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외래어 로마자 표기에 관한 언어의식 연구 - 대학생 앙케이트를 중심으로 -

        양민호 ( Min Ho Y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4 어문론총 Vol.61 No.-

        In this paper, it is one of the analysis of the image of the Roman alphabet and language consciousness and actual use of Roman alphabet. First, we answer that it is expressed more than 70% of the survey language familiar. Among them, if it can be written in a loanword, many people knew more.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raphrase words, which were divided into eight patterns of survey word. As a result, the investigation is survey word can be written in loanword, level of understanding was very high when a natural paraphrase. There was no word roman alphabet is not included in the concept of loan words existing. However,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the same level Roman alphabet and loan words in this survey. The following is an consciousness of Roman alphabet. In addition, more than 80% felt the heavy use of Roman alphabet. And, most of those surveyed are using the Roman alphabet. It is a question Roman alphabet was increased about what will hinder communi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problem to communicate in spite of that the Roman alphabet is increased. In addition, it asked the consciousness of converting it into a Roman alphabet of a Loanword and Korean word. It was negative when it comes Korean word changes in Roman alphabet or loan words. However, changing the Roman alphabet from loan words was very generous. The last question is related to the image of the Roman alphabet. It was not aggressive with respect to evaluation of the Roman alphabet image. Roman alphabet image of the top was mostly positive. Negative image was often lower. After all, in Korea, I can be judged Roman alphabet is to have a positive image. Throughout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re-recognize the research of Roman alphabet.

      • KCI등재

        한국 외래어의 사용과 위상에 관한 연구

        양민호 ( Min Ho Yang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1 日本語敎育 Vol.55 No.-

        本稿は現代韓國の言語生活で欠かせない外來語について、位相の違いから生じる外來語の使用の度合と屬性との關係を明らかにすることが目的である。その結果、女性より社會的に活動範圍が廣い男性が、高年層より活躍層である若年層が、主婦よりは學生の方が外來語の使用の割合が高かった。さらに、海外滯在經驗の有無という屬性を位相の範疇に取り入れ、海外への直接經驗が外來語の使用に影響していることがこの調査で分かった。このように外來語は調査對象者の位相が深く關係しており、外來語の使用率に影響を與え、外來語の使用を促す重要な要因として동く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 SCOPUSKCI등재

        전기투석용 bipolar 막을 이용한 하밀감 및 당유자 주스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양민호(Min-Ho Yang),강영주(Yeung-Joo Kang)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6

        고산성 감귤 주스에 속하는 하밀감과 당유자 주스를 bipolar 막으로 100분 전기투석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하였고, 하밀감 시료에 하여서는 일반적으로 탈산용으로 사용되는 유기산 선택성 막과 비교분석하였다. Bipolar 막 장착 후 전기투석하였을 때 pH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기산 선택성 막을 사용하였을 때는 투석 후 거의 pH가 변하지 않았다. 총산도는 유기산 선택성 막을 사용하여 전기투석 후 하밀감 시료인 경우 약 70.0% 감소하였고, bipolar 막은 약 57.2% 감소하였다. 가용성고형분은 모든 시료에서 약 10% 정도 감소하였다. 전기전도도는 유기산 선택성 막을 이용한 경우에는 3.2에서 0.9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bipolar 막은 반대로 하밀감, 당유자 주스에서 약 24.6, 20.9%의 전기전도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당산비가 100분 투석 후 약 1.4-2.0배 증가하였다. 유리당, 플라보노이드는 사용된 투석막 차이에 대한 전기투석 전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유기산은 함량은 투석 후 상당히 감소하였다. 유기산 선택성 막, Na<SUB>2</SUB>SO<SUB>4</SUB> 전극액으로 전기투석 시 potassium 및 sodium의 급격한 함량 변화가 있었으나, bipolar막, K<SUB>2</SUB>SO<SUB>4</SUB> 전극액으로 전기투석에 의하여 이온 함량 변화가 거의 없는 주스 생산이 가능했다. 총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 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 항산화 효과에 대한 영향은 전기투석 후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bipolar 막을 사용하여 전기투석한 시료가 기호도가 좋았으며, 이 투석 주스에 가당한 시료가 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평점이 높았다. Acidic citrus juices obtained from C. natsudaidai and C. grandis were electrodialyzed with bipolar and organic acid selective membrane (ion exchange membrane) cartridges. The pH levels of the acidic citrus juices gradually increased to 14.5% (C. grandis) and 25.2% (C. natsudaidai) by electrodialysis with the bipolar membranes, while levels remained consistent when organic acid selective membranes were applied. The total acidity levels decreased more with the organic selective membrane than with the bipolar membrane. Conductivity rose with the bipolar membranes while the value continued to fall rapidly with the organic selective membranes. Sugar and flavonoid contents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lectrodialysis with each membrane. Also, ion contents were almost unchanged with the bipolar membranes and the electrolyte, K2SO4, as compared to rapid changes in sodium and potassium levels with the organic selective membranes and the electrolyte, K2SO4. In summary, the use of bipolar membranes provided juice with better sensory quality than that of the organic acid selective membranes.

