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지리학적 행복 연구 - 행복과 공간적 역량에 관한 북유럽 사례 질적연구 -

        신혜란(HaeRan Shin),진예린(Yerin Jin)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행복과 복지의 모범적 사례로 거론되는 북유럽 대도시 사람들의 행복에 관한 질적 분석이다. 근래 들어 지리학에서 행복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행복을 정해진 상태가 아니라 구체적 맥락과 개인의 상호작용의 과정을 보는 질적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요구에 답하여 노르웨이 오슬로와 덴마크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20-30대 청년층과 60대 이상 노년층 피면담자들의 심층 구술 면담을 통해 행복한 경험과 불행한 경험, 문제상황에서의 대응 방식, 인생 경험을 통한 행복 전략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이론적 틀로서는 삶에서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뜻하는 인간 역량을 행복의 중심으로 보는 역량 이론(capability theory)을 거주, 이동의 자유에 관한 개념으로 발전시킨 공간적 역량(spatial capability) 개념이 사용되었다.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유럽 피면담자들은 행복을 정의하는 것에 선택의 자유와 만족감을 주요어로 얘기했고, 특히 보람을 느끼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에 큰 책임감과 의의를 두었다. 둘째, 거주, 이주의 자유에 관한 삶의 경험에서, 피면담자들은 수도 대도시에 사는 것에 만족했지만 높은 집값에 따른 부담으로 제한된 공간적 역량에 대해 거주공간 전략을 발전시켰다. 셋째, 피면담자들은 자신이 대면한 불평등에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는 편이었고 사회구조적 원인을 추적하기도 했다. 넷째, 심층면담에서 공통적으로 활발한 동호회 활동, 친한 지인과의 사교 관계는 대부분의 피면담자들에게 무척이나 중요한 삶의 요소였다. 본 연구는 삶의 경로에서 나타나는 행복의 구성 과정을 제시하여 인간과 환경의 상호 관계를 보는 지리학에서 행복 논의의 장점과 필요성을 제안하고 행복과 연관된 정책결정에서 공간적 고려를 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happiness of people living in big cities in Northern Europe, which are regarded as models of happiness and welfare. In the field of geography, calls for research into happiness have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is research responds to those calls, using qualitative and processual approaches to view specific contexts of happiness in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life experiences and individuals’ strategi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is constructed around ‘human capability,’ the freedom to choose a different kind or another way of life, and ‘spatial capability,’ the capability in the areas of residency and mobility. Based 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younger adults in their 20s as well as adults in their 30s and older living in Copenhagen, Denmark, and Oslo, Nor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ir definition of happiness,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equated satisfaction with the freedom of choice, putting an emphasis on choosing a rewarding job. Second, in discussions of their experiences of freedom of residence and mobilities, most interviewees expressed contentment with living in the capital city but admitted to having had to develop a residential space strategy for limited spatial capabilities due to high housing prices. Third, those interviewees tended to actively raise questions about the inequality they faced that they attributed to social structural causes. Fourth, interviewees cited involvement in associations and social activities with friends as playing an important part in their happiness. This study outlines the merits of discussing happiness in geography and suggests the consideration of happiness in policy related to spatial decisions.

      • KCI등재

        제주 지역성 연구-별도공간 개념의 적용

        신혜란(Shin, HaeRan),권민지(Gwon, Minji)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2

