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mputed Radiography 환경에서의 REPEAT 유형변화에 대한 고찰

        안미섭,장광현,문희석,정환,An, Mi-Seop,Jang, Gwang-Hyeon,Mun, Hui-Seok,Jeong, Hwan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1997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ol.3 No.1

        Before entering 21st Century, modern medical science is requiring more precise display which is highly estimated in diagnostic value as radial science technology is achieving sharp development. And it is also trying to contribute to improve national health and to offer better service by reducing radial exposure. General projection and Fluoroscopy which are most difficult to be displayed in digital tend to change their way ; from analog to digital with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and Computer Technology, Introducing to CR system in 1994, SMC have displayed General projection and Fluoroscopy 100% in digital using CR system. This study searched differences between repeat rate, repeat type in the exam using Film/Screen and those in the exam using CR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peat types and repeat rate of Film which was reused by using CR system in general projection room and Fluoroscopy room of SMC, we found that total 192,813 films were used and 2,097 films, 1.09% of total were reused. However, actual repeat covers 0.76% to 1,461 sheets with the exception of 636sheets. As above, display process using CR system is 0.76% much lower than general repeat rate 2$\sim$4% of Film/Screen exam. Besides decreased under/over exposure, it is appeared that position failure rate in repeat rate 0.76% covers relatively high 31%. Noticing that repeat caused unskilled devices handing was found many times, sufficient understanding seems to be required to reduce repeat.

      • 선천성 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에탄올과 요오드 조영제 혼합물의 크리스탈 성분 분석

        성낙순,김상헌,전진호,고인범,안미섭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8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1 No.1

        서론 : 경화제로서 에탄올은 선천성 혈관 기형을 요오드 조영제와 혼합 된 형태로 치료하는데 자주 사용하고 있다 동정맥류 기형의 색전술을 . 위해 에탄올과 조영제 Visipaque 320 (iodixanol)가 혼합되었을 때 결정 형성이 된다는 논문을 접한바 있다1). 본연구는 요오드 함유량에 따라 에탄올과 요오드 조영제를 혼합하여 침전물이 형성되는지 여부와 그 화학 성분을 규명 하여 색전 물질로서 다른 조영제의 안전성 여부에 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함이다. 대상및방법: Visipaque 270, 320 (iodixanol), Xenetix 300, 350 (Iobitridol) 4 개의 다른 성분의 조영제를 준비하여, 조영제와 에탄올의 혼합물을 10cc rock syringe 와 3 way를 이용, 50 % 및 80 % 농도로 혼합하고, 피펫 (Eppendorf) (관측 배율 : 100 배, 400 배)을 사용하여 일정량을 슬라이드에 놓고 10 분, 60분, 180 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각의 생성물의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정이 형성되었을 때 원심 분리기로 농축액을 추출하여 성분 분석을 의뢰하였다 결과 : Visipaque 270 과 320두 가지 종류만 크리스털 이 형성되었으며, 3-way를 이용하여 2~3회 에탄올과 조영제를 섞어주면 침전물은 사라지고, 최대 180 분 동안 다른 화학적 반응이 보이지 않았음. 성분 분석결과는 주성분인 요오드 (95 %)와 염소 (4 %), 기타(1%)로 구성되었음을 확인 할수 있었다. 고찰: 크리스탈의 생성으로 동정맥 기형치료에 있어 특정 조영제는 사용 할수 없다1는 주장은 실험 결과에서 보면 반대되는 의견을 제시 할수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도 조영제와 에탄올 혼합물은 변화하지 않는다는 점과 성분 분석 결과 중요성분은 요오드가 주성분이며, 나머지는 극소량의 물질이거나 에탄올 성분에 녹는다는 점과 과거부터 현재까지 선천성 혈관 질환에 사용되고 있는 Xenetix 와 에탄올과 혼합시 화학적인 반응이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결론 : 조영제와 에탄올 혼합시 일시적으로 생성되는 슬러지(생성물)는 녹아서 사라짐과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재 생성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성분분석 결과에서 보듯이 I(요오드)와 CL(염소) 성분은 유기 화학적 개념에서 본다면 에탄올과 반응했을 때 녹을 수 있다는 점을 본다면 선천성 혈관기형 시술에 Visipaque 270, Visipaque 320 조영제를 사용함에 있어 색전제 로서 동정맥 혈관기형 시술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Cleaned room air 사용하는 시술에 대한 혈관 조영실 내 공기 청정도 기준에 관한 고찰

