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자무역 활용상 전자대금결제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안재진,Ahn, Jae-Jin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3 情報學硏究 Vol.6 No.1

        전자무역은 현재 일부 무역거래단계에서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모든 무역거래단계로 확대시키기 위하여 업계 및 각국의 정부당국, 그리고 국제기구의 노력들이 부단히 행해지고 있다. 전통적 무역거래를 전자무역으로 대체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은 국제대금결제시스템을 전자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은 궁극적으로 전자무역거래의 완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전자무역의 구현에 있어서 시급하고도 중요한 핵심과제가 되고 있다.

      • KCI등재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the edentulous patients using O-ring attachment:A clinical report

        안재진,조병완,안상헌,김종필,Ahn, Jae-Jin,Jo, Byung-Woan,Ahn, Sang-Hun,Kim, Jong-Pil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itics 199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36 No.4

        무치악환자의 Implant보철수복 방법은 식립된 Implan의 수에 따라 다양하다. 많은 수의 Implant가 식립된 경우에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이 가능하지만 시술이나 기공상의 복잡성, 고가의 치료비, 보철물과 잔존치조제사이의 빈 공간으로 인한 비심미성, 발음의 어려움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적은 수의 Implant가 식립된 경우는 Bar Retained Overdenture를 사용하지만 역시 기공과정이 복잡하며, Bar와 잔존치조제사이의 공간으로 인한 점막지지 면적의 감소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여기에 비해서 O-ring Attachment를 이용하면 기공과정이 쉽고, 잔존치조제와 보철물 사이에 공간이 없으므로 점막지지 면적을 많이 얻을 수 있다. 또한 Implant식립의 수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쉽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증례들은 Steri-Oss Implant System의 O-ring Attachment를 이용하여 무치악환자를 보철 수복한 예로서 술후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발표하는 바이다. A successful prosthesis is difficult to produce without using the implants in the severely resorbed alveolar ridges and maxillofacial defects. This report describes clinical experience of the overdenture using O-ring attachment. Clinical results have revealed successful application for the O-ring attachment in the two edentulous patients and a partial maxillectomy patient.

      • KCI등재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안재진(Ahn, Jaejin),최운선(Choi, Woonsun),권지성(Kwon, Jisung),변미희(Byun, Mih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1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6

        본 연구는 ‘입양아동 발달에 관한 6차년도 양적 종단조사’의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이상 아동의 자료를 이용하여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을 실시하기 전, 입양아동의 학업성취도를 비입양아동과 비교해본 결과, 입양아동이 주관적으로 인식한 학업성취도는 비입양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특히 중고등학생 시기에 입양아동의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비입양아동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 결과,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은 입양아동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학교적응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문제행동은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학교적응은 아동의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통제변수 중에는 연장아 여부와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입양아동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 및 정책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roblem behavior,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adopted children.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blem behavior on the academic of adopted children via school adjustment. subsample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older children) of 6th wave data of Panel study on the Korean adopted children was used f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as employed. Path analysis,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adopted childre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adopted children.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indirectly affect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chool adjustment. Among the control variables, age at adoption and household inco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dopte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some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to increase adopte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adolescence discussed.

      • KCI우수등재

        국내 입양아동의 학업성취수준과 영향 요인

        안재진(Ahn, Jae-Jin),최운선(Choi, Woon-Sun),변미희(Byun, Mi-Hee),권지성(Kwon, Ji-S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개입양가정에서 성장한 아동들의 학업성취도 수준과 관련 요인들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공개입양가정에서 성장한 아동들의 경우, 그동안 다양한 발달측면에서 관심을 받아왔으나 지금까지 국내입양아동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입양아동발달에 관한 종단연구』의 제5차 양적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인 아동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입양아동들의 학업성취도는 초등학생 때에는 일반아동과 큰 차이가 없으나, 중학교 진학 이후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양아동의 전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급과 모의 학력, 연장아 여부, 아동의 자존감과 학교적응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목별로 구체적인 영향요인들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입양아동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앞으로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chool achievement of domestic adopted children in Korea and its related factors. Although the developmental outcomes of domestic adopted children were the focus of research interests, their school achievement has never been fully addressed in Korea. The subsample (9-17 years old) of 5th wave data of 〈Panel study on the Korean adopted children〉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hool achievement level of domestic adopted childre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non-adopted peers during elementary school years except the mathematics, but changed drastically after they entered the middle school, showing significantly lower level from their non-adopted peers. Factors related with the overall school achievement were the level of school, maternal education, age at adoption, child’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For specific subject, however, significant factors were found to be somewhat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actical guidelines to improve the school achievement of adopted children were suggested. Also, suggestions for the following studies were made.