      • KCI등재

        일본 ‘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로 살펴보는 공공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다양성과 통일성의 관점에서-

        양민호 ( Yang Min-ho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9 No.-

        本研究は日本の「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の結果一部を紹介し、そこに隠された言語政策的含意とタイムリーな言語政策の項目について考察した。そして国語を研究する言語政策機関である日本の国立国語研究所の役割と言語政策の中の多様性と統一性の境界をどのように考えているのかについて説明した。日本は「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を25年以上続けている。この調査により持続的に言語政策に関する資料を蓄積している。「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を毎年実施するため、調査当時のタイムリーな言語政策項目を加減できるメリットがある。特にパンデミック状況の中でマスクの着用が日常化している。このような状況から言語運用面で多くの変化が起きている。例えば、この調査ではマスクを着用してから日常生活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も変わったと報告されている。 その結果、言語(verbal)コミュニケーションより非言語(non-verbal)コミュニケーションが重要になったと言える。言語政策を立案するにあたって、このような非言語(non-verbal)コミュニケーション関連政策を考える必要がある。日本の場合、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の項目設定に関しては国立国語研究所との協業で行っている。韓国も現在、国立国語院との協業を通じて「国民の言語意識調査」は5年周期で行われている。しかし、タイムリーな言語政策を反映するためにはより短い周期の調査が必要であろう。また、言語政策において重要なことは統一性を損なわない範囲内で言語の多様性を認めて、言語政策を立てて、推進していくことが望ましい。 This study explains some of the results of Japan's "Public Opinion Survey on Japanese Language" and examines the hidden public linguistic policy implications and timely language policy items. The rol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Research in Japan, a language policy organization that studies Korean, and the boundaries between diversity and unity in language policy are explained. Japan has been conducting public opinion polls on the Japanese language for more than 25 years. Through this survey, data on language policy are continuously accumulated. Since public opinion polls on the Korean language are conducted every year, it has the advantage of adjusting the language policy items at the time of the survey. In particular, wearing masks is becoming a daily occurrence amid the pandemic. This has led to many changes in language management.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urvey, daily communication has changed since wearing a mask. As a result, non-verbal communica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verbal communication. In formulating language polic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non-verbal communication-related policies. In the case of Japan, public opinion polls on the Japanese language are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Japanese Language. Korea is also conducting a five-year survey on the people's language consciousness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However, shorter cycles of research will be needed to reflect timely language policy.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language diversity be recognized, language policy formulated, and implemented without compromising unity.

      • KCI등재

        외래어의 인지, 이해, 사용률에 관한 한일 대조 연구

        양민호(Yang, Min-Ho)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1 국제학논총 Vol.15 No.-

        The following paper aims to describe the cognition, comprehension, and usage of loanwords in Korea and Japan based on surveys conducted in both countries. Through these surveys, it can be concluded that cognition plays a dominant role when compared to comprehension and usage. Comprehension is found to prevail over usage as well;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alence of the two is miniscule. On one hand, the connection between comprehension and usage of loanwords is much stronger in Korea than in Japan. For exampl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loanwords in Korea which have a higher rate of comprehension than usage. Speakers do not have to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a given loanword to use it; many speakers are found to use loanwords of which they only “somewhat understand” the meanings of. While this is a rather conservativ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this study can be said to demonstrate that loanwords are used more aggressively in Korea than in Japan.

      • KCI등재
      • KCI등재

        해양문화 산업의 변화 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양민호(Yang, Min-Ho),김준환(Kim, Joon-Hwa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1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4

        최근 정치 사회 경제 활동이 비대면화 및 온라인화로 대변되는 디지털 경제로 빠르게 변해가고 있다. 이처럼 체험활동의 온라인 전환이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언택트 체험이 새로운 트렌드로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체험’을 바탕으로 해양관광산업에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접목시켜 과거의 단순히 지식이나 스토리를 전달하는 해양관광 체험 서비스 방식에서 벗어나 해양관광 콘텐츠가 더 활성화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실감나고 체계적인 해양서비스 체험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체험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해양체험산업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변화와 참여증진의 기반을 토대로 하여 지속적으로 수요를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 일본의 경우에는 선제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가상현실 해양문화 체험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 주도라기보다는 지자체와 산업 연계를 통한 민관(民官) 협력을 이끌어낸 여러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본 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향후 체계적인 해양문화 정책을 세우기 위한 노력으로 일본의 해양문화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디지털 체험을 기반으로 해양문화 산업에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Recently,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have rapidly changed to a digital economy represented by non-face-to-face and online. As such, the online conversion of experiential activities accelerated due to COVID-19, and the “contactless(Untact)” experience using digital technology emerged as a new trend. For example, based on ‘experience’, the marine tourism industry is promoting to activate marine tourism contents beyond the marine tourism contents service method that simply conveys knowledge and story of the past by combining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customers with realistic and systematic marine service experience through more active interaction, it will be possible to continuously raise demand based on changes in consumer awareness and participation promotion in the marine experience industry corresponding to changes in the experience environment. In this trend, Japan is preemptively experiencing a new type of virtual reality marine culture. Several cases have been reported that led to public-private cooperation through industrial linkage with local governments rather than government-l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of Japanese marine culture research in an effort to establish a systematic marine culture policy in the future through consideration of such Japanese cases. It also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as a new approach to the marine culture industry based on digital experience.