        이 연구는 제주의 지역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에 기여하기 위해 지정학적 위치, 본토 국가와의 관계, 문화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제주지역을 정의한다. 기존 논의가 국가와의 관계를 소홀히 하고 육지에 있는 접경지역과 차이점을 간과한 것을 비판하며 본 연구는 관계적 관점에서 제주를 ‘별도공간(annexational space)’으로 개념화한다. 별도공간은 본토와 가깝지만 따로 위치하고, 본토에 귀속되어 있지만 독립적인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는 지역을 뜻하다. 별도공간으로서 제주의 지역성은 다른 스케일에서 다음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제주의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지정학적 질서 속에서 미국, 일본의 군사기지 장소로 이용되는 한편, 송금의 제도화와 세계화 흐름에서 국제자유도시 발전의 기회를 가졌다. 둘째, 본토와 국가는 국가수립, 경제성장, 이데올로기 통제를 위해 제주를 활용하고 도시개발 실험을 이행하여 제주는 도시개발의 혜택과 부작용을 가졌다. 셋째, 제주는 본토에서 가지기 힘든 대안적인 삶과 문화예술 활동을 위해 이주한 문화이주자들의 정착지로 발전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제주의 지방정부와 도민들이 제주의 지역성에 대한 대응도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Jeju"s locality focusing on the geopolitical loca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ainland, and cultural capacity. Criticizing the previous debates for neglec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state or overlooking the differences with border areas on land, this study conceptualizes Jeju as an ‘annexational space’ based on a relational approach. The annexational space refers to a place that is close to the mainland but located separately so, though belonging to the mainland, it has an independent history and culture. Jeju as an annexational space has the following three regional characteristics. First, in the geopolitical order encompassing South Korea, Jeju has been the site of military bases for the United States and Japanese armies, but since has become an international free city that engages in institutionalizing remittances and globalization. Second, the mainland and the state have used Jeju as a test ground for urban development along with state-building, economic growth, and ideological control. Third, Jeju has developed into a settlement for migrants who seek an alternative life and cultural and art activities that are hard for them to have on the mainland. The study implies that the responses that the local government and citizens have had to the Jeju’s locality also constitute the identity of Jeju.

      • KCI우수등재

        동화-초국적주의 지정학: 런던 한인타운 내 한국인과의 교류 속 탈북민의 일상과 담론에서 나타난 재영토화

        신혜란(HaeRan Shin)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 영토를 떠난 이주민들의 일상, 단체 활동, 담론 속에서 국가 탈영토화, 재영토화 과정을 보는 것이다. 이론적 틀로 제시된 ‘동화-초국적주의 지정학’ 개념은 비판지정학 관점에 이주민 연구 접근이 결합된 것이다. 본 논문은 그 개념에 기반하여, 한인타운 내 탈북민이 한국인 이주민들에게 동화되거나 자기 정체성을 발전시키는 속에 출신 국가의 경계가 재협상되고 재영토화가 일어나는 것을 분석한다. 사례지역은 제 3의 장소인 영국 런던 교외지역인 뉴몰든(New Malden) 한인타운이다. 이 곳에서 민족, 언어가 같으면서 지정학적 긴장관계를 가진 출신국의 탈북민과 한국인 이주민들이 공생하는 가운데, 탈북민들의 동화와 초국적주의가 뒤엉켜 공존하고 상호발전하였다. 참여관찰, 심층면담 연구방법을 이용한 현장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민들이 고용관계와 단체활동을 통해 한국인에게 동화되면서 그들 출신국인 북한은 축소되고 권력이 약화되는 북한의 재영토화가 일어났다. 뉴몰든의 탈북민들은 생활방식에서 과거 한국체류 경험, 한국인의 앞선 이주, 한국인과의 사회경제적 격차와 고용-피고용 관계에 기반하여 영국인에게 동화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에게 동화, 흡수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한국 이주민 단체는 탈북민들의 노동력, 높은 행사 참여율에 의지하게 되면서 통합 멤버십을 만들었다. 그 과정에서 포용, 갈등, 실용적 협력의 다양한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 시간이 지나 탈북민들의 초국적주의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다소 새로운 버전의 북한이 강화, 발전하는 재영토화가 진행되었다. 동화에 대한 저항, 탈영토화의 형태로 북한인의 초국적주의가 나타나고 이를 둘러싼 통합, 독립의 담론과 갈등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북한인의 초국적주의는 한편으로 영국-한국-북한의 경계가 섞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북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동과 정착, 밀집지역 만들기와 같은 공간전략 속에 나타난 탈북민들의 동화와 초국적주의는 서로 경쟁, 보완하며 정체성 재협상이 이루어지게 하며 그 과정에서 국가 탈영토화, 재영토화가 이루어진다. This paper looks at how different migrant group’s interactions in their daily lives constitute the territoriality of states. The research puts perspectives of critical geopolitics and migrant studies into conversation to suggest the geopolitics of assimilation and transnationalism as the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is research looks at North Korean refugees’ assimilation and transnationalism developed in encounters and interactions with South Korean migrants.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y are, first, that North Korean refugees have assimilated to South Korean through their living experiences in South Korea, their employments in South Korean ethnic businesses, and the benchmarking and increasing partnership with South Korean organisations. Second, as time went on, North Koreans’ transnationalism was developed. By establishing a Korean language school for North Korean second generation, they attempted to maintain and develop new North Koreanness. It caused conflicting discourses on how North Koreans should be identified among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North Koreans also often went through renegotiating their identities in responding to outside interests in North Korea as a mysterious, miserable, and threatening country.