      • KCI등재

        미혼모의 사회적 관계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안재진(Ahn Jae-jin),김지혜(Kim Ji-hye)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3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의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이 미혼모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기존 연구에서 배제되어 있던 사회적 관계망의 부정적 측면인 사회적 갈등에 주목함으로써,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미혼모 시설 8곳 중 6곳에 거주하고 있는 미혼모들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혼모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br/> 났으며, 사회적 갈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게 나타났다. 특히 미혼모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갈등은 사회적 지지보다 낮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 지지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망의 부정적 기능에 대한 인식은 시설내 미혼모에게 개입하는데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준다. 즉, 지금까지 관심을 가져왔던 사회적 지지체계에 대한 개입 외에, 갈등의 원천이 될 수 있는 관계망과의 관계를 제거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거나 개선하는 방향으로 개입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since the systematic efforts to help unmarried mothers are rather limited, the unmarried mother's social relationship is expected t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adjustment of unmarried mothers after the birth of a baby.<b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on unmarried mother's self-esteem.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a negative aspect of social relationship, social conflict, which has been ignored by the previous researches.<br/> For this study, survey method was employed. The respondents of the<br/> questionnaire were 205 unmarried mothers staying at six out of eight institutions for unmarried mothers available in Korea. The multiple regression and other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br/>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steem of unmarried mothers was.<br/>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conflict was, the lower the level of self-esteem of unmarried mothers was.<br/> Third, even though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conflict was much lower tha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effect of social conflict on unmarried mothers' self-esteem was as powerful as the social support.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social conflict also can be very important.<br/> These findings suggest a new direction for intervention for unmarried mothers.<br/> Until now, the major target of intervention in social relationship was to strengthen existing social support or establish new social support system. Now, in addition to augmenting social support, we should pay attention to removal of social conflict,<br/> since it has significantly powerful effect on the adjustment of unmarried mothers.

      • KCI등재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유형이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안재진 ( Ahn Jaejin ),김선숙 ( Kim Sun-suk ),이경상 ( Lee Kyeong-sa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유형에 따라 진로성숙도와 공동체의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들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5년 청소년 나눔활동 실태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4~6학년), 중학교(1~3학년), 고등학교(1~3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7,05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에서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과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의 두 유형으로 크게 나눠 살펴보면, 학교에서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 참여유형 중에서는 캠페인활동만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참여유형 중에서는 교내봉사활동, 지역사회봉사활동, 자연환경보호활동이 모두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사회봉사활동과 자연환경보호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교에서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보다는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발달 및 공동체의식 발달에 더 큰 영향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캠페인 활동의 경우,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이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보다 오히려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봉사활동 유형에 따라 학교주도와 개인주도 활동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보다 효과적인 봉사활동을 위해서는 봉사활동 유형별로 보다 효과적인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운영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he sense of community depending on the types of volunteer activities. The data of the 2015 survey on the State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SASA)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in Korea was analyzed. Participants (N: 7,052) were primary school students from the 4th grade to the 6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among volunteer activities designed for school educational courses, only the campaign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heir sense of community. On the other hand, among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three types of volunteer activities (school volunteer activity, community activity,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ctivity)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 level of adolescents` career maturity. In particular, community activity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ctivit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sense of community. It was found that the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were more influential than volunteer activities designed for school educational courses. However, in case of the campaigning activity, the result was opposit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improve policy and its execution for Korean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국외입양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재진(Jae Jin Ahn),권지성(Ji Sung Kwo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2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7

