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을작형 억제재배 미니단호박의 저장조건별 품질 변화

        오봉윤,조경숙,이유석,강정화,장미향,황보인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5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2 No.6

        We stored sweet pumpkins at 8℃, 12℃, 12℃ plasma curing and room temperature (control) for 180 days. During this tim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in the different groups. No spoiling occurred in either of the storage conditions for up to 120 days, and the marketability was good. After 120 days, spoiling sharply increased by over 70% in the control group, while in the 12℃ group it decreased to 20~60%. Conversely, spoiling was completely absent in the 8℃ and 12℃ plasma curing groups during the overall 180 days of storage. The lowest moisture content was found in the 8℃ group and the quality of the pumpkins was excellent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The color of pulp was better in the 12℃ and 12℃ plasma curing groups, with best results were found in the latest. Both the 8℃ and 12℃ plasma curing groups maintained their dark green surface colors, while both the 12℃ and control groups turned from green to yellow. All groups showed a reduction in their initial hardness, with the 8℃ group staying the hardest. Soluble solid and mealiness was increased to the storage during 90 days while decreased, that were long to maintain the mealiness texture in the 8℃ storage pumpkin. The overall acceptability from sensory evaluation was higher in the 12℃ plasma curing group, when compared to those of the 8℃, 12℃ and control groups storage conditions.

      • KCI등재

        맛버섯의 식품성분 및 생리활성

        오봉윤,정경주 한국버섯학회 2009 한국버섯학회지 Vol.7 No.2

        농산물 수입개방과 FTA 대응을 위해 전남농업기술원에 서는 새로운 버섯품목으로 야생 맛버섯(Pholiota nameko )을 수집하여 병·봉지 재배법 개발과 신품종 “금관”을 육성하였 다. 이에 맛버섯 신선편이식품 및 가공제품을 개발하여 지역 특산품으로 브랜드화를 위한 연구를 추진하면서 식품영양성 분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가공식품 소재로서의 우수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맛버섯은 나도팽나무버섯이라고도 하는데, 갓 표면은 황 갈색이며, 뮤코다당체인 점액물질이 있는데 이는 체내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고 혈전을 용해하며, 항암 작용은 암세포 억제율이 86.5%(Sarcoma 180/마우스)로 신 령버섯, 상황버섯 다음으로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는 미소 된장국에 주로 넣어 먹으며 네 번째로 많이 소비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맛버섯 의 식품성분 및 기능성을 연구하여 그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홍보한다면 소비가 촉진될 것이며, 재배농가의 소득 창출과 증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맛버섯은 조단백질이 23.6%였으며, 조지방은 0.5%로 낮 았다. 회분은 6.4%였으며, 탄수화물은66.1%였고, 섬유소는 7.6%였다. 무기질은 Ca, P, Fe, Na, K, Zn 및 Mg를 함유 하 였으며, K와 P함량이 높았다. 비타민 B1은 0.94 mg/100g 이였고, B2 1.86mg/100g 이였으며, niacin은 5mg/100g 함유하였다. 맛버섯을 산가수분해하여 구성 단당류를 조 사한 결과 glucose가 36.56%로 가장 많았고, galactose는 0.37%였으며, mannose는 0.79%, glucosamine은 3.61%, galactosamine은 0.01% 함유하였다. 구성 아미노산은 필수 아미노산 8종을 비롯해 Gly > Glu > Pro > Ser > Leu > Ala > Thr > Val > Asp > Ile > Phe >Arg > Trp > His > Lys > Lys > Cys > Met > Ty r> OH-Pro > Cys2 함유 순으로 20종 이 상 함유하며, 총 49.74 mg/100g 이었다. 맛버섯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0, 100, 250, 500 및 1000 μg/mL 농도별로 하여 생리활성을 조사 한 결과 DPPH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 서 1000 μg/mL 농도에서 70%로 1.7배 정도 더 높았으며, 아 질산염 소거능도 에탄올 추출물이 반응액 pH 3, 1000 μg/mL 농도에서 49%로 약 2배 정도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SOD 유 사활성에서는 물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100, 250, 500 및 1000 μg/mL 모든 농도에서 4배 더 높았으며,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서 SOD 유사활성도 비례적으로 높았으며, 물추출물 1000 μg/mL 농도에서 91% 활성을 나타냈다. 맛버섯 항암효능 평가로 인간의 위에서 유래한 위암세포 인 AGS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세포 배양액에 맛버섯 물추출액 상하층액 각각과 에탄올 상층액 을 0, 100, 250, 500, 및 1,000 μg/mL 농도로 첨가하여 세 포를 배양한 후 추출물이 위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맛버섯 물추출물은 AGS의 세포 증식을 현저히 억제하였 다.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는 처리 후 24시간부터 나타났으 며,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세포 증식이 현저히 감소하였 다. 그러나 100 μg/mL 농도로 처리 시에는 24시간 배양시 암세포 증식이 억제 되지 않았으며, 48시간 이후부터 약간 세포증식이 감소하였으며, 250 ug/mL 이상 처리했을 때 유 의적으로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맛버섯 물추출물 하층 도 암세포의 증식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상층액 추출물보 다 처리 후 24시간부터 나타났으며,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세포 증식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맛버섯 에탄올추출물도 효과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고, 1,000 μg/mL 농 도로 처리하여 72시간 세포를 배양한 경우 추출물을 처리하 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암세포의 증식이 90%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맛버섯의 영양성분과 물 및 에탄올 추출 물의 생리활성을 비교 조사하였는데, 이를 토대로 맛버섯 볶 음요리, 된장국 등의 조리법을 개발함과 소금절임, 초절임, 농축배즙 및 매실즙 정과, 정과식빵, 맛버섯 국수. 티백차 등 다양한 가공제품 소재로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토마토 잎 초임계 추출물의 피부 색소침착 억제 효과