        한웅신,성낙순,김경수,고인범,안미섭,현동호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9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2 No.1

        목적 : 현재 수술적 치료를 대신하여 병원 내 혈관 조영실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시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병원 내 감염관리 또한 수술장과 더불어 일정한 청정도를 유지해야 한다. 특히 Venous Malformation Sclerotherapy(V.M Scle)과 Balloon occluded Retrograde Transvenous Obliteration(B.R.T.O) 시술의 경우 시술실 안에 존재하는 공기를 직접 혈관 내에 주입 해야 하므로 감염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할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에 공기를 주입 했을 경우 문제가 되지 않는 혈관 조영 시술실 내의 공기청정도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으로는 삼성서울병원 혈관 조영실 시술실 내에서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측정에 이용된 기구로는 식약청 인증을 받은 입자계수기(particle counter, Aero Trak APC 9310-02 Made in USA)(g)(h)와 시술실 안에 있는 낙하균을 실험하기 위한 일반세균(Tryptic Soy Aga ,TSA)배지, 진균(Sabroud Dextrose Aagr,SDA)배지 이용하였다. 공조 횟수의 경우 20~25회/h 상태에서 진행하였고 공조방법은 난류형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HEPA filter의 경우 교체 후 4개월 경과 된 상태였다. 실험은 미항공우주국(NASA) NHB 5340.2에 기준을 두고 진행하였다. 입자 수 실험으로는 공간적 상태는 시술실 문을 닫고 사람이 없는 공실 상태와 실제시술자가 시술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각각 실험하였고 위치는 시술실 문 앞쪽과 문 안쪽 부분으로 나누어 입자 계수기를 이용하여 1분간 총 5회에 거쳐 같은 위치, 높이(1m)에서 측정하였다. 입자 수의 크기는 0.5㎛, 1.0㎛, 3.0㎛, 5.0㎛ 크기 별로 입자 수를 측정하여 합산하였다. 낙하균 시술대 위에 일반세균 배지와 진균 배지를 각각 올려 놓은 상태에서 공조상태에서 1시간 동안 채취를 하였고 그 후로 일반세균 배지의 경우 32도 온도에서 48시간, 진균 배지의 경우 25도 온도에서 96시간을 각각 배양하여 실험하였다. 결과 : 입자 수의 결과 사람이 없는 공실 상태에서 문 앞쪽의 경우 0.5㎛ 크기 이상의 입자 수는 평균 2477, 안쪽 시술 측의 경우 평균 1735 나타났다. 실제시술자가 시술을 진행하는 상태에서는 문 앞쪽의 경우 0.5㎛ 크기 이상의 입자 수는 평균 4668, 시술상태의 경우 평균 4474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시술자가 없는 공실상태의 경우 문 앞쪽이 안쪽 시술 측에 비해 1.4배 높은 입자 수를 보였고 실제 시술자가 시술을 진행하는 상태의 경우 문 앞쪽이 안쪽 시술 측에 비해 약 1.1배 수치의 상승을 보였다. 시술자가 없는 상태와 있는 상태에서의 수치를 비교해 볼 때 문 앞쪽의 경우 1.8배의 입자 수 상승이 보여졌고 문 안쪽의 경우 2.5배에 달하는 수치 상승이 보여졌다. 낙하균 실험결과는 일반세균 배지와 진균 배지 모두 낙하균의 colony 즉 집락은 발생 되지 않았고 두 실험 결과 모두 class 10000에 적합한 수치였다. 결론 : 혈관 조영 시술실 내의 공기 청정도 실험 결과 class10000 이내에 공기 청정도 수치가 나타났다. 이는 미국에서 제시하는 미항공우주국(NASA) NHB 5340.2 기준으로 볼 때 BCR(바이오클린룸)기준에서 병원관련 일반 수술실 부분에 합당한 결과이다. 상기 조건의 시술실 내에서 삼성서울 병원 혈관조영실에서 지난 8년간 총 1479명 환자가 시술실 내 공기를 이용한 시술을 진행 하였고 모든 환자에게서 공기에 오염으로 인한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혈관 조영 시술실 내의 공기 청정도를 최소한 Class10000내로 유지한다면 시술실 내 공기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 간동맥화학색전술(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시 의료진 피폭선량에 따른 방사선 방어용 보호장구 적용의 효율적 운영

