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남성에서 Hypertriglyceridemic Waist와 대동맥 맥파 속도와의 관련성

        이자형(Ja Hyung Lee),전혜진(Hyejin Chun),심경원(Kyung Won Shim),이홍수(Hong Soo Lee),이상화(Sang Hwa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2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3 No.2

        연구배경: 현대 사회에서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주요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와 관련된 대사증후군, Framingham 위험 점수와 같은 지표들이 연구 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Hypertriglyceridemic Waist (HTGW)라는 새로운 지표와 심혈관 질환 위험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남성에서 HTGW와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반영하는 맥파 속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20세 이상의 성인 남성 중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만성 신질환 및 간질환의 병력이 없는 1,354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HTGW는 중성지방 177mg/dL 이상이고 허리둘레 90 cm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대동맥 맥파 속도에 따라 4개 군으로 나누어 맥파 속도가 가장 높은 제4사분위에 대한 HTGW와 대사증후군의 상대 위험도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하여 구하였다. 결과: HTGW 또는 대사증후군을 만족하는 경우에 높은 맥파 속도에 속할 위험도가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HTGW를 충족하는 경우 높은 맥파 속도에 포함될 상대 위험도는 1.51 (95% 신뢰구간, 1.02∼2.26), 대사증후군을 충족하는 경우 높은 맥파 속도에 포함될 상대 위험도는 1.35 (95% 신뢰구간, 1.04∼1.75)로 나타났다. 즉, 대사증후군과 비교하여 HTGW에서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반영하는 높은 맥파 속도를 보일 상대 위험도가 더 높았다. 결론: HTGW는 대동맥 맥파 속도의 증가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을 예측하는 간단하고 편리한 지표로써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s a leading cause of deat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metabolic syndrome and Framingham risk score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Recently, some studies about association of hypertriglyceridemic waist (increased waist circumference as well as high fasting triglyceride level) with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re announced. The pulse wave velocity is used as an indicator of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triglyceridemic waist and pulse wave velocity in Korean men.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1,354 subjects above the age of 20 who attended for routine medical examination at health center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ose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or other systemic disease were excluded. Hypertriglyceridemic waist was defined as waist circumference ≥ 90 cm and triglyceride ≥ 177 mg/dL. Subjects were stratified on quartile of pulse wave velocity. Relative risk of hypertriglyceridemic waist and metabolic syndrome for the highest quartile reflecting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as assess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ose with hypertriglyceridemic waist or metabolic syndrome had increased odds ratio for the highest pulse wave velocity quartile. Hypertriglyceridemic waist was associated with 1.5-fold (95% confidence interval, 1.02 to 2.26) increased risk and metabolic syndrome was associated with 1.35-fold (95% confidence interval, 1.04 to 1.75) increased risk. Hypertriglyceridemic waist had higher relative risk for the highest than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Hypertriglyceridemic wais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ortic pulse wave velocity and may be the simple predictor of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practice.

      • KCI우수등재

        원저 : 혈청 ferritin 농도와 복부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

        조영신 ( Young Shin Cho ),강지현 ( Jee Hyun Kang ),김수아 ( Soo A Kim ),심경원 ( Kyung Won Shim ),이홍수 ( Hong Soo Lee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2