        오봉윤,이유석,강정화,남승희,이선경,안인숙,김은희,정경주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3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11 No.6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hibition effects of tomato leaves supercritical extracts on skin pigmentaion. The leaves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contains functional ingredients such as lycopene, lutein,chlorophyll, caffeic acid, and antioxidant studies prior showed a whitening effect in vitro. RT-PCR and westernblotting analysis, tomato leaves supercritical extract with 0.01mg/mL concentration showed the mostly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on B16F1 cell. Supercritical extract of leaves of tomato, tomato half of the colorantwas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0.5% (T-0.5%), and 1% (T-1%), formed by UVB radiation in the Hr-1 miceusing a mexameter after coated four times once eight days to two days supercritical extract and measuredthe level of melanin. The 6 day, melanin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1% (332.14±24.91) ascompared to N.cont group (428.72±48.39). The 8 day, melanin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1%group (261.25±16.32) and T-0.5% group (282.32±26.43). After changing anatomy of the expression level ofMatrix metalloproteinase-2, 9 (MMP-2, MMP-9), were collected tissue sample application portion investigationand the expression level of MMP-2 and MMP-9 as compared with N.cont group expression levels weresignificantly decreased T-1% group (405.11±23.94) and T-1% group (421.54±32.81). As a result of theabove, the results of animal experiments using the HR-1 mice, supercritical extract of tomato leaves, it wasconfirmed that there is a inhibition effect of skin pigmentaion and moisturizing and whitening effect.

      • KCI등재

        키토산 처리가 콩나물의 Soyasaponin 함량변화에 미치는 효과

        오봉윤,박복희,함경식,Oh, Bong-Yun,Park, Bock-Hee,Ham, Kyung-Si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5

        키토산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조사포닌은 대조구에 비해 모두 키토산을 처리한 콩나물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다. 생장기간 별로 키토산을 처리했을 때, 생장 $5{\sim}6$일째 조사포닌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2,000, 1,000, 500 ppm 그리고 250 ppm 농도로 키토산을 처리한 콩나물 순서로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7일째에는 감소하였다. 키토산을 농도별로 처리한 콩나물에서 그룹 B 사포닌의 함량을 분석하였을 때 soyasaponin I 은 250 ppm 처리구 콩나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더 높은 농도로 처리했을 때에는 키토산의 농도에 따라서 함량이 감소하였다. Soyasaponin II의 함량은 대조구 콩나물보다 키토산 처리구 콩나물이 키토산의 농도를 증가시켜 처리하였을 때 증가하여 1,000 ppm을 처리했을 때 최고값을 보이다가 더 높은 농도인 2,000ppm을 처리했을 때에는 감소하였다. 하지만 콩나물 재배중 키토산 처리는 soyasaponin V의 함량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ovasaponin III과 IV의 함량은 soyasaponin II와 비슷하게 키토산을 1,000 ppm 처리할 때까지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으며 2,000 ppm 키토산 처리구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Elicitors are defined as substances that induce defense responses in plants, which include an increased synthesis of secondary metabolites. Saponin, one of the secondary metabolites, has various physiological effects such as anticancer, antioxidant, cholesterol-lowering activities, etc, in huma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whether a treatment of soybean sprouts with chitosan as an elicitor, increases saponin contents. Saponin contents in soybean sprouts increased by the chitosan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reached the peak on the sixth day, and then decreased. A biosynthesis of group B soyasaponin appeared to be regulated differently. The content of soyasaponin I, a member of group B saponin, was the highest in 250 ppm chitosan-treated soybean sprouts, while the contents of soyasaponin II, III and IV were the highest in 1,000 ppm chitosan-treated soybean sprouts. The content of soyasaponin V changed little in soybean sprouts that had been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chitos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