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유아기질에 따른 차이 검증

        심숙영 ( Shim Sook Young ),임선아 ( Lim Sun A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효능감 그리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관계를 규명할 뿐 아니라, 유아의 기질의 정도에 따라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2012) 데이터 중, 922명의 유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가 답한 조사 문항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상호작용은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으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으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상호작용을 통해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의 기질(사회성, 정서성, 활동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한 결과, 유아의 기질(사회성, 정서성, 활동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기질에 상관없이 교사효능감이 높은 경우 교사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높아지고 교사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높으면 유아의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ccording to child temperament.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922 samples` answer items which children`s mothers and their teachers responded on and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Second, teacher efficacy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but teacher efficac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mediating by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ly,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 efficac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peer interaction via teacher-child interaction regardless of the levels of child`s temperament(sociality, emotionality, and activity).

      • KCI등재

        애착유형에 따른 영유아의 정서지능 및 사회 지능 간의 구조분석

        심숙영 ( Young Sook Sh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애착유형을 안정애착과 불안정 애착으로 분류하여 정서지능과 사회지능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애착유형과 사회지능 간의 정서지능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안정애착을 보일수록 정서지능이 높았고, 이는 사회지능의 사회지식, 사회표현성, 사회유연성이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진 반면, 불안정애착을 보일수록 전서지능이 낮았도, 이는 사회지능의 사회지식, 사회표현성, 사회유연성이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지능이 안정애착과 사회지능, 불안정애착과 사회지능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정서지능은 사회지능과 직접적인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사회지능의 사회지식, 사회표현성, 사회유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애착유형, 정서지능과 사회지능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애착유형과 사회지능 간의 전서지능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llige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m. Two hundred and eighteen young children of 12-38 months in child care cent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young children of secure attachment were more likely to show bett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in turn promoted social intelligence. Whereas the young children of insecure attachment were more likely to less the emotional and social intelligence. Also the links between attachment and social intelligence were fully media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to parents foster social intelligence by promoting high levels of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숙영 ( Shim Sook Young ),임선아 ( Lim Sun A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조사 7차년도(2014년) 데이터 중 1,200명의 유아 담임교사가 응답한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모두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도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 모두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행복감이 높고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이러한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은 결과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높이게 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reschool teachers' happiness and self-efficacy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 also examined the mediating influe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these relationships. This study performed SEM analysis on 1,200 preschool teachers' survey responses from the 2014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elf-efficacy and happiness influenced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teacher-child interaction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ird, teachers' self-efficacy and happiness not only directly influenced teacher-child interactions but also influenc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influence of preschool teachers' happiness and self-efficacy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ediated by teacher-child interaction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부정적 훈육방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심숙영 ( Shim Sook Young ),미영 ( Shim Mi Yo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수효능감과 부정적 훈육방식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4명과 그들이 가르치는 유아 429명이 참여하였다. 전문성 인식, 교수효능감, 부정적 훈육방식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전문성 인식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에서 교수효능감과 부정적 훈육방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훈육방식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부정적 훈육방식이 낮을수록 유아의 문제행동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아졌고, 부정적 훈육방식은 낮아졌으며, 이는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로 이어졌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문성인식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through the sequential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and discipline style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29 children aged 2-5 years attending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224 teachers in charge. The teachers reported the questionnaires of their professional recognition, teaching efficacy and discipline styles and thei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first, higher professional recogni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teaching efficacy. Second, higher teaching efficacy was associated with fewer negative discipline styles. Third, fewer negative discipline styles was related to fewer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Finally, higher professional recogni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teaching efficacy, and higher teaching efficacy was related to fewer negative discipline styles, which in turn led to fewer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to enhance teaching efficacy, lessen negative discipline styles and protect against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 KCI등재

        사회적 지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애착유형과 영유아의 사회정서유능성 및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심숙영 ( Sook Young Sh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애착유형이 영유아의 사회정서행동(사회정서유능성,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 소재의 영아전담 어린이집에 다니는 12-43개월의 205명 영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유형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의 사회정서행동(사회정서유능성, 문제행동) 간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은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다시 애착유형을 매개로 영유아의 사회정서행동(사회정서유능성,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ttachment style and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behaviors(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205 mothers and children from 12 to 43 months in child care centers were participated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social support had influenced directl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had influenced directly on secure attachment style. Third, attachment style had direct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emotional behaviors(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Finally,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ttachment style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behaviors outcomes(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These results shows clearly the paths in which social support,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secure attachment style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as well as the relationship is connected to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behaviors(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심숙영 ( Shim Sook-y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관계, 그리고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고, 이러한 변인들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80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유아 522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수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교수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교사-유아 관계에, 그리고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관계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유아 관계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교사-유아 관계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수효능감이 전문성에서 기인된다는 근거를 제시해 주었고, 이는 교사-유아 관계로 직결되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있어 교사의 전문성과 교수효능감 증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Participants included 180 teachers and 522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Findings revealed: (a) the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 teaching efficacy,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b) the mediating role of teaching efficacy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c) the indirect associations among professional recognition,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d)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results suggest important implication about how to prepar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foster their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teaching efficacy for guidi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 KCI우수등재

