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中國 山東지역 隋代 佛敎石窟과 摩崖造像

        양은경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구 한국미술사연구소 ) 2003 강좌미술사 Vol.20 No.-

        山東地區石窟和摩崖造像以濟南、靑州、東平爲中心開鑿開窟活動。 而且這些石窟和摩崖造像的開鑿年代多集中于隋代。 隋代石窟代表有濟南千佛山2개窟、龍洞1개窟、靑州駝山第2窟, 其他均爲摩崖龕像。 隋代龕代表有靑州市駝山3洞、云門山1、2洞, 濟南市玉函山摩崖龕、龍洞龕、東佛욕寺龕、千佛山小龕, 東平縣的白佛山第1、2龕。 隋代開鑿的洞窟數量雖然不少, 但該地區佛敎窟龕長期以來沒有引起學術界的重視。 這是因爲除靑州駝山第2窟等기개石窟之外, 一般洞窟都爲龕形洞窟或利用天然洞窟、崖面開鑿的龕, 幷且規模也不大。 80-90年代, 諸城市、靑州市發現一大批佛敎造像爲中國國內外學術界所촉目。 對山東佛敎造像專題硏究的論文陸續刊登, 提出與往日不同的意見。 此后, 學術界越來越重視硏究該地區佛敎造像, 然而有關該地區石窟的硏究, 仍然顯得흔薄弱, 從考古學角度進行的綜合硏究還從未有過。 隋之前, 山東地區佛敎藝術多利用金銅、石頭、木頭、泥塑等雕造單體造像。 但是進入隋王朝, 該地區有活躍的開窟活動。 隋代山東石窟和摩崖造像, 在平面·窟頂·正面刑制、造像組合方面, 仍承襲南北朝時期此地區摩崖造像龕的傳統。 但是倒凹字形石窟平面形式、正壁雕佛像的整體造像組合的特点是隋代出現的。 在造像組合方面也爲不規整的組合。 如一佛、一菩薩、二佛、二菩薩、三佛、三菩薩等無脅侍像或不規整的造像組合。 這些事實均流行于隋代。 如此隋代新出現的石窟形制、造像組合等的特点, 除了山東地區之外其他地區也出現而漸漸流行。 但是該地區摩崖龕像的方形正面形制與同時期東部地區流行的北齊響堂山式圓拱龕、菩提樹圓拱龕不同, 成爲隋代山東地區的特点。 隋代山東地區石窟造像和摩崖造像最大的特点爲鉤紐式袈裟、交領衫、交領式袈裟。 而且這些造像特点也同樣流行于同時期其他地區, 倒了唐代却不流行。 因此我們可知, 這些造像特点是隋代全國性樣式。 換言之, 鉤紐式袈裟、交領衫、交領式袈裟樣式是眞正的隋代造像藝術風格。 隋代山東地區菩薩像把裙腰上升到胸部高處。 這種菩薩像着衣方式也見于其他地區的單體造像。 這種着衣方式摹擬當時婦女的常服。 不過山東地區菩薩像多穿着二層裙子, 這種菩薩像樣式也成爲山東地區的因素。 隋王朝平陳, 就結束了南北分裂的局面, 從而使社會安定, 經濟日益繁盛。 突厥、吐谷渾等的邊患也기乎消除, 國力也日益强大。 鞏固中央的統一, 均田制、府兵制等各種制度的成功, 總會給社會、平民生活帶來安定。 上層地方官員從中央長安安排到各개地區, 而且地方官員移動範圍是全國。 在這些北周系上層地方官吏中, 他們地管統治的東部地區, 也有參與建佛寺活動。 由于隋文帝召北齊地論學、華嚴系統高僧及其弟子入京, 東部地區與長安之間僧人有頻繁的往來。 文帝人壽年間全國立舍利塔, 均選名僧, 從長安派到全國各區。 如此社會穩定, 在各개方面東部與其他地區之間有自由的往來。 而且這種交流以長安爲主發生關系。 因此隋代新出現許多新的因素, 尤其是新出現的石窟形制、造像組合、窟龕造像樣式主要受長安地區北周系統的影響而有變化。 根据現存銘文題記、圖象, 我們可知隋代山東地區石窟和摩崖造像主尊多爲阿彌陀佛。 由于邑義、法社等民間信仰團體和老百姓積極參與開窟、鑿摩崖龕的活動, 造像題材方面也日益注重阿彌陀佛。 在實際修行中, 邑義、法社都特別重視戒律。 民間信仰團體邑義、法社都期望往生淨土。 而且到隋代時, 有關阿彌陀淨土的經典已經譯出흔多, 這種簡便易行的學說較易爲普通民衆所接受。 北齊時期以皇室貴族、高僧爲中心熱烈崇拜的華嚴佛主盧舍那佛, 到了隋代東部地區大住聖窟等仍有雕造。 不過山東地區却極爲??見, 被阿彌陀佛取代。 隋代晋冀豫地區佛敎主要繼承北齊以慧光、法上爲主的업都佛敎, 仍多爲法上、信行、僧稠法系。 尤其是北齊地論、華嚴系統的靈裕、慧遠的活動對晋冀豫地區佛敎、佛敎窟龕有深遠的影響。 隋代업都不再是一개王朝的首都, 已經衰落。 因此不像北齊時期那樣能구對山東地區有흔强大的影響。

