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ercise, the Gut Microbiome, and Frailty

        신형은,곽성은,Ji-Hyun Lee,Didi Zhang,배준현,송욱 대한노인병학회 2019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23 No.3

        The gut microbiome is deeply associated with both skeletal muscle and brain function. In particular, gut microbiome dysbiosis may accelerate age-related diseases by affecting these systems. Although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gut microbiome and skeletal muscle and brain, it remains unclear whether changes in the gut microbiome due to exercise training can lead to healthy aging. This review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of gut microbiome-related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related to aging (e.g., physical frailty and cognitive dysfunction) as well as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both. We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including original articles and reviews identified from searches of the PubMed, Google Scholar, SCOPUS, EBSCOHost, ScienceDirect, Cochrane Library, and EMBASE databases using the following terms: ‘gut microbiome’, ‘exercise’, ‘physical frailty’, and ‘cognitive dysfunction’. This review identifi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dysfunction or physical frailty and the gut microbiome. Furthermore, exerci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osition of the gut microbio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ercise training can prevent physical frailty or cognitive dysfunction by altering the gut microbiome. However, the exact mechanism by which these effects occur is not yet clea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exercise training can prevent age-related diseases by balancing the gut microbiome.

      • 고객과 함께하는 아시아의 타이어산업

        신형,Sin, Hyeong-In 대한타이어공업협회 2001 타이어 Vol.209 No.-

        이 내용은 2001. 9. 18 부산 전시 콘벤션센타(BEXCO)에서 개최된 ITEC(International Tire Exhibition & Conference) Asia 2001에서 기조 연설한 내용을 게재한 것임

      • IMM 알고리듬을 이용한 적응 최신화 빈도 추적

        신형,홍선목 대한전자공학회 1993 전자공학회논문지-B Vol.b30 No.12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update rate tracking algorithm for a phased array radar, based on the interacting multiple model(IMM) algorithm. The purpose of the IMM algorithm hers is twofold: 1) to estimate and predict the target states, and 2) to estimate the level of the process noise. Using the estimate of the process noise level adapted to target dynamics, the update interval is determined to maintain a desired prediction accuracy so that the radar system load is minimized. The adaptive update rate tracking algorithm is implemented for a phased array radar and evaluated with Monte Carlo simulations on various trajectorie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algorithm and a standard Kalman filter without the adaptive update rate control are presented to compare.

      • KCI등재후보

        개정 경비업법의 규제수단강화와 그 정책적 함의

        신형,이기세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아주법학 Vol.7 No.3

        경찰력(공경비)의 한계를 보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민간경비제도가 도입되고, 이에 따라 근거 법인「경비업법」에 의해 설립되는 민간경비업체는 안전 확보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 및 사회 적 요청에 따라 질서유지의 보조자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집단 민원현장에서의 경비원에 의한 폭력행위 등으로 경비업체에 대한 효율적 규제를 위한 제도정 비와 관할경찰관서장의 감독권한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이러한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 로 파급되는 것에 상응하여 2014. 6. 8. 제도 개선을 위해 일부 개정된「경비업법」의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와 같은 경비업체의 집단민원현장에서의 불법적인 업무수행의 주된 원인은 관계법령을 무 시하고 단기간의 고수익창출만을 목적으로 하는 업계의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할 수도 있겠으 나, 다른 한편으로는 경비업에 대한 국가의 규제와 감독이 의례적·형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이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할 것이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사회안전망 확보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민간경비업체를 국가가 규제자의 입장에서 뿐만 아니라 안내자 및 유도자의 입장에 위치하고 있다는 인식전환을 통하 여 민간경비업체의 법령준수유도와 양질의 민간경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밑 받침을 마련함과 동시에 소관행정청인 관할경찰관서장의 책임행정을 통하여 민간경비제도의 정상적 운영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적극적으로 조성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직 변화가 조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신형,박주연,이지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8 유라시아연구 Vol.15 No.2

        지금까지의 창의성 관련 연구들은 개인 수준의 지각과 성향, 지식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조직 수준에서의 창의성 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희소하다. 창의성은 개인 수준에서 발현될 뿐 아니라 조직 수준에서도 발현된다. 개인의 창의성이 높다고 하여 반드시 팀의 창의성도 높은 수준이 되는 것은 아니며, 조직 내 학습문화, 기업문화, 운영방식, 업무 프로세스 등의 내적 요소들도 조직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조직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조직 변화를 구조적 변화와 운영적 변화로 분류하여 각 형태의 변화가 조직 창의성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조사하였다. 구조적 변화는 계층의 간소화, 자율적 합의 중시, 수평적 관계로의 변화, 권한 위양 등을 통해 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운영적 측면의 변화는 관리자의 역할 변화, 평가 보상기준의 변화, 순환보직과 같이 구조 안에서 직능과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인적관리 시스템의 변화를 말한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수집한 2011년도 인적자본기업패널자료와 2015년 특허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총 500개의 설문 응답지 중 본 연구와 관련이 있는 341개의 응답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조직 창의성은 특허출원건수로 측정하였으며, 독립변수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조사하는 설문에 포함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구조적 변화 중에서는 업무수행방식 변경이, 운영적 변화 중에서는 근무형태와 인력배치의 변경이 조직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특허출원건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모든 변수가 포함된 모델에서는 업무수행방식만이 유의성을 유지했음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개인 수준 위주의 창의성 연구를 확장하여 조직의 창의성에 관심을 두었다. 둘째, 업무수행방식의 변화를 도입한 경우에만 구조적 변화가 조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런 변화는 조직이 단기성과보다는 중장기적인 조직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운영적 변화 중 근무행태와 전환배치의 변경은 모두 특허출원건수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조직에서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더라도 조직 수준에서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조직의 구조적 변화가 조직 창의성 증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으나 조직 창의성을 특허출원건수에 의존함으로써 좀 더 다양하게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가 단일 연도의 설문과 4년 후의 단일 연도 특허출원건수를 사용하여 수행됨으로써 조직운영의 변화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직 창의성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으로 어떤 제도를 통해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조직을 변화시켰는지에 대한 세부 정보가 있다면 조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더욱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So far, research on creativity has focused on individual perception, disposition, and knowledge, but research on creativity at organizational level is relatively rare. Creativity is expressed at the individual level as well as at the organization level. Since the creativity of an individual is high, the creativity of the organization is not necessarily high, and the internal factors such as learning culture, corporate culture, operating method, and business process in the organization also affect the creativity of the organization. In this study, we focus on organizational change among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particular, organizational change was classified into organizational change and operational change, and it was studied whether each type of change had differe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Structural change is the change of organization through simplification of hierarchy, emphasis on autonomous consensus, change to horizontal relation, delegation of authority. On the other hand, change of operational aspects is to chang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centering on the human and capability through changing the role of managers, performance management criteria, job rotation etc. Creativity can be developed at organizational level as well as individual level. This study focused on organizational change as a critical element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