        배경: 철 저장능을 반영하는 혈청 ferritin은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과 혈청 ferritin 농도와의 연관성에 대한 논문은 거의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혈청 ferritin과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건강한 성인 남성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체중, 허리둘레, 혈청지질, 공복혈당, 인슐린농도,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이하 hs CRP)를 측정하였고, 혈청 ferritin은 방사면역법으로 정량분석하였다. 혈청 ferritin과 다른 변수와의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연령, 허리둘레, 체지방률, Log-CRP, 인슐린 저항성, 중성지방이 ferritin을 독립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인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60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혈청 ferritin은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인 HOMA score와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체중, 체지방률, Log CRP, 중성지방, 공복혈당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단계별 다중 회귀 분석 결과 허리둘레, HOMA score가 독립적으로 혈청 ferritin 농도의 변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혈청 ferritin은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인슐린 저항성 및 복부 비만과 독립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 Background: Serum ferritin indicating iron stores is a putative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few domestic study has been reported on the association of serum ferritin and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is association. Method: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160 healthy men who visited the hospital health examination center. The body fat mass(%), body mass index, weight, waist circumference, blood Lipid Level, fasting glucose, insulin, hsCRP and serum ferritin were measur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g ferritin and various obesity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Log ferritin and age, wait circumference, body fat mass (%), Log-CRP, triglyceride and HOMA score. Results: Log ferriti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sulin resistance (HOMA score), weight, body fat mass (%),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fasting glucose, insulin, triglyceride, and log CRP.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ist circumference and HOMA score are shown to independently contribute to Log ferritin Conclusions: Ferritin i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HOMA score) and waist circumference independently. Complementary study for women remains as a future study.

      • KCI등재

        소화성 궤양 환자의 Helicobacter pylori 제균 요법에서 Probiotics의 역할

        전혜진(Hyejin Chun),이상화(Sang Wha Lee),이홍수(Hong Soo Lee),심경원(Kyung Won Sh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2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3 No.2

        Background: Recent studies indicate a potential role of probiotics in the improvement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 eradication rate and in the prevention of H. pylori treatment-related side effects. We examined the effect of probiotics composed of Bacillus subtilis and Streptococcus faecium on the H. pylori eradication. Methods: A total 217 H. pylori positiv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115 patients (group A) underwent the “triple therapy” (omeprazole 20 mg, amoxicillin 1 g and clarithromycin 500 mg b.i.d. for 7 days), while 102 patients (group B) underwent a modified eradication therapy (“triple therapy”+probiotics 1 capsule b.i.d. for 7 days). The eradication rate of H. pylori was evaluated after 4 weeks of completion of the treatment. Side effect profile, compliance and tolerability were assessed by a validated symptom questionnaire. Results: Intention-to-treatment analysis showed 71.3% (82/115) patients from the group A and 79.4% (81/102) patients from the group B have been successfully eradicated (P=0.04). H. pylori eradication rate according to per-protocol analysis, although higher in the group B, was statistically similar: 80.6% (79/99) versus 88.9% (80/90), respectively (P=0.11). Nausea, bloating and diarrhea were more commonly found in the group A than group B (P<0.01). The other side effect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In the overall judgement of compliance and tolerabi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Supplementation with probiotics could improve the eradication of H. pylori infection and decrease H. pylori eradication-associated nausea, bloating and diarrhea. 연구배경: Bacillus subtilis와 Streptococcus faecium 균주로 구성된 probiotics을 H. pylori (H. pylori) 제균 치료에 추가했을 때 제균율 향상 및 부작용, 환자 순응도, 치료 내성의 개선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상부위장관 내시경에서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소화성 궤양 환자들을 omeprazole 20 mg, amoxicillin 1 g, clarithromycin 500 mg을 하루 2회 일주일간 복용하는 군(A군)과 삼제요법에 probiotics 1 capsule을 하루 2회 일주일간 함께 복용하는 군(B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치료 후 H. pylori 제균율 및 부작용, 환자 순응도, 치료 내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217명 환자의 H. pylori 제균율(Intention-to-treatment)은 75.1%(A군 71.3%, B군 79.4%)로 probiotics을 투여한 군에서 제균율이 더 높았다(P=0.04). 연구를 완료한 198명 중 비순응 환자 9명을 제외한 189명의 H. pylori 제균율(Per-protocol)은 84.6%였으나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1). 오심, 고창, 설사 등 부작용이 B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기존의 H. pylori 제균에 보조요법으로서 probiotics의 처방은 기존의 삼제요법보다 H. pylori 제균율상승 및 오심, 고창, 설사 등 부작용 감소에 효과가 있다.

