중사용자 간 인터랙션 이슈 발굴 및 디자인 솔루션 제안 -제어 권한의 조절을 중심으로-

        오원준,연명흠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3

        연구배경: 현재까지의 인터랙션은 사용자와 디바이스 간의 일대일 관계를 전제로 하고 있었지만, 근 미래에는 다대다 인터랙션이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 다중사용자 인터랙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와 사용자 연구를 통해 다중사용자 인터랙션 환경에서의 이슈를 발굴하고 그에 따른 해결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다중사용자 인터랙션 환경에서의 이슈를 도출하였다. 이어 해당 이슈를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제작하고 롤플레잉을 진행하여 보다 점진적인 발견점들을 발굴하였다. 이를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안을 제안하고 해당 디자인 안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된 데이터로 제어 권한에 대한 발견점을 발굴하였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을 제작한 결과 설문대상자들은 본 연구자가 제안한 디자인으로 해당 이슈를 해결할 수 있다고 답하였다. 결론: 사례 수집 결과 사용자-디바이스 인터랙션으로 인해 타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는 경우가 빈번하게 드러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는 디자인 안을 제작하고 사용자 조사를 통하여 답변을 얻었다. 전체적인 연구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홈 제어 방식을 수립하고 디자인 안을 제안하는 방법의 토대를 제작한 것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lthough the interactions so far have been based on the 1:1 relationship between users and devices, the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users and multiple devices will occur frequently in the near future,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multi-user interactions. This proposal aims to identify issues in multi-user environments through case studies and user studies and propose solutions. Methods: This study draws issues in multi-user interaction environment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Afterward, we produced scenarios based on the issues, used with role-playing to find out more gradual insights. Through this, we propose mobile application design proposals and conduct surveys in the design to be verified. Result: From the insights of the data, issues of control authority were found, and they were analyzed to make a mobile application desig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 design proposed by the researcher would solve the issue. Conclusion: It it confirmed that the user-device interaction often affects other users. And we made the design to solve the problem and collected data with surveying. It is meaningful to establish a smart home control method using the overall research process and to create a foundation for a method to propose a design plan.

      • KCI등재

        공동구 기본계획 기준수립을 위한 절차 및 적용사례에 대한 연구

        오원준,조중연,이민재 한국건설관리학회 2020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1 No.4

        본 논문에서는 기존시가지에서 공동구 건설에 대한 합리적 의사 결정을 위한 기본계획 기준 수립의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타당성 평가에 의하여 최적노선을 선정 하였으나, 기본계획 기준에서는 공동구 설치 여건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타당성 및 경제성 분석에 의한 결과를 종합평가하여 분석 대상 전체 구간에 대하여 종합순위를 산정한다. 또한, 종합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에서 진행 예정인 연계 사업 검토 후 중·장기 투자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추가적으로 논문에서 제시한 기준 수립의 검토를 위하여 서울의 서북도심권에 대하여 기본계획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타당성 평가지표를 활용한 터널식 공동구 설치가능지역 검토

        오원준,진규남,나귀태,조중연,심영종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9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1 No.6

        In this paper,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method to roughly determine the area and length of the multi-utility tunnel before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 of the multi-utility tunnel construction. For this purpose, four feasibility indexes were used: traffic density, population density, disaster prevention index (number of workers), and urbanization rate, which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installation criteria we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value and minimum value of the feasibility indexes for the tunnel type among areas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multi-utility tunnel of Seoul. The analysis area included 200 areas based on 14 zon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minimum value of feasibility indexes indicated that the tunnel type of multi-utility tunnel is suitable for 39 areas with high traffic volume and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gun’ area, etc., has a wider population than the ‘si’ and ‘gu’, suggesting that it is not suitable to install multi-utility tunnel.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arger the index value centered on the minimum value of each index, the smaller the tunnel type of multi-utility tunnel installation area. 본 논문에서는 공동구 도입에 대한 계획 및 설계 단계 이전에 공동구 설치가능 지역과 연장을 개략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획득이 가능하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교통량, 인구밀도, 방재지수(종사자수) 및 시가화율 4개의 타당성 지표를 사용하였다. 서울시 공동구 설치 가능 지역 중 터널식으로 설치 가능한 노선에 대한 타당성 지표의 평균값과 최소값을 고려하여 설치 기준을 설정하였다. 분석대상 지역은 14개의 권역을 기준으로 200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타당성 지표의 최소값을 기준으로 터널식 공동구는 교통량 및 인구 등이 많은 39개 지역에 설치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군’ 단위 등은 ‘시, 구’에 비하여 인구가 넓게 분포되어 공동구 설치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지표의 최소값을 중심으로 지표값이 커질수록 터널식 공동구 설치 지역이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기본 계획 단계에서의 공동구 수용시설물결정 기법