      • KCI등재후보

        고구려 소조불상과 중국 소조불상의 관계

        양은경 동북아역사재단 200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4

        고구려 소조상은 평안남도 원오리사지에서 출토된 소조상과 이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평양시 토성리 출토의 陶范편이 대표적이다. 원오리사지 소조상은 1937년 일제의 긴급조사로 인해 유구의 정확한 토층관계와 건물지의 성격에 대해서는 결여된 채 당시 300여점의 소조상편과 기와편만이 수집되었다. 소조상은 불좌상과 보살입상이며 특징이 동일하여 하나의 제작 틀에서 동일하게 제작되었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소조상들은 전체 형상이 성형된 이후 소성과 채색 과정을 거쳤다. 불상과 보살상의 전체 높이는 20cm에 미치지 않는 극소형의 소조상에 속한다. 중국의 사원불사, 사연불도, 내몽고 사원지, 영녕사, 업남성 사원지에서는 발굴을 통해서 소조상이 일괄적으로 출토되었다. 특히 사연불도, 영녕사의 목탑지에서는 대형, 중형, 소형, 극소형의 소조상이 출토되었으며 불상, 보살상, 제자상, 역사상, 비천상, 공양자상, 연화화생상, 동물상, 불감, 연꽃 장식, 식물문 등 종류가 다양하다. 원오리 출토 소조상의 제작 틀로 추정되는 도범은 평양시 낙랑구역 토성리에서 출토되었다. 낙랑구역은 고구려시기 낙랑문화가 공존한 곳이며 낙랑 전축분에 사용된 무늬벽돌 역시 중국과는 다른 현지 특징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더욱이 화폐를 주조한 석제 전범, 토제 도가니 등이 이곳에서 발견되었기에 화폐를 비롯한 무늬벽돌, 명기 등이 현지에서 직접 제작되었으며 이는 낙랑구역에 벽돌, 기와, 화폐 등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공방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토성리에서 도범이 출토된 사실을 통해 이곳에 소조상을 제작하던 공방이 존재하였고 성형과 더불어 소성, 채색까지 일괄적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원오리 소조상은 사원지에서 출토되었는데 공반 출토된 연화문 수막새는 평양시기에 조성된 것이다. 원오리 사원지 역시 인근에 존재하는 운룡리 벽화고분과 더불어 당시 교통의 요충지 이었을 것이다. 원오리사지 소조상의 제작기법은 성형, 소성, 채색의 단계를 거쳤다. 성형과정에서는 제작 틀을 이용하여 형상 전체를 한 번에 찍어낸 기법을 채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기타 비교 예들을 찾아보았으나 중국에서는 사연불도에서 출토된 극소형의 소수의 예를 제외하고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중국의 소조상은 제작 틀을 이용하되 신체부위를 따로 찍어 내거나 혹은 손빚기 성형을 선호하였다. 원오리사지 출토 소조상에서는 성형 이후 소성을 거쳤으나 중국은 사연불도의 몇몇 예를 제외한 나머지 소조상들은 자연적인 건조를 하였다. 이렇듯 원오리사지 출토품은 중국에 비해 간단한 성형 제작기법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형상의 크기가 중국보다 작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원오리 출토 소조상은 크기가 아주 작았기 때문에 금당에 봉안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목탑 속에 봉안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현존하는 돈황 막고굴, 운강석굴의 탑묘굴의 내부 상황, 영녕사에 현존하는 목탑 내부의 내용에 기초하여 원오리사지 소조상은 저부의 심목을 이용하여 목탑 내부 중앙에 설치된 항토 탑심체 혹은 불감에 안치되었을 것이다. 원오리 소조상은 극소형에 속하는 크기로 인해 불감 안쪽에 배치되었을 가능성은 희소하며 불감의 바깥쪽 상부 면에 안치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현 원오리 소조상을 벽면에 안치하였다면 머리와 ... The representative clay figures in Koguryo are the ones excavated in the temple site of Wonori (元五里), Pyongannam province and the mould excavated in the temple site of Tosungri (土城里), Pyongyang (平壤) supposed to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clay figures. The clay figure of Wonori temple site was excavated urgently and roughly in 1937 by the Japanese. For that reason, the precis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y lay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remained unsolved and 300 pieces of clay figures and the roof tiles were collected. The clay figures, statues of the Buddha and the Bodhisattiva, had the same characteristics and were supposed to be made in the same method by using one mould. These were shaped prior to the firing and the painting. They were clay miniatures because their height is limited to the 20cm. In China, many