      • KCI등재

        무증상 성인 남자에서 Aortic Augmentation Index와 Framingham Risk Score의 관계

        이명진(Myoung Jin Lee),이상화(Sang Hwa Lee),이홍수(Hong Soo Lee),심경원(Kyung Won Shim),김수아(Sooa Kim),오영아(Young A Oh),우의정(Ui Jeong Wo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9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0 No.4

        연구배경: 동맥 경직도의 증가는 초기 혈관 손상과 이와 관련한 심혈관질환의 발생 및 사망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임이 밝혀지고 있다. 대동맥의 aortic augmentation index (AIx)는 대동맥 경직도 및 맥파 반사와 관련된 혈역학적인 지표로 맥압파형분석(pulse wave analysis; PWA)를 이용해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인 심혈관 질환이 없는 성인 남자에서 대동맥의 AIx와 향후 10년간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도(Framingham Risk Score; FRS)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본 단면연구는 24∼74세의 임상적인 심혈관계 질환이 없는 성인 남자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동맥 경직도 및 맥파 반사의 평가 지표로는 SphygmoCorⓇ를 이용하여 대동맥 AIx, HR 75 bpm을 기준으로 보정한 AIx (AIx@75), 말초에서 반사된 맥파의 귀환에 걸리는 시간(Tr)을 측정하였다. 향후 10년간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에 대한 평가는 FRS로 하였다. 결과: 단순 선형회귀분석에서 모든 대동맥 경직도 및 맥파 반사의 지표는 FRS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군을 FRS 기준에 따라 저위험군(FRS<10%), 중간 위험군(10%≤FRS≤20%), 고위험군(FRS>20%)으로 분류하였을 때 위험군간에 AIx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중비교 결과 저위험군과 중간 위험군 및 저위험군과 고위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간이상 위험군을 판별해내는 진단기준으로서 AIx의 area under the curve (AUC)는 0.685±0.054 (P=0.003)이었고, 최적의 cut-off 수치는 AIx 12.5% (민감도 75.8%, 특이도 55.7%)였다. 결론: 이번 연구 결과는 AIx를 무증상 성인 남자에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층화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Background: Increased arterial stiffness has been shown to be an independent predictor of early vascular damage and related adverse cardiovascular outcome. The aortic augmentation index (AIx) is a parameter measured noninvasively by using applanation tonometry of radial artery with a validated transfer function to generate the corresponding ascending aortic pressure waveform and is used as a surrogate measure of arterial stiffness and wave refle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ugmentation index and Framingham risk score in asymptomatic individuals. Methods: We performed a cross-sectional study on 103 Korean men aged 24 to 74 years, who were free from clinical cardiovascular disease. Noninvasive measures of large artery stiffness and wave reflection were aortic augmentation index (AIx), aortic augmentation index adjusted for heart rate (AIx@75) and reflection time (Tr). The Framingham risk score (FRS) was obtained. Results: In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ll indices (AIx, AIx@75 and T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FRS (P<0.001). AIx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risk categories (<10%, 10∼20%, >20%) by the FRS.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demonstrated that an AIx of 12.5% is useful for risk stratificatio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Ix may be a useful marker of cardiovascular risk in asymptomatic individuals.

      • KCI등재

        한국 성인 남성에서 골밀도와 맥파 전파 속도와의 관련성

        김선영(Sunyoung Kim),전혜진(Hyejin Chun),이상화(Sang Wha Lee),이홍수(Hong-Soo Lee),심경원(Kyung-Won Sh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1