        오원준,진규남,강영구,조중연,심영종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9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공동구 도입과 관련하여 초기 기본 계획 단계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수용시설물의 설치여부를 결정하기위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수용시설물의 구성과 종수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체계를 정립하였다. 7개의 수용시설물에 대하여 98개의 조합을 분석하였으며, 수용시설물 평가체계를 위하여 타당성 및 경제성과 관련된 지표 중 기본 계획단계와 관련된 지표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항목을 반영하여 공간적, 효과적, 비용적 평가로 분류된 평가체계를 제시하였으며, 가중치 설정을 위한 AHP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동구 설치를 위한 기본 계획 단계에서 설계자를 포함한 사용자들이 공동구내 수용시설물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판단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rmine whether to install the accommodation facility of the multi-utility tunnel more effectively in the basic planning phase, and to set up an evaluation system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and kind of accommodation facility.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98 alternatives were analyzed for 7 accommodation facility. For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index related to feasibility and economic in basic planning phase were selected. The evaluation system classified as spatial, effective, and cost evaluation was presented reflecting the selected index, and AHP analysis was performed for weight set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users including designers to shorten the tim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accommodation facility of the multi-utility tunnel in basic planning phase

      • KCI우수등재

        기존시가지의 규모(면적)에 따른 공동구 설치 타당성에 관한 연구

        오원준,나귀태,조중연,이민재 대한토목학회 201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9 No.6

        The multi-utility tunnel is one of the essential social infrastructures, bu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multi-utility tunnel due to the scale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2 million square meter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the multi-utility tunnel in the existing city in order to activate the multi-utility tunnel installation. For the feasibility analysis, the scale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related laws, and related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evaluated using feasibility andeconomic analysis. Three kinds/four kinds of suitable multi-utility tunnel for the scale of the existing city were shown, and five kinds of multi-utility tunnel were considered suitable for the new city over 2 million square meters. The results of the overall score evaluation of the tunnel type of the existing city and the open type of the new city of 2 million square meters or more, which is the obligation toinstall the multi-utility tunnel, do not show much difference and suggest the validity of the installation of the multi-utility tunnel in various scale of the existing city. 공동구는 필수적인 사회기반시설 중의 하나이나, 국토계획법의 공동구 설치의무규모(200만m2)로 인하여 공동구의 설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논문에서는 공동구 설치 활성화를 위하여 기존시가지에서의 공동구 설치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관련법규를 근거로 규모를 4가지로 분류하였으며, 타당성과 경제성 분석을 활용하여 관련지표 선정 및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시가지의 규모에 적합한 터널식 공동구는 3종/4종으로 나타났으며, 200만m2 이상의 신도시는 5종의 개착식 공동구가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공동구 설치 의무 규모인 신도시 200만m2 이상에서 개착식과 기존시가지의 터널식 공동구의 종합평가결과가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기존시가지에서 다양한 규모의 공동구 설치가 타당하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 헤겔의 습관에 관한 이해 - 이성적 인륜성의 전前 이성적 조건으로서의 습관의 문제

        원준호(Won Jun-Ho)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2 사회와 철학 Vol.0 No.3

        이 글은 헤겔의 습관에 관한 이해를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며 인륜성의 실현에서 습관이 지니는 기능과 의미를 규명하고 있다. 제2의 자연으로서의 습관은 직접적인 제1의 자연으로부터의 자유와 새로운 자연에 구속되는 부자유를 함께 내포한다. 헤겔은 습관의 부자유성을 단지 나쁜 습관과 강제된 습관에서만, 그리고 육체의 영향으로부터 아직 자유롭지 못한 영혼의 지평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제한하고, 궁극적으로는 습관에서의 정신의 매개와 작용을 강조하며 습관의 모순을 해결한다. 습관은 자유 이념을 본질로 취하는 인륜성이 실현되고 거주하는 방식이자 요체로서 인륜성이 정치적 제도와 심정으로 내재화 · 육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인륜성이 본성으로서의 자연과 현존하는 세계로서의 자연으로 됨을 의미한다. 인륜성은 습관 체계 속에서 객관적이고 안정적으로 제도화되는데, 헤겔은 이러한 기계적 메커니즘을 역동적으로 전개 · 발전시키는 것을 정치의 핵심적인 기능으로 이해한다. 절대적으로 사유된 목적을 의욕하는 것이 본성으로 내재화되면서 형성되는 정치적 심정은 주관적 자의성을 배제하지만 대상으로의 매몰로 치부될 수는 없다. 그러나 헤겔은 개인들이 정치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정치적 심정의 한 요소로 적극적으로 포용하지 않음으로써 한계를 드러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