      • KCI등재

        대항품행 그리고 성미산 스타일

        김동완(Gimm, Dong-Wan),신혜란(Shin, HaeRan)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11

        이 연구는 발전주의 도시화에 대항하는 성미산 마을의 발전 과정을 푸코의 품행과 대항품행의 개념틀로 바라본다. 논의의 초점은 1980년대 중반부터 2011년까지 한국의 도시화 과정에서 대항품행의 장소로 형성된 서울 마포구 소재 성미산 마을이다. 우리는 이 마을에서 한국 발전주의(developmentalism)의 주체성, 특히 도시적 삶의 품행이 어떻게 거부당했는지를 품행 대 대항품행이라는 견지에서 살펴본다. 이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동육아로 시작한 성미산 마을은 방과 후 학교, 슬로푸드, 공동주택 등 도시 내에서 한국도시가 그 운영원리로 내재화한 발전 원리, 즉 발전주의적 품행에 지속적으로 질문을 제기했다. 여성노동 인구 통치에 대한 예속화된 반응으로 공동육아가 시작되었지만, 한국 발전주의 도시화의 상식을 성찰하게 하는 저항으로서 발전했다. 보육, 교육, 주거, 환경, 산업의 다양한 장에서 펼쳐진 권력관계만큼 저항이 일어나 뻗어 나가는 방향도 다중적이다. 질문하고 거부하고 다르게 통치 받을 권리는 권력의 그물망만큼이나 복잡한 대항의 품행들을 만들어 낸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지배에 내재된 저항이라는 관계론적 권력론의 명제와 함께, 지배와 동원이 저항으로 뒤바뀌는 변주의 과정을 확인하고, 대항품행의 끌개가 되는 특정한 장소적 특성을 제안한다. This paper looks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Sungmisan Maul [village] as resistance to the developmentalist urbanisation that has taken place in South Korea. Through the framework of conduct and counter-conduct suggested by Foucault, it investigates the formation of Sungmisan Maul during the period spanning the 1980s through 2011 in pursuit of alternative lifestyles and values. We look at how the subjectivity of Korean developmentalism, especially urban life, became very much individual competition-oriented as conduct was questioned and resi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ungmisan Maul started as collective childcare activities based on community value. It expanded into comprehensive resistance, including resistance against construction of an apartment that would remove a forest, to reconsider common senses of Korean developmentalism urbanisation. As counter-conduct against Korean urbanisation, Sungmisan Maul suggested alternative types of childcare, education, residence, environment, and industry. Both conduct and counter-conduct are exercised in the complex net form. This research serves as a reminder that the notion of relational power resistance is part of governing power, not external to it. It also suggests that characteristics of a particular place emerge as attractors of counter-conduct.

      • KCI우수등재

        도시 비공식성과 공식성의 상호구성

        채상원(Sangwon Chae),신혜란(HaeRan Shin)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3