clay figures were excavated in the various places such as the Siyuan temple (思遠佛寺), Siyan Pagoda (思燕佛圖), temple site of the Inner Mongol, Yongning temple (永寧寺), and Yenancheng (鄴南城) temple site. The clay figures, especially excavated in the Siyan Pagoda and the Ye-nancheng temple site, had the various sizes; large, medium, small and miniature. And their motifs were various; the Buddha and the Bodhisattiva, the disciples, the strong man, the flying Asparas, the offering man, the lotus transformation, the animal, the Buddhist niches, the lotus decoration and the plants. Both the moulding and the hand building were used and the fired and the dried were found together. Finally they were painted. The mould, supposed to be used for the Won-ori clay figure, was excavated in the Tosungri, Pyongyang. In the Nakrang (樂浪) area flourished Koguryo culture and the carved brick used for the tomb in the Nakrang showed the strong local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Chinese one. Furthermore stone mould for the coin and the crucible were excavated in this area. This proved that the carved bricks and the Mingqi were locally produced. This may suggest the existence of the workshop of the carved bricks and the roof tiles and coins. The excavation of mould in the Tosungri, Pyongyang showed the install of workshop of the clay figure and the whole making process from the firing to the painting including the shaping were supposed to be done together. The Wonori clay figure was excavated in the temple site and assumed to be made in the period of Pyongyang through the survey of the characteristics of lotus design roof tiles which were excavated together with the Wonori clay figure. During that time, the Buddhist temple were established both in the Pyongyang and the suburbs. The temple in the Pyongyang located in the capital while the temple in the suburbs occupied traffic or military important places. The temple in the Wonori was supposed to place the traffic important spot with the mural tomb in the Unyongri (雲龍里). The Chinese temple site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here the clay figures were excavated, also occupied the military key spot or capital. Especially the most temple in the capital got the patron from the high society. Near the temple site where clay figure were excavated, was excavated the kiln site for the earthenware and the bricks. The production technique of the Wonori clay figure were formation, firing and painting in sequence. During the formation the moulding technique was used to press the whole body together. While in China there are scarcely same method except for the Siyan Pagoda one. Most clay figures in China were made by the hand building or separate pressing. While the Wonori clay figure was fired after formation, most clay figures in China except the ones from Siyan Pagoda were just dried, nor fired. The Wonori clay figures were simpler than the Chinese ones in formation because their size were smaller than Chinese ones. They were supposed not suitable established in the Hall because of their size. Instead they might ...

