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유산의 트랜스아이덴티티를 통한 도시재생 : 하얼빈 빙등제를 중심으로

        오연,임대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세계 3대 겨울 축제 중 하나인 하얼빈 빙등제가 유명해지면서 중국 하얼빈도 관광도시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전형적인 공업도시가 관광도시로 바꾸는 것은 도시재생의 성공적인 예시라고 볼 수 있다. 빙등(冰灯)도 하나의 도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받았다. 본문은 빙등의 정체성 전환, 즉 트랜스아이덴티티 과정을 살펴보고, 문화유산의 트랜스아이덴티티를 통한 도시재생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연구했다.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받은 것은 그만큼 의미가 있고, 스토리가 있는 뜻이다. 스토리, 히스토리, 그리고 사람을 용합해야 지속적인 발전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한국 원작영화와 중국 리메이크영화의 문화차원 비교연구

        오연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4

        This is a comparative cultural study on the cultural dimensions of the Korean original film and its Chinese remake film.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cultural dimension study by Dutch organizing psychologist Geert Hofstede (1991). In this research I have tried to compare cultural dimensions that are shown implicitly in the original Korean film of “Blind” and its Chinese remake, entitled “The Witness”, in terms of the narrative structures. 이 논문은 최근 아시아, 특히 중국에서 한국영화를 빈번히 리메이크하는 현상에 주목해 한국 원작영화와 중국 리메이크영화의 텍스트 분석과 비교를 통해 각각의 영화 속에서 두 나라의 문화차원들을 추출하여 비교·분석한 연구이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스릴러 영화인 <블라인드>와 중국에서 리메이크한 작품 <나는 증인이다>의 서사구를 분석하고, 그 동안 비교문화연구에서 활용되어 온 네덜란드의 조직심리학자 홉스테드(Greet Hofstede)의 문화차원 연구를 바탕으로, 두 영화 안에 함축된 문화차원을 비교했다.

      • KCI등재

        新媒体景观下受众参与文化与身份认同转换——以网剧《隐秘的角落》为中心

        오연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6

        在新媒体环境下,传统的“受众”身份有所转变,不再是被动的接受信息,而是主动搜索自己感兴趣的信息并进一步进行信息生产等互动,成为新的“文本盗猎者”。随着网剧的发展,弹幕这种网络视频特有的评论功能受到了越来越多年轻人的喜爱,在观看视频的而同时,通过弹幕在线讨论,即时点评。本文尝试将用于叙事分析的身份认同转换理论代入观众分析,以网剧《隐秘的角落》的弹幕为研究对象,先分析叙事中人物的身份认同转换,再将弹幕与叙事结合来阐释观众与文本的互动性,以及观众身份认同的转换。观众们的弹幕交流形成了互动仪式链,在互动过程中通过角色代入形成自我认同感,仪式的结果则为我们呈现了集体身份的认同。身份认同转换是叙事的基础,而对身份认同转换的探讨则成为了观众形成互动仪式链的基础。

      • KCI등재

        갈색 양송이 신품종 ‘호감’ 육성

        오연이,장갑열,공원식,신평균,김은선,오민지,최인걸 한국버섯학회 2015 한국버섯학회지 Vol.13 No.3

        A new brown button mushroom cultivar, ‘Hogam’, C34 line, was made by crossing homokaryons, ASI1164-37 andASI1175-66, selected by RAPD analysis and by cultivating three times. Mycelium of ‘Hogam’ on CDA (compost dextrose agar)media grew well at 25oC. The optimum pin-heading temperature of new variety and optimum growing temperature was 14-18oC. The thickness of the mature cap and stipe were thicker than a control, ‘Dahyang’ that developed in 2010. The color ofpileus was light brown and lighter than ‘Dahyang’. Days required from casing to first harvesting were three days longer thancontrol strain, but the weight of harvested fruiting body increased by 1.35 times. ‘Hogam‘ cultivar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the diversification of domestic mushroom cultivars.