        연구배경: 골다공증과 동맥 경화증은 모두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 예측 인자이며 최근 노령인구 급증으로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두 질환 사이 관련성에 대한 여러 연구결과들이 보고되면서 이 두 질환이 독립된 질환이 아니라 생리적 연관성이 있으며, 동일한 병태 생리를 가진 질병으로 생각해야 한다는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건강인을 대상으로 이 두 가지 질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의 지표가 되는 골밀도 검사와 동맥경화의 지표인 맥파 속도간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건강증진센터에 방문한 성인 남성 603명을 대상으로 단면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가 기입식 문진표, 신체 계측, 혈청 검사가 및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대동맥 맥파 속도 검사를 시행하여 동맥 경직도를 구하였다. 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 603명으로 평균 연령 44.91세, 체질량 지수 24.6 (kg/㎡), 맥파 속도 평균값은 9.95(m/s)이었다. 골밀도는 요추 1.17 (g/㎠), 대퇴 경부 0.97 (g/㎠), 총 대퇴부 1.03 (g/㎠)였다. 대동맥 맥파 속도는 총 대퇴부 골밀도가 보다 높은 4 분위수에 해당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23), 나이, 체질량 지수(BMI),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 혈당과 양의 상관관계를, 체지방, 총 대퇴부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나이, 이완기 혈압, 체지방, 혈당 및 총 대퇴부 골밀도가 독립변인으로서 유의하게 대동맥 맥파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건강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총 대퇴부 골밀도는 동맥 경직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Background: Osteoporosis and atherosclerosis are common diseases, with a high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Despite numerous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establish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osteoporosis and atherosclerosis,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s underlying the two diseases are unknown.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arterial stiffness in healthy men. Methods: We evaluated arterial stiffness and BMD of 603 healthy men. Aortic pulse wave velocity (PWV) was measured as indices of elastic-type aortic stiffness. Results: The mean age was 44.91 years and mean body mass index was 24.6 (kg/㎡), mean aortic PWV was 9.95 (m/s). The aortic PWV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otal femur BMD. The aortic PWV was observ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BMI,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pulse rate, glucose, fat mass and total femur BM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ortic PWV.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the total femur BMD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aortic PWV (β=−6.303, P=0.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ortic PWV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ults with lower total femur BMD.

      • KCI우수등재

        한국 비만 여성의 신체 계측에 의한 체지방 추정

        심경원,김지연,서희선,이홍수,이상화,강지현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2

        연구배경 : 국내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비용이 적게 들고 단순하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체지방률을 추정할 수 있는 체지방률 추정식을 작성함으로써 쉽게 체지방률과 조절해야하는 지방의 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방법 : 이대목동병원 비만클리닉을 처음으로 내원한 19세 이상의 성인 여자 607명 중 체질량지수가 25 kg/㎡ 이상인 5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목, 가슴, 허리, 엉덩이, 대퇴, 하퇴, 발목, 상완, 전완, 손목의 10부위의 둘레와 생체전기저항분석법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방식의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체지방률 추정식을 구하기 위해 BIA에 의한 체지방률을 종속변수로 하고 , 신체 둘레 계측기 및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연령을 독립변수로 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 신장과 체중, 연령, 체질량지수 및 신체 둘레 측정치 중 체지방률을 반영하는 지표는 체질량 지수, 전완둘레, 신장, 엉덩이 둘레, 하퇴둘레였고, 이 다섯가지 지표를 이용한 체지방률 추정식은 66.1%의 예측력과 2.86%의 측정 오차를 나타냈다 (R^2=0.661, SEE=2.86). 결론 : 비만한 성인 여성에서 신장과 체중, 연령 및 신체 둘레 계측치를 이용한 본 연구의 추정식은 체지방률(%)을 적은 오차범위로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egression equation that accurately estimates body fat percentage using relatively easy and inexpensive method in adult obese Korean women. Method : Data were collected among 500 obese Korean women visiting obesity clinic in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Seoul, Korea. Height, weight, and circumferences at ten body sites (neck, chest, waist, hip, thigh, calf, ankle, arm, forearm, wrist) were measured s well as total body bioelectrical impedance. Results : The full regression equation estimates body fat percentage included six variables : BMI, forearm circumference, height, hip circumference, thigh circumference. This equation accounted for 66.1% of the variance in body weight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d their standard error of estimate was 2.86%. Conclusion : For the obese Korean women in this study, circumference measurements provided a s relatively good estimation of body fat percentage.