      • KCI등재

        高句麗 淸巖里土城 주변 출토 金銅冠의 系譜와 用途

        양은경 동북아역사재단 201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4

        The gilt bronze crowns excavated near the Chenongam-ri (淸巖里)earthen fortresses of Koguryo consist of a crown ornament, diadem,and pendant, which are similar to the Bodhisattva statue. In particular,the length and form of the pendant resembles that of the wooden statue of the Buddha at Horyuji (法隆寺) temple in Japan. The crown ornaments that decorated the Buddha one crown on the whole, but the Chenongam-ri find consisted of separated crown ornaments each of which can be observed from the crowns mad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cluding the gilt bronze crown of Koguryo. The production technique of the gilt bronze crowns excavated near the Chenongam-ri earthen fortresses of Koguryo show two different methods: one is the technique of detaching the crown ornament and diadem from one metal board, and the other is the technique of making the pendant with an extra metal board. These production techniques are similar to the Kudara Kannon (百濟觀音像) of Baekje and the Kuse Kannon (救世觀音像) in Horyuji. The flower bud decoration which is arranged on the top of the gilt bronze crown found near the Cheongamri earthen fortresses was made by cutting the edges and twisting them. This technique is regarded as the method from Koguryo, and it is the general way to make wing-like decorations such as a diadem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patterns of the gilt bronze crowns excavated near the Chenongam-ri earthen fortresses are the same as the Bodhisattva statue in Horyuji, especially in the application of the lotus design as a nail. The trilobate patterns, which are observed in the gilt bronze crown of Cheongam-ri, are similar to the gilt bronze diadem of Koguryo, and those are also like the ones from metal container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most important patterns in the gilt bronze crown of Cheomgam-ri are the flame forms that consist of transformational honeysuckle arabesque patterns, which were adopted in the sixth century, especially for ancient tomb murals in the Four-Gods tomb, the five-helmet shape tomb of Koguryo, the golden diadem in the royal tomb of Baekje, and the crown of the Kudara Kannon at Horyuji. I infer that two of the gilt bronze crowns excavated near the Chenongam-ri earthen fortresses were crowns for the two wooden Bodhisattvas. The clues that led me to that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umber of the gilt bronze crowns excavated near the Chenongam-ri earthen fortresses wear is two. They were semicircle in style and were worn on the head. Furthermore, the pendants of the crowns were made of gilt bronze, and they were excavated with various buddhist crafts. Lastly, the fact that using flower-type nails to make the crown fixed to certain objects is similar to the wooden Kudara Kannon of Baekje at Horyuji. In general, The crowns of the Bodhisattva statue were accepted and developed through influences from India and western Asia, but I confirmed that the gilt bronze crowns excavated near the Chenongamri earthen fortresses expressed the components of the Koguryo crown decorations of the aristocratic class. These features can be found in the Chan crown (蟬冠) of the Bodhisattva statue during the perio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China, and they are convincing clues to confirm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Bodhisattva statue. 구성요소면에서 고구려 청암리토성 부근 출토 금동관은 입식, 관대, 수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는 불교조각상의 보살상과 동일하다. 특히 수식의 길이와 형태는 일본 법륭사에 현존하는 목조 불교조각상과 비슷하다. 불교조각상의 입식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관을 이루지만 청암리의 예는 고구려 금동제 입식을 비롯한 우리나라 삼국시대 금동관의 입식과 동일하게 각각의 독립된 입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암리 출토 금동관의 입식은 9개이지만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관은 3∼5개의 입식을 가지는 것이 보편적이어서 차이점이 보인다. 제작기법면에서 청암리토성 부근 출토 금동관은 관식과 입식을 한 장의 금속제 판으로 떼어내고 수식은 별도의 판으로 제작하였다. 이러한 제작기법은 백제관음보살상, 구세관음보살상 등 법륭사 소장 불교조각상과 유사하다. 관대, 입식, 수식의 문양들을 모두 투조로 제작한 것 역시 두 예가 같다. 청암리토성 금동관의 정상에 배치된 꽃봉오리모양의 장식물은 아래쪽의 입식과는 별도로 만들어져 2매의 못으로 접합되어 있는데, 금령총 금관의 녹각형 입식 중 일부분을 따로 만들어 못으로 접합한 것과 傳 충남 출토 금제 장식물에서 이 기법의 흔적이 확인된다. 특히 이 꽃봉오리모양의 장식물에서는 가장자리를 잘라서 꼬는 절렬(切捩)기법이 채택되었다. 문양면에서 청암리토성 부근 출토 금동관은 당시 보살상의 보관에서 유행한 문양은 사산 페르시아계통의 요소와 인도 굽타계통의 문양이었던 사실과는 달리 청암리토성 부근 출토 금동관에서는 고구려 벽화, 유물의 문양과 동일하였다. 일반적으로 보살상의 보관은 인도, 서아시아 보관이 수용, 발전되었던 것과는 달리 청암리토성 부근 출토 금동관에서는 고구려 귀족들의 관식의 요소가 강하게 확인되었다. 중국 남북조시대 보살상의 蟬冠에서도 이러한 내용이 보이는데 보살상에서의 현세적인 특징을 엿볼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청암리토성 부근 출토 금동관은 2점이라는 사실, 반원형을 이루면서 머리에 착용된 점, 수식이 금동제로 제작된 사실, 같은 출토장소에서 불교 공예품들이 함께 출토되었다는 사실은 불교유물임을 알려준다. 청암리토성 부근 출토 금동관은 2점의 목조 협시보살상이 머리에 착용한 보관이었다고 추론된다. 이 금동관을 통해 고구려에 목조 보살상이 제작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구려 불교조각상에서의 재료의 다양성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中國 佛敎寺刹의 검토를 통해 본 百濟 泗沘期 佛敎寺刹의 諸問題