      • 마을사업의 지역역량강화사업에 대한 주민 인식 변화 분석 - 농촌마을과 어촌마을 주민 인식 변화 비교-

        양민호 ( Min Ho Yang ),김기성 ( Ki Sung Kim ),고진영 ( Jin Young Koh ),김명일 ( Myeong Il Kim ),양용석 ( Yong Seok Ya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등 각 부처에서는 농산어촌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농산어촌 마을의 공동체 회복 및 주민 의식을 높이려는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시공동체와 농산어촌 공동체의 차이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농산어촌 평가에 관한 연구는 주로 농촌에 치중되었으며, 사업유형에 대한 평가 및 개선방안, 운영관리 방안에 대한 분석, 세부사업별 중요도 측정 등에 집중되어 왔으며, 사업의 직접적인 수혜자인 주민들의 만족도에 대한 평가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농촌과 어촌 주민들에 대한 비교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 주관 강원어촌특화지원센터 맞춤형역량강화사업 사업지구인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초로리 마을 주민과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지구인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송계리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역량강화사업을 통한 교육 전과 후의 마을사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가 이루어졌다. 주민역량 및 만족도 분석을 개인·대인·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설문 문항 분석을 시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교육 전·후를 구분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여 실시하였고, 주민들의 인지 상태에 따라 1:1 설문 항목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토대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한 설문 조사 수치 비교(리커트척도)결과, 현내면 초도리는 -0.20 만큼 감소하였다. 이번 연구로 분석된 연구 결과들은 향후 지역역량강화사업을 하는 데 있어 농촌 마을과 어촌마을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사업에 반영하여 사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일정 부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강원도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으로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농촌 마을과 어촌마을 주민들의 인식 변화와 차이에 관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부(負)의 역사문화유산으로 살펴보는 해역인문학적 연구 - 일본의 사례를 통하여 -

        양민호 ( Yang Min-ho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4

        본 논문은 부(負)의 역사문화유산과 다크투어리즘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구체적 사례로 일본의 히로시마 원폭 돔과 그 주변의 평화시설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근대 역사문화유산이 주로 해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해역 역사문화유산을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전쟁의 상흔이 있는 곳의 부(負)의 역사문화유산 건축물 역사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과거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미래를 준비함으로써 향후 해역문화유산을 보유한 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연구는 밝고 찬란한 세계문화유산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지만 이 논문에서는 비교적 관심이 적고 버려진 부(負)의 역사문화유산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 일본 사례를 통해 부(負)의 역사문화유산이 어떻게 지역부흥과 발전에 기여하며, 미래 관광자원으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좋은 사례가 되었다. This paper explains neg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dark tourism, and analyzes Japan's Hiroshima Atomic Bomb Dome and its surrounding peace facilities as specific examples. It was also possi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that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s mainly located in the sea region. As a way to identify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 the sea region, it is desirable to look at the negative history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buildings in the place where the scars of the war are. This is because by looking back on the past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promote tourism in areas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 the sea region in the future. Until now, research has focused on bright and brilliant World Heritage sites. However, in this paper, we looked at neg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that were relatively less interested and abandoned. Through specific Japanese examples, it became a good example of how neg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contributes to regional revival and development and plays a role as a future tourism resource.

      • 마을사업의 지역역량강화사업에 대한 주민 인식 변화 분석 - 농촌마을과 어촌마을 주민 인식 변화 비교-

        양민호 ( Min Ho Yang ),김기성 ( Ki Sung Kim ),고진영 ( Jin Young Koh ),김명일 ( Myeong Il Kim ),양용석 ( Yong Seok Ya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등 각 부처에서는 농산어촌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농산어촌 마을의 공동체 회복 및 주민 의식을 높이려는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시공동체와 농산어촌 공동체의 차이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농산어촌 평가에 관한 연구는 주로 농촌에 치중되었으며, 사업유형에 대한 평가 및 개선방안, 운영관리 방안에 대한 분석, 세부사업별 중요도 측정 등에 집중되어 왔으며, 사업의 직접적인 수혜자인 주민들의 만족도에 대한 평가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농촌과 어촌 주민들에 대한 비교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 주관 강원어촌특화지원센터 맞춤형역량강화사업 사업지구인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초로리 마을 주민과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지구인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송계리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역량강화사업을 통한 교육 전과 후의 마을사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가 이루어졌다. 주민역량 및 만족도 분석을 개인·대인·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설문 문항 분석을 시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교육 전·후를 구분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여 실시하였고, 주민들의 인지 상태에 따라 1:1 설문 항목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토대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한 설문 조사 수치 비교(리커트척도)결과, 현내면 초도리는 -0.20 만큼 감소하였다. 이번 연구로 분석된 연구 결과들은 향후 지역역량강화사업을 하는 데 있어 농촌 마을과 어촌마을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사업에 반영하여 사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일정 부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강원도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으로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농촌 마을과 어촌마을 주민들의 인식 변화와 차이에 관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