        본 연구는 국외입양인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토대로 국외입양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들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2008년에 실시한 <국외입양인 실태조사 및 효율적 입양사후서비스 제공방안>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대상은 한국에서 출생하여 미국, 유럽, 호주 등의 국가로 입양된 16세 이상 국외입양인들로, 설문지는 영어와 프랑스어로 제작되어 온라인 설문조사 형태로 진행되었다. 총287사례가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온라인 설문조사의 특성상 응답별 결측치가 다소 높게 나타나 다중삽입한 5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입양인의 관계 요인(입양부모와의 관계, 배우자와의 동거여부, 친한 친구의 수)과 입양 관련 요인(정체성 위기 경험빈도, 입양당시의 연령, 친생부모와의 재회여부, 입양에 대한 태도)이 연구모형에 포함되었으며, 입양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 및 소득수준, 거주지역)도 통제변인으로 포함되었다. 통제변인과 관계 요인, 입양관련 요인을 순차적으로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최종모형에서 입양인의 소득수준과입양부모와의 관계, 친한 친구의 수, 정체성 위기 빈도, 입양에 대한 태도가 입양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이 높고, 입양부모와의 관계가 좋고, 친한 친구의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국외입양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살아오면서 정체성 위기를 경험한 빈도가 높을수록 현재 느끼는 삶의 만족도가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외입양인 지원 정책과 입양실천에서 고려해야 할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Korean international adoptee`s life satisfaction.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ptees. Secondary data set, entitled <Worldwide Survey among Overseas Korean Adoptees 2008>, was reanalyz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Korean-born adoptees (who are more than 16 years old) in North America, Europe, and Australia. The research questionnaire was translated into English and French,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 total of 287 respon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here were relatively high rates of missing data. Thus, multiple imputation was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Socio-demographic factors (sex,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country they live), relationship factors (relationship with adoptive parents, living with the partner, number of close friends), and adoption-related factors (experience of identity crisis in their life, age at the time of adoption, reunion with birthparents, attitudes toward adoption) were included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in the presented order. The results showed that income level, relationship with adoptive parents, number of close friends, experience of identity crisis in their life, and attitudes toward adop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doptees` life satisfaction. Higher income level, more positive relationship with adoptive parents,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ternational adoption and increased number of close friends were related to higher life satisfaction. Also, the more they experienced the identity crisis in their life, the lower their life satisfaction was. Some implications for adoption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국외입양인의 뿌리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재진 ( Jae Jin Ahn ),권지성 ( Ju Sung Kw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국외입양인들의 뿌리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입양이 시작된 6?25 전쟁 이후 지난해까지 국외로 입양된 아동은 16만명 이상으로, 같은 기간 국내에서 입양된 아동에 비해 2배 이상 많다. 1980년대 초부터 많은 국외입양인들이 뿌리찾기를 위해 모국을 찾고 있으나, 이들 국외입양인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지원은 매우 낮은수준이다. 그러나 뿌리찾기가 입양인들이 갖고 있는 보편적 욕구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의 뿌리찾기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뿌리찾기에 참여하는 입양인들 의 특성을 파악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토대로 국외입양인들의 뿌리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들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2008년에 실시한 <국외입양인 실태조사 및 효율적 입양사후서비스 제공방안>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대상은 한국에서 출생하여 미국, 유럽, 호주 등의 국가로 입양된 16세 이상 국외입양인들로, 설문지는 영어와 프랑스어로 제작되어 온라인 설문조사 형태로 진행되었다. 총 290사례가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온라인 설문조사의 특성상 응답별 결측치가 다소 높게 나타나 다중삽입한 5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입양인의 인구학적 특성(성별과 연령집단), 심리적 특성(정체성 위기 경험), 입양 및 입양부모 관련 특성(뿌리찾기 관심 시기, 입양시 연령, 입양부모의 이혼여부, 뿌리찾기에 대한 입양부모의 태도) 등의 변수가 연구모형에 포함되었으며, 이 중 입양인의 연령, 정체성 위기경험, 뿌리찾기에 처음 관심을 갖기 시작한 시기, 입양 시 연령, 뿌리찾기에 대한 입양부모의 태도가 입양인의 뿌리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입양인의 연령이 30~34세인 경우, 35세 이상인 경우보다 뿌리찾기를 시도할 확률이 높았으며, 살아오면서 정체성 위기를 여러 차례 경험한 입양인일수록, 입양 시 만 나이가 많을수록, 뿌리찾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연령이 어릴수록 뿌리찾기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뿌리찾기에 대한 입양부모의 태도가 지지적인 경우보다 입양부모의 태도를 모르는 경우 뿌리찾기를 시도할 확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근거한 국외입양인 지원 정책 및 입양실천에서의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Korean international adoptee`s search for their birthparents. Considering that the search for birthparents is general needs for adoptees, Korean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ir searching activities and, first of all,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data set of <Worldwide Survey among Overseas Korean Adoptees 2008> conduc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as reanalyz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Korean-born adoptees (who are more than 16 years old) in North America, Europe, and Australia. The research questionnaire was translated to English and French,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line. A total of 290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ince survey was conducted on line, the missing rate of the data was relatively high. So, multiply imputed five data sets were used for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included in research model, the age group of adoptees, experience of identity crisis in their life, the first time when they became actively interested in Korean roots, the age at the time of adoption, and the attitudes of adoptive parents toward their search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search for birthparents. Adoptees in the age group of 30~34 had more actively participated in search compared to their reference group (which is the age group of more than 35 years old). The earlier they became actively interested in Korean roots, they tended to be more active in searching activities. Also, the experience of identity crisis in life and the age at the time of adop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earch. Although most of adoptive parents have supported their search, the adoptees who reported that they didn`t know their adoptive parents` attitude toward search, or their parents deceased had more actively participated in search for their birthparents. Some implications for adoption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국내법에 나타난 입양제도의 변천과정 분석: 아동권리의 관점에서