        양은경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9 百濟硏究 Vol.50 No.-

        There are 10 temples that were excavated in Baekje Sa-bi period - Busoshan site, Gunsu-ri site, Dongnan-ri site and Jonglim site. Gunsu-ri site, Dongnan-ri site and Jonglim site were located as concentrated distribution around the southern the Ganbukvri and Gua-ri in the south of the Busosan mountain fortress where were presumed palace sites. The circumstance that Buddhist temple were distributed inside the capital city correspond with circumstance of Koguryo Anhak palace and Chang-an palace. Also, I confirmed that the hundred temples were distributed in the outer and inner wall of Luoyang palace during the Northen-Wei, China, the inner wall of Daxing palace during the Sui dynasty and the inner wall of Chang-an palace during Tang dynasty, and they were similar aspects in the same age. Wangheng-ri site, Imgang site, Yongjeng-ri site and Kumgang site were located in the outer wall and they were an important spot of traffic. There were mountain fortresses and old tombs around temples, and they defended a capital city of Sa-bi. One stupa and one buddhist image hall had a great vogue in the disposition of buddhist temple and it was a special feature of Baekje, and it was different from one stupa and three buddhist image hall of Koguryo. However, in the same age, the Siyuanfosi(思遠佛寺) and Yongningsi temple(永寧寺) of the Northern-Wei in the Period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ere one stupa and one buddhist image hall. Furthermore, Qinglongsi temple(靑龍寺)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Sui dynasty had same arrangement. The wooden stupa of Sa-bi period in Baekje was coincided with the middle of 6C and then when the buddhist image hall was more important than the stupa. The squre column foming the core which were made by mud of the Northern dynasties duing the period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ere remained, but there are no The squre column foming the core which were made by mud in Baekje. This has more connection with the stupa which were made only by wood in the Southern dynasties, and it confirmed through records. A waterway around Neng site were similar with waterway or ditch for decoration or defense in Yongningsi temple in the north Wei and Tongtaisi temple(同泰寺) of Liang dynasty. Descendant set up the Neng site of Baekje to the memory of Emperor Sheng around his tomb. This was from Jengneng temple of Koguryo, Siyuanfosi of the Northern Wei, Kaishansi temple(開善寺) and Huangjisi temple(皇基寺) of Liang dynasty. However,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with the Neng site of Baekje. Jengneng temple of Koguryo was not for parents, for the founder of Koguryo, Siyuanfosi was established by Empress Feng for herself, Kaishansi temple was for a buddhist priest by princess of Liang dynasty. So it is hard to say that they have direct origin with the Neng site of Baekje. Otherwise, Huangjisi temple which were established by Liang Emperor Wu(武帝) for his father in 536 is the most parallel with the Neng site of Baekje. Dongnan-ri site assumed as temple, because of an image of Buddha, even it had no stupa. The noblesse contributed their own mansion to buddhist priest as temple. there were no stupa in that case. I presumed that Dongnan-ri site also a temple which were contributed by a nobility like in China. 군수리사지, 정림사지, 동남리사지 등은 부소산성 남쪽의 관북리 남쪽 혹은 구아리 일대에 집중 분포되어 있으며 나성 내부에 소재한다. 불교사찰이 도성 내부에 집중 분포된 상황은 고구려 안학궁과 그 주변, 장안성 내외부, 중국 북위 낙양성의 내성과 곽성 안쪽, 남조 건강성의 나성 안쪽, 수대 장안의 대흥성 내부, 당대 장안성 내부에 수백개소의 사찰이 집중적으로 분포된 상황과도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북위, 남조, 수, 당대 도성 내부에 건립된 불교사찰은 당시 관청, 시장, 문 주위 등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번화한 곳에 밀집되어 있었다. 나성 외부에 소재한 임강사지, 용정리사지, 왕흥사지, 금강사지의 주변에는 산성과 고분군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는 사비도성을 수비한 역할을 한 곳에 위치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분포상황은 고구려 평양성 주변의 원오리사지, 토성리사지를 비롯하여 남조 건강성 주변에 위치한 종산, 막부산 등에 많은 불교사찰이 건립된 사실과도 일정한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 가람배치에서 성행한 1탑1금당식은 고구려의 1탑3금당식과는 다르지만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 사원불사, 영녕사를 비롯하여 수대 청룡사에서도 이러한 배치법은 여전히 확인된다. 그러나 백제 사비기 1탑1금당식 배치법에서는 탑의 규모가 금당에 비해 작기 때문에 중국 북위 사원불사, 영녕사보다는 시기가 늦으며 수대 청룡사와 유사한 연대로 비정된다. 남북조시대 북조의 목탑지에서는 항토탑심체가 현존함에 비해 백제 목탑에서는 이러한 유구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문헌기록을 통해서 남조에서의 목조로만 결구된 목탑과 좀더 친연성이 있음이 발견된다. 능사 주위의 배수로는 북위 영녕사, 남조 양의 동태사의 예에서처럼 황실에서 왕궁 부근에 건립한 특수한 사원에서 물길 혹은 해자와 유사한 성격으로 판단된다. 백제 능사는 성왕을 추모하기 위해 자손들이 무덤 옆에 건립한 것으로 이러한 성격의 사찰은 고구려의 정릉사, 중국 북위 사원불사, 남조 양의 개선사, 황기사 등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정릉사는 추모대상이 직계 부모가 아닌 고구려 시조라는 사실, 사원불사와 개선사는 추복의 대상에서 백제 능사와 직접적인 기원을 구하기 힘들었다. 이에 반해 양 무제가 536년 자신의 부친 무덤 주변에 건립한 황기사는 백제 능사와 가장 유사한 성격임을 확인하였다. 동남리사지는 탑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불상이 출토되었기에 사원지로 비정된다. 더욱이 중국 북위 531년에 개조된 건중사, 620년 건립된 홍법사는 불당 1개소 혹은 금당 1동, 강당 1동 등 탑이 없고 건축물도 1동, 2동만이 존재하였다. 당시 중국에서는 황공귀족들이 자신의 저택을 사찰로 헌납한 예들이 많았다. 동남리사지 역시 중국에서와 같이 귀족이 자신의 저택을 사찰로 헌납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하였다.