      • 양송이 신품종 지역별 현장 적응성 시험

        오연,전창성,장갑열,신평균,오민지,임지훈,공원식 한국버섯학회 2017 버섯 Vol.21 No.1

        국내에서 양송이품종은 2010년부터 ‘새아’, ‘새정’, ‘새도’, ‘새연’, ‘새한’, ‘호감’ 6품종이 개발되었으며, 현재 보급률은 40%(‘16)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육성품종의 보급 확대와 지역별 재배적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경주, 달성, 부여, 아산 지역 농가에서 품종별 현장실증을 수행하였다. 각 농가의 재배면적은 199㎡이었고 동일 재배사에 각기 다른 품종을 재배하였다. 경주, 달성, 부여, 아산 지역의 농가에서는 백색 품종인 ‘새아’, ‘새정’, ‘새도’, ‘새연’, ‘새한’과 외국종 ‘A15’을 가지고 시험을 수행했으며, 보령지역은 ‘호감’, ‘다향’ 외국종인 ‘F599’으로 진행하였다. 백색품종의 전반적인 생산성과 재배적인 특성을 보면 생산성은 농가 별로 각기 다르고, 부여 농가에서 시험한 품종별 생산성조사에서는 ‘새연’이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많은 농가에서 ‘새 도’가 강한 편이고 ‘새한’이 약하다고 하였으나 시험농가에서는 품종간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형태적 특성은 품종간 차이보다는 농가간의 차이 즉 재배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품종적 특성 확인하기 위해서는 동일재배조건 내에서 여러번 반복 실험 필요하였다. 또한 품종의 자실체 경도와 갓색도 품종 및 지역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갈색품종을 보면 국내 육성품종인 ‘호감’과 ‘다향’품종에서는 3주기 까지 버섯을 수확하였으나 외국종 ‘F599’은 2주기까지 버섯을 수확할 수 있었다. 국내 육성 두품종의 갓 직경은 1주기에 대비하여 2주기에는 감소하였다가 3주기에는 증가하였으며, 외국종은 1주기보다 2주기가 갓 직 경이 증가하였다. 갓 두께에서는 국내 육성품종들과 외국종 모두 주기가 진행되면서 증가하였다. 대굵기에서는 국내 육성품종들은 2주기에는 증가하였다가 3주기에는 감소하였다. 수확주기별 대길이의 변화에서는 재배품종 모두가 2주기에는 감소하였다가 3주기에는 대길이가 증가하였으나 1주기보다는 짧았고 품종별 대길 이에서는 외국종이 가장 길었다. 자실체의 개체중의 변화를 보면 국내 육성품종은 1주기 버섯의 자실체의 개체중이 가장 높고 주기가 진행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외국종에서는 2주기에서도 개체중이 높은 국내 육성품종과는 다른 경향을 보였다. 자실체의 갓 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명도(L)값은 외국종이 57.9로 가장 낮아 갈색이 가장 진하였으며, 다향은 64.6으로 중간정도이며, 호감은 69.1으로 가장 밝았다. 이런 현상은 2, 3주기에서도 계속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품종별 색깔의 차이가 확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자실체 갓색은 적색(a)보다는 황색(b)에 의해 좌우되었다. 경도에서는 ‘호감’은 주기가 진행되면서 증가하였으나, 다향은 감소하였고, 외국종은 아주 적은 정도로 감소하는 등 품종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ITS 계통분석을 이용한 주름버섯류 수집균주의 특성평가

        오연,유영복,신평균,공원식,최인걸 한국버섯학회 2014 한국버섯학회지 Vol.12 No.4

        Phylogenic relationship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and investigated among the 233 collected strains of Agaricus spp. The 38 strains were differently identified as different characteristic group using analysis of ITS regions in rDNA. A. bitorquis was showed close relationship in groupA whereas A. campestris was in groupC as different characteristic group among with A. bisporus. There was no phylogentic difference with strains collected by country and different pileus colored Agaricus bisporus. Also the strains were cultivated twice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ruiting bodies. The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collected strains were compared with molecular varieties and seasons by the cultivation. In this result, A. campestirs showed good yield and quality in terms of hardness off-white mushroom was more harder than other number of A. bisporus. Also earliness and color of pileus was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 all conditions.

      • KCI등재

        고온성 백색 양송이 신품종 '하담' 육성

        오연,오민지,임지훈,장갑열,Oh, Youn-Lee,Oh, Min Ji,Im, Ji-Hoon,Jang, Kab-Yeul 한국버섯학회 2020 한국버섯학회지 Vol.18 No.3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고온성 양송이 백색 품종을 육성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본은 KMCC00540, KMCC00591, KMCC00643을 선발하였고, ISSR과 SSR마커로 각각 동핵균주를 선발하여 교잡하였다. 선발 교잡주를 고온 20~25℃, 습도 80% 이상에서 3반복으로 재배하여 농업적 형질과 자실체 특성의 변이가 가장 적은 것은 Abs4-2016-121 계통이었다. 이 계통은 KMCC00000와 KMCC0000를 교잡한 계통이며, 경주와 부여 농가에서 현장실증시험결과 Abs4-2016-121 계통이 자실체 경도가 높으며 고온에서 갓개열이 지연되어 고온성 품종 '하담'으로 육성하였다. We undertook a breeding program to produce a white button mushroom cultivar with high temperature tolerance in preparation for climate chan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trains KMCC00540, KMCC00591, and KMCC00643 were selected, and homokaryons were selected and hybrids were identified with ISSR and SSR markers, respectively. The selected hybrids were cultivated in three repetitions at a temperature of 20-25 ℃ and a humidity of 80% or higher. The variation in agricultural traits and fruiting body characteristics was least in the Abs4-2016-121 strain. This line is a hybrid of KMCC00591 and KMCC00875, and field experiments at Gyeongju and Buyeo farms found that the Abs4-2016-121 line has high fruiting body with hardness and delayed opening of pileus at high temperatures, so it was bred as a high-temperature cultivar named 'Hadam'.

      • KCI등재

        양송이버섯 품종별 저장기간 및 온도에 따른 품질변화

        오연,장갑열,전창성,공원식,유영복,신평균,서장선 한국버섯학회 2013 한국버섯학회지 Vol.11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torage stability of harvested mushroom in developed varieties of button mushroom through identification of quality change during 35 days. The mushroom harvested up to 2nd flush mushroom was stored on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4, 7, 10oC) and weight, length, thickness, color of pileus and stipe in fruit body was tested every 7 days. The morphological trait and color of stipe in fruit body were influenced by harvesting period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morphological traits of fruit body, mushroom harvested at 2nd flush showed smaller difference than those at 1st flush and mushroom stored at 4oC indicated more difference than ones at the other temperature. Mostly color of pileus in brown button mushroom had lower E (color difference) than white mushroom during storage period. The color of pileus of fruit body in white mushroom had low E at 4oC whereas that of brown mushroom was low at 10oC. The safe period of storage based on the L value is 7 days under a specified environmental condition. ‘Seolgang’ was stored for 14 days as good quality of mushroom, ‘Saedo’ had best quality after harvesting and ‘Seojeong’ was most stable during storage change in white mushroom var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