        근무여건과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교육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심숙영(Sook Young Shim) 한국아동학회 1999 아동학회지 Vol.20 No.3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work conditio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personal fulfillment). Subjects were 144 early childhood educators. Teachers most likely to leave the profession were more educated, has less teaching experience and reported higher levels of burnout (i.e. high emotional exhaustion and lower personal fulfillment). Turnover was also predicted by high depersonalization, lower personal fulfillment, working overtime, and perceived choice of other job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were discussed.

      • KCI등재

        원격교육 직무연수의 프로그램 평가, 학업성취도, 유치원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배경변인의 관계 연구

        심숙영 ( Shim Sook Young ),유평준 ( Yoo Pyung Jun ) 한국아동권리학회 2005 아동과 권리 Vol.9 No.1

        본 연구는 원격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원격교육직무연수의 프로그램 평가, 학업성취도, 유치원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배경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격교육 직무연수프로그램이 유치원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프로그램 평가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관련 변인 및 배경요인이 무엇인지, 유치원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프로그램평가, 학업성취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지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원격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은 유치원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켰으며, 프로그램평가에 미치는 유치원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관련변인은 학습에 대한 정교화, 도움구하기, 학습신념의 통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으로 밝혀졌다.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교사의 배경변인으로는 유아교육경력, 프로그램평가에 미치는 배경변인으로는 학습시간, 유아교육경력, 원격교육 이수과목 수로 분석되었다. 한편,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연령, 유아교육경력, 컴퓨터 활용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프로그램 평가가 긍정적이었으며,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원격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학습효과를 신장시키고,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영전략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of program evaluation, learning achievement,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and learner profile of web-based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teachers. Learner-related factors, such as learner profile and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which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and program evaluation of web-based training programs implemented for kindergarten teachers were identified. Results showed that web-based training program improved self-regulating ability for kindergarten teachers. Also, the degree of elaboration about learning contents, seeking help positively, control of belief about learning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which explain the degree of program evaluat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 key factor for learning achievement. Interestingly, teaching experiences predicted related factors of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Time to occupied for learning, experien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number of web-based training courses taken predicted the degree of program evaluation. Finally, age, teaching experience and computer skills were found to b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for learning achievement. Based on the findings, strategies fo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web-based training program for kindergarten teachers are needed to improve kindergarten's teachers' preparation.

      • KCI등재

        유아용 공감 척도(EQ-YC) 타당화 예비연구

        고희갑 ( Hee Gab Go ),심숙영 ( Sook Young Shim ),임선아 ( Sun Ah L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Auyeung 등(2009)이 유치원부터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한 아동용 공감 척도인 EQ-C를 우리나라 만 3세∼5세 유아의 공감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번역 및 수정한 검사도구인 유아용 공감 척도(EQ-YC)를 타당화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만 3세∼5세 유아들로, 유아들의 어머니 304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공감 능력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Q-C 척도 27문항에 대해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적 공감’, ‘사회적 반응’, ‘인지적 공감’ 등 3개 요인, 15 문항이 추출되었고,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81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둘째, 공감의 하위 세 요인 모두에서 여아가 남아에 비해 공감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이 높을수록 ‘인지적 공감’을 제외한 ‘정서적 공감’과 ‘사회적 반응’ 그리고 공감 전체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는 유아 공감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EQ-C 척도를 번안 및 수정한 유아용 EQ(Young Children``s 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 EQ-YC) 척도를 검증함으로써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를 국내 유아에게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This Research wa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EQ-C(Children``s 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 - which was invented by Auyeung and other scholars in 2009 for kindergarten or school aged children - as a practical tools evaluating the empathy ability of children aged 3∼5 year old in Korea.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aged 3 ∼5 year-old children being at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Province and there 304 children’s mothers was survey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bout 27 questions of EQ-C measure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3 factors - emotional empathy, social reactivity and cognitive empathy - and 15 questions were extracted and the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of total questions was satisfactory by .84 points. Secondly, girls get higher scores of empathy ability than boys in 3 lower factor of empathy. Thirdly, the older they are, the higher scores they make in ‘emotional empathy’ and ‘social reactivity’ and all other empathy ability except ‘cognitive empathy’.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it provided basic data related domestic application of tools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by verifying EQ-YC(Young Children’s versions of the empathy quotient) which is the Korean version of EQ-C(Children’s versions of the empathy quotient) under circumstance of lacking of tools evaluating young children’s empathy ability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