      • 장기간 에탄올 투여한 흰쥐에서 마그네슘이 적출 대동맥의 수축도에 미치는 영향

        양은경,박재식,이원정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3 慶北醫大誌 Vol.33 No.4

        장기간 에탄올을 섭취시킨 정상 협압쥐의 적출대동맥 수축도(contractility)에 미치는 마그네슘(Mg^2+)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실험동물로는 Wistar 숫쥐를 대조군과 에탄올 섭취군으로 나누었으며, 에탄올 섭취군은 생후 6주부터 처음 1주일은 5% 에탄올(v/v)용액을 주고, 다음 2주 동안은 10% 에탄올 용액을, 그리고 이후 4주 동안은 20% 에탄올 용액을 자유롭게 마시게 하여 총 7주간 에탄올을 섭취시켰다. 실험 당일 pentobarbital sodium (35㎎/Kg i.p.)으로 마취한 후흉부 대동맥을 적출, 4∼5㎜의 고리를 만들어 등장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안정시의 장력(resting tension)을 1gm부하하고 60∼90분간 조직을 회복시켰다. 이후 5×10 exp (-7)M norepinephrine(NE)으로 수축시킨 후 반응이 평형상태에 도달하면, chamber내 용액을 동일 농도의 NE을 함유한 Mg^2+결핍 용액으로 갈아준 후 Mg^2+ 누적농도가 0.6, 1.2, 2.4, 3.6 그리고 4.8mM이 되도록 MgSo_4용액을 첨가하면서 반응을 기록하였다. 내피세포가 Mg^2+에 대한 평활근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대동맥 절편을 만들기 전에 대동맥 내강에 면봉을 넣어 내피세포를 손상시켰으며, 또한 Mg^2+에 대한 평활근 반응에 미치는 급성 에탄올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25, 100, 및175mM 에탄올 용액을 NE첨가 15분전에 전처치하였다. 장기간 에탄올을 섭취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NE에 대한 반응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나타났다. Mg^2+농도 변화에 따른 평활근의 반응은, 내피세포가 있는 경우 Mg^2+제거시 수축하였고 Mg^2+을 재첨가함에 따라 용량-의존적으로 이완하였다. 그러나 내피세포가 없는 경우나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물질(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 EDRF)의 작용 억제제로 잘 알려져 있는 methylene blue를 전처치한 경우 수축 및 이완 반응이 현저히 둔화되어 나타났다. 또한 Mg^2+ 결핍은 acetylcholine에 의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급성 및 장기간의 에탄을 처치는 Mg^2+에 대한 평활근의 수축 및 이완 반응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세포외액 Mg^2+의 농도변화가 대동맥 평활근의 수축도에 영향을 미치고, 급성 및 장기간의 에탄올 섭취가 Mg^2+에 대한 평활근 반응을 둔화시키며, Mg^2+이 ACh에 의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에 중요한 cofactor로 작용하며 내피세포 또한 Mg^2+의 이완작용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magnesium (Mg^2+) on contraction produced by norepinephrine(NE) were studied in isolated thoracic aorta of chronic ethanol-fed rats. Male Wistar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and ethanol-fed groups. Six-week-old rats received ethanol in their drinking water at a concentration of 5% (v/v) for the first week, 10% for the next two weeks, and 20% for the last four weeks. Under pentobarbital sodium (35 ㎎/Kg i.p.) anesthesia, the thoracic aorta was isolated and cut into rings(4-5 ㎜ long), and isometric force were recorded continuously. After the aortic rings with or without endothelium were precontracted with NE(5×10 exp (-7) M), the bathing medium was replaced with Mg^2+deficient Krebs-Ringer solution containing the same concentration of NE. Mg^2+ was then added in a cumulative dose manner (0.6, 1.2, 2.4, 3.6, and 4.8 mM). To test the effects of acute ethanol on Mg^2+-induced changes in vascular reactivity, various amounts of ethanol(25, 100, and 175 mM) were added 15 minutes before precontraction with NE. Chronic ingestion of ethanol increased the NE-induced contraction of aortae. With intact endothelium, withdrawal of Mg^2+ from the bathing medium produced a vasoconstriction and readdition of Mg^2+ led to a dose-dependent vasorelaxation. However removal of endothelium or treatment with methylene blue, a known inhibitor o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EDRF), abolished the relaxation produced by Mg^2+, except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Mg^2+-deficiency also led to a profound inability of the precontracted tissues to relax when challenged with acetylcholine. Both acute and chronic treatment with ethanol inhibited the vasoconstriction induced by withdrawal of Mg^2+ as well as the vasorelaxation induced by readdition of Mg^2+.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 that contractility of rat aortic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appears to be sensitive to alterations in extracellular Mg^2+, and acute or chronic ethanol treatment attenuates the responses to Mg^2+. Endothelial cells may have a modulatory role on the responses of the vascular tone to Mg^2+ and Mg^2+ is also an important, cofactor for ACh-induced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in isolated rat thoracic aorta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百濟 扶蘇山寺址 出土品의 再檢討와 寺刹의 性格