        안재진 ( Jae Jin Ahn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민법상의 일반입양과 친양자입양, 그리고 입양특례법상의 입양으로 구분되는 국내 입양 관련법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아동권리적 관점에서 입양제도의 변천과정이 갖는 의미를 분석한 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국내 입양제도는 민법상의 일반입양과 입양특례법상의 입양이 각기 다른 목적과 배경 하에 운영되어 왔으나, 그 변천과정을 보면 점차 가(家)를 위한 제도, 부모를 위한 제도에서 아동을 위한 복지제도로 변화되어 왔으며, 아동의 권리 또한 점차 강화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05년 친양자제도의 도입과 2011년 입양특례법 개정은 계약형 양자법에서 허가형 양자법으로, 또한 불완전양자에서 완전양자로 발전했다는 점에서 국내 입양제도가 국제적인 발전방향에 맞추어 큰 진전을 이룬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국내 입양관련 법은 여전히 몇 가지 한계를 갖는데 비교법적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주요개선사항들을 보면, 첫째, 파양사유의 범위를 극히 제한해야 하며, 파양 절차 및 파양 이후 아동의 복리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절차보조인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파양을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으므로, 입양결정 이전에 시험동거기간을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셋째, 입양결정과정에서 아동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위한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모든 입양은 아동의 복리를 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원칙을 두고 국내 입양관련법을 통합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미성년자에 대한 입양은 완전입양만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of adoption law in Korea. There are three types of adoption in Korea, with related legislation: general adoption under family law, full adoption under family law and adoption under special adoption law. In this study, the trends in the legislation of adoption related law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Korean adoption law has been moving towards enhancing children`s rights, changing from adoption for the family or for adoptive parents to adoption for the child`s welfare.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of full adoption in the reform of the family law of 2005 and the reform of the special adoption law in 2011 was considered to be a major step towards a more advanced adoption system. Nonetheless,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Korean adoption law when compared to adoption laws in other countries. Som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adoption law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adoption laws in several other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