      • KCI우수등재

        단순 비만 지표로서의 목둘레의 분별점

        강지현,유병연,서희선,심경원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2

        연구배경 : 목둘레는 인슐린저항성과 관련된 여러 질환과 연관되어 있으며 인슐린저항성의 위험이 증가되어 있는 환자들에서 목둘레가 임상적인 선별검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리라고 제시되어진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둘레와 비만 관련 지표 및 인슐린저항성의 지표로서의 HOMA score 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비만 환자를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목둘레 분별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양대학병원 종합검진센터에 내원하여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남녀 대상자 364명 (남자 199명, 여자 165명) 중 249명 (남자 136명, 여자 113명) 실험군(test group)로 하여 receiver output curve (ROC) 분석을 통해 체질량지수 25 kg/㎡에 대한 최적의 (optimal)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지는 목둘레 분별점을 구하였으며, 나머지 115명 (남자 63명, 여자 52명)을 유효군 (validation group)으로 하여 실험군에서 얻어진 목둘레 분별점을 적용하여 그 유효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묵둘레와 비만 관련 지표 및 인슐린저항성의 지표로서의 HOMA score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목둘레는 남녀 대상군 모두에서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엉덩이허리둘레비,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공복시 혈중 인슐린, HOMA score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실험군에서 비만 환자를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목둘레의 분별점은 남자에서는 36.6 cm 여자에서는 32.3 cm 였다. 이때의 민감도는 남자 81.92%, 여자 91.5%, 특이도는 남자 77.4%, 여자 69.7%, 정확도는 남자 80.2%, 여자 85%였다. 또한 실험군에서 얻어진 목둘레의 분별점을 유효군에 적용한 결과 남자에서는 민감도 91.9%, 특이도 53.9%, 정확도 76.1%로 나타났으며 여자에서는 민감도 81.25%, 특이도 85%, 정확도 82.69%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측정이 간편한 단순 비만 지표로서의 목둘레와 흔히 사용되는 비만 관련 지표 및 인슐린저항성과의 관련성을 밝혔으며 비만환자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남자 36.6 cm, 여자 32.3 cm라는 목둘레의 분별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보다 일반화할 수 있는 보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Neck circumference has been reported to be related to the other anthropometric measures of obesity and also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disorders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The measurement of neck circumference could be useful in clinical screening for persons at an enhanced risk for insulin resist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 single measure of neck circumference might be correlated with other obesity indices and HOMA score and to define neck circumference cutoff levels for obesity. Methods : We examined 364 consecutive persons (199 men and 165 women), who visited konyang university hospital health examination center during August, 2002. To find the optimal, maxim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neck circumference, the receiver output curve (ROC) analysis of cutoff points against BMI (25 kg/㎡) was performed using the test group (136 men and 113 women). We validated the cutoff level using validation group (63 men and 52 women). Other obesity indices and fasting glucose and insulin were measur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neck circumference. Results : Neck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waist hip ratio, BMI, total body fat percent, fasting insulin and HOMA score. Neck circumference 36.6 cm for men and 32.3 cm for women was the best cutoff levels for determining the subjects with BMI over 25 kg/㎡. In the validation unrelated group, the test characteristics were acceptable with 91.9% sensitivity, 53.9% specificity, and 76.1% accuracy for men, and 81.25% sensitivity, 85% specificity, and 82.69% accuracy for women. Conclusion : Neck circumference as a simple and easy screening method for obesity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other conventional obesity indices and HOMA score as a index of insulin resistance and we defined neck circumference cutoff level for obesity according existing BMI cutoff levels.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액취증 환자에서 표준 진료지침서의 개발과 적용

        김양우,김흥규,심경원 한국의료QA학회 2002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9 No.1

        The current health care system demands provisions for patient care in perspectives of a cost-effectiveness and patient satisfaction. Critical pathway implementation facilitates optimal sequencing and intervention timing of patient care, and makes medical team and patients participate in a treatment actively. In this study, a critical pathway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patients with osmidrosis who undertake operation. Sixty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critical pathway was implemented for care of 26 patients while the traditional care was implemented for 34 patients. In the critical pathway implemented group, time needed for charting and unessential working was reduced. Mean time amount of time for patient nursing was increased. The critical pathway implementation is an effective method to utilize time of medical team. Also it increases the satisfaction index of patients and medical team simultaneousl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