        양은경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0 百濟硏究 Vol.52 No.-

        부소산사지에서 출토된 소조상은 나무질의 심목을 이용하여 신체부위를 따로 성형하였고 이후 소성, 채색을 하였다. 이러한 제작방식은 사비기 소조상과 동일할 뿐만 아니라 중국 남북조시대 소조상과도 유사하다. 부소산사지 소조상은 극히 제한된 출토 수량에도 불구하고 목탑 내부 初層의 四天柱 사이 공간에 안치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극소형의 크기로 보아 주된 예배대상이 아닌 주불상의 주위에 배치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부소산사지에서 출토된 벽화벽체편은 3겹의 점토로 성형제작되었다. 이러한 제작기법은 임강사지, 제석사지의 백제 벽화벽체, 중국 영녕사지의 남북조시대 예와 유사하다. 다만 부소산사지 벽화편의 새 그림은 백제, 중국에서의 수목,인동당초문과는 다른 주제로 주목된다. 부소산 목탑지에서는 唐式 대금구가 출토되었는데 능사지, 왕흥사지, 미륵사지, 황룡사지, 중국 하북성 화탑지, 영녕사지에서도 목탑지에서 대금구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부소산사지 출토품 이외의 나머지 예들은 당식 대금구가 아니라 이보다 연대가 이른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부소산 대금구는 목탑지의 심초부에서 출토된 것이 아니라 심초부 부근 풍화 암반층에서 출토되었기 때문에 왕흥사, 능사의 예와는 다른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부소산사지 대금구는 지진구의 성격을 지닌 것과 동시에 사리공양품의 성격도 지닌 특이한 예로 판단된다. 중국에서 당식 과대는 북제에 초보적인 형태가 갖추어지며 수대에 이미 성행의 전조가 보이기 시작한 후 당대 7세기대에는 극성하기 시작한다. 백제 7세기대는 수 말기∼당 초기에 해당되는데 당시 중국에서 성행한 당식 과대가 백제에 전래되었을 가능성은 농후하다. 당시 사절단의 교류, 백제 승려들의 장안 유학 등 수당대 백제인의 중국 왕래는 많이 확인된다. 특히 무왕 38년(637년) 당 태종이 백제 사신에게 비단 도포를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이는 단순히 도포만이 아닌 복두, 대금구 등 복식 일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 점에서 부소산사지 목탑지 부근에서 출토된 대금구들은 637년 당나라 복식의 전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부소산사지는 뒤로 부소산성을 업고 있고 앞에는 백제 왕궁을 바라보는 위치에 입지해 있는데, 이러한 입지조건은 중국 남조의 건강성의 상황과 유사하다. 특히 건강성 북쪽에 입지한 종산에는 황실발원의 사찰을 비롯하여 많은 사찰들이 건립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왕릉, 독서당, 원유 등 품격높은 건물들이 있었다. 부소산사지 역시 출토유물을 통해 7세기대 왕실발원의 사찰로 비정되는데, 산에 사찰을 조성한 이유를 당시 사비도성 내 평지의 협소함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北史』, 『隋書』 등 중국 문헌기록에도 사비도성 내 거주공간이 부족하여 백제인들이 산에 거주하였다는 내용에 주목하여 이같은 추론이 가능하였다. In Busoshan temple site(扶蘇山寺址), there were excavated clay figures, pieces of mural structure, gilt bronze beltornament, tiles and potteries in 1942 and 1980. Among those excavated materials, reconsideration of clay figures, pieces of mural structure and gilt bronze beltornaments is important part to grasp establishment era and character of Buddhist temple, I examine them as objects of study. The clay figure which was excavated from Busoshan temple site was made by wooden frame, it was first made body parts separately, and then firing and coloring. Thes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ilar with the clay figures from Sa-bi period and the period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lthough the clay figures in Busoshan temple are very restricted amount, I judged that they were enshrined in the space between the four pillars of the first floor inside the wooden pagoda. Besides, considering their sizes, they were not big enough for the main worship figure, so they were just for enshrining around the main ones. The pieces of mural structure which were excavated from Busoshan temple site were made up 3 clay lays. This manufacturing techniques are similar with Imgang temple site(臨江寺址), mural structure of Jeshoek temple site(帝釋寺址) and Yong-ning temple site(永寧寺址) of the period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China. The new painting of mural structure in Busoshan temple site, however, are different from tree·Honeysuckle Arabesque pattern in Baekje and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here were also excavated beltornament which were similar with ones from Tang dynasty, at the wooden pagoda site in Busoshan temple site. The beltormaments were excavated in wooden pogodasite of Neng temple site(陵寺址), Wangheung temple site(王興寺址), Mireuk temple site(彌勒寺址), Hwangryong temple site(皇龍寺址), Hua pagoda site(華塔址) of Hebei province in China and Yong-ning temple site(永寧寺址), too. However other beltormaments except Busoshan temple site one are more early things than style of Tang dynasty’s materials. Moreover, beltornament from Busoshan temple site had enshrined in weathered rock formation around the central foundation, not in the central foundation of wooden pagoda site, so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 from ones from Wangheung temple site and Neng temple site. In other words, the beltormanent from Busoshan temple site were unusual things, that has character as Sarira Reliquriy. We can notice sign for prevalence of beltornament as Tang style from Sui dynasty when elementary formation of Nothern Qi dynasty, after then they were prevalent in the 7th century in Tang dynasty. The 7th century of Baekje was coincided from the late Sui dynasty to early in the Tang dynasty, so there could be possible that beltormanent as Tang style which were prevalent in China was handed to Baekje. Because there were many interchange of delegation and studying abroad for Buddhist monks in those period. Especially, there was a record about silk robe as royal gift which were given to Baekje envoy from Tang emperor Tai-jong(太宗) in 637(King mu, 38), it must be also given bukdu, beltornament and all custumes, not only silk robe. Busoshan temple site has similar position with Jiankang city site(建康城) of the Six dynasties in China, it carries on its back Busoshan mountin fortress, and looks forward palace of Baekje front. Especailly there were many temples which were made by royal family in Zong moutnin(鍾山) which were located in the northern side of Jiankang city site, and also the buildings of high level like royal tombs, study place and garden were in same place. I judge that Busoshan temple site was also made by royal family in th 7th century by excavated materials, and the reason for establishing on the mountain was limited flatland inside the Sa-bi capital city. There were record in Beishi (北史), Suishu (隋書), which were written in China, about limited flatland and lackness...