        김기태,김성룡,고인범,안미섭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1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4 No.1

        목적 : 인터벤션 시술의 증가에 따른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 착용에 따른 의료진의 신체적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적정한 보호용구 선택과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간동맥화학색전술(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를 가정하여 의료진(시술자, 시술보조자, 방사선사/간호사) 위치에 따른 공간선량을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의 납당량당(0.5 ㎜Pb, 0.25 ㎜Pb) 의료진 위치에 따른 차폐율 및 피폭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 TACE 시술 시 의료진의 위치에 따른 공간선량률은 시술자 위치에서 825.1±11.43 μR/m, 시술보조자 3.439±0.15 μR/m, 방사선사/간호사 0.258±0.02 μR/m의 분포를 나타냈다.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의 납당량당(0.5 ㎜Pb, 0.25 ㎜Pb) 의료진 위치에 따른 차폐율 및 피폭 선량은 시술자 0.5 ㎜Pb - 5.6~6.2 μ㏉, 0.25 ㎜Pb - 6.8~7.2 μ㏉ 로 0.25 ㎜Pb 앞치마 사용시 16~22% 증가율을 보인다. 시술보조자 0.5 ㎜Pb - 5.1~5.4 μ㏉, 0.25 ㎜Pb - 6.1~6.4 μ㏉ 로 0.25 ㎜Pb 앞치마 사용시 18~23% 증가율을 보인다. 방사선사/간호사 0.5 ㎜Pb – 1.9~2.1 μ㏉, 0.25 ㎜Pb – 2.1~2.3 μ㏉ 로 0.25 ㎜Pb 앞치마 사용시 5~10% 증가율을 보인다. 결론 :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연간 허용선량 한도를 고려하고 시술 중 개인 보호구 뿐 아니라 기타 차폐체를 적극 이용한다면 의료진의 방사선 보호용 앞치마의 납당량 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갑상선 세포검사 결과 suspicious Papillary thyroid carcinoma 가 나온 경우 BRAF V600E mutation 검사의 유용성

        유민아,김연민,안정현,안미섭,박원식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1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2 No.1

        목적 : 갑상선암은 악성종양 중에서 1%를 차지하고 있으며, 갑상선 암중에서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는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인체 암에서 BRAF와 CRAF 유전자 변이가 암을 유발함이 확인됨에 따라 이를 이용한 암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과거 어느 때보다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BRAF(V600E)가 갑상선유두암과 갑상선 유두암에서 유래한 미분화 암에서만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US-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FNA)결과 Suspicious PTC가 나온 경우 BRAF(V600E) mutation 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9년 1월부터 6월 까지 본원에서 FNA와 BRAF(V600E) mutation 검사를 시행한 970명 중 suspicious PTC가 나온 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술 후 제거된 specimen의 병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BRAF(V600E) mutation은 allele-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AS-PCR) 과 direct DNA 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 갑상선 결절의 크기는 0.5㎝ 에서 1㎝ 사이가 30건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0.5㎝ 미만의 것이 9건, 1㎝을 초과하는 것은 11건 이었다. 50건 중 37건에서 BRAF(V600E) mutation이 검출되었고, 13건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BRAF(V600E) mutation이 검출되었던 모든 결절은 수술결과 갑상선 유두암으로 확진 되었으며, 이 중 19건에서 lymph node 전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 BRAF(V600E) mutation은 크기 1㎝ 미만의 microscopic thyroid cancer에서도 발견되며, lymph node 전이, 국소 재발 등과 관련된 나쁜 예후 인자가 되며, Suspicious PTC 일 경우 Thyroid cancer를 판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외과적 수술 방법의 결정 및 내과적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