        본 연구는 심화되는 세계화에 대응하는 공공부문 행위자들의 공간전략으로서 도시 비공식성(Urban informality)과 공식성의 상호작용이 확대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김포시 개별입지공장이 사례로 활용되었으며, 개별입지공장의 형성과정에 관여하고 있는 행위자 19명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도시 비공식성은 공공부문의 공식화 과정에 의해 구성되며, 이는 비공식적 도시 경관으로 드러난다. 김포의 사례에서 비공식적 도시 경관은 개별입지공장과 그 공장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다. 각각은 산업단지가 갖는 규범성에 의해, 고용허가제라는 법적 기준에 의해 비공식화되었다. 둘째, 도시 비공식성은 공공부문 행위자들의 공간전략이다. 김포의 사례에서 공공부문 행위자들(중앙정부, 김포시 정부, 이장)은 세계화의 압박에 대응하고자 공간전략을 취했으며, 이로 인해 확대된 개별입지공장을 묵인했다. 특히, 이장은 반(半) 공공/반(半) 민간의 성격을 활용하여 개별입지공장의 확대를 주도하는 공공부문 행위자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공식성과 비공식성이 상호구성적 요소임을 밝힌 점, 공공부문 행위자는 비공식성을 규제할 뿐만 아니라 공간전략으로 활용하기도 한다는 것을 밝힌 점에서 정치지리, 도시지리 등 관련 분야에 기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ans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urban formality and urban informality as public actors’ spatial strategies. The research subjects are informal factories located in Gimpo, and public actors involved in developing process of those factorie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arguments. First, the landscapes of urban informality arise as counterparts to the formalizing processes of public actors. In contrast to the formality of industrial park management and work permit system, informal factories and migrant workers make up Gimpo’s informal landscape. Second, public actors utilize urban informality as spatial strategies in response to global competition. In particular, village leaders(eejangs) as semi-public officials play a leading role in the expansion of informal factories. By offering interesting insights into urban informality and development of informal factori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of political and urban geography.

      • KCI등재

        탄소규제 전략으로서 녹색도시주의

        최병두(Choi, Byung-Doo),신혜란(Shin, HaeRa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The economic depression in the neoliberal process of glocalization on the one hand and energy drainage and climate change deepened on the global scale on the other have led strategy for carbon control both on the national and the local levels. This strategy presupposes decoupling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With this kind of problem in place, this paper tries to see the recent pursuit of strategy of carbon control on the urban level in terms of ‘green urbanism’. The term green urbanism, as it has been suggested by some scholars, means more or less normatively a renewable, carbon-neutral, and eco-efficient city. But this concept seems to presuppose a transformation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to low-carbon green growth as we can see the development process of environmental policies in Western countries. The concept of green urbanism (as well as that of green state) that has emerged in this transformation process can be seen as a strategy with two motives: 1) to contribute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neoliberal environmental fix and 2) to construct a new regime through carbon control governance. In recent Korea, this kind of strategy for carbon control has been introduced in a similar manner. But the strategy for low carbon green growth and low-carbon green city(or urbanism) in Korea seems neithe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rban scale for the strategy to work nor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ntext on the structural level. Hence, not only did Lee Myung-Bak’s central government mobilize this strategy in a highly distorted manner, but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also could not see the necessity for pursuing the strategy voluntarily. 한편으로 신자유주의적 지구-지방화 과정에 동반된 경제침체와 다른 한편으로 지구적 차원에서 심화된 에너지 고갈과 기후변화는 국가 및 도시 차원에서 경제성장과 환경퇴락의 탈동조화를 전제로 한 탄소규제 전략을 요청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특히 도시적 차원에서 탄소규제 전략의 추진을 녹색도시주의의 개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녹색도시주의라는 용어를 제안한 학자들에게 이는 다소간 순수한 의미에서 재생가능하고 탄소중립적이며 생태효율적인 도시를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서구 국가들의 환경정책의 전환과정을 살펴보면, 이 개념은 기존의 지속가능발전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으로의 부정적 전환을 전제로 한다. 이 과정에서 등장한 녹색국가 및 녹색도시(주의)는 한편으로 신자유주의적 환경조정을 통한 자본축적에 기여하는 한편 탄소규제 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한 새로운 통치 레짐을 모색하기 위한 전략으로 이해된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탄소규제 전략이 2008년 도입되었으며, 도시 정책에도 반영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저탄소 녹색성장 또는 이를 반영한 저탄소 녹색도시(주의)는 개념적으로 도시 차원에서 시행할 필요성과 그 구조적 배경으로 사회-환경적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이명박 정부는 이를 왜곡되게 활용했을 뿐만 아니라 지자체들도 이를 자발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