      • KCI등재

        요녕성 조양 북탑 출토 북위 소조상 연구

        양은경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256 No.256

        A Study of Clay Figures From the Northern Towerer in Chaoyangin Liaoning ProvinceYang Eun GyengI studied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researchformation date and arrangement of clatthe northern towerer was founded as Pagoda of Missing Yan by Empress Fengs prayer inNorthern WeiI looked into the foundation date and the origin of form of clay figures which was excavatedin sedimentary layers at northern towerer of southI drew a conclusion through comparisonStatues of Buddha and Statues of Bodhisattva from the northern towerer and clay figures ofLiaoning ProvincePengcheng area Neimenggu province Luoyang area In conclusion clayFangshan Siyuan Temple Woodern PagodaClay figures from both provinces are almost equal in sculpture methodsculpture form andcloring Like this the reason that the origin of Clay figures from the northern towerer hadconnection with Siyuan Temple of Pencheng area was equality of memorial service prayer in bothplacesAt that timeEmpress Feng who assumed power established two wooden towers near hertomb and hometown She probably hired the best craftsmam groupand we couldnt exclude thepossibility that the same group took part in those two worksI tried to presume about the enshrinement position of clay figure from the northern towererand the original formThe temple sites of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where wereexcavated till nowadays were Shanxi Province Siyuan TempleNeimenggu Province Temple SiteHenan Province Yongning Temple Hebei Province Ye City Temple SiteThe excavation of thesetemple sites were given undue value to a large size wooden pagoda which was located center oftempleIn other words the wooden pagoda was the most important worship subject during the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so it was the biggest thing for all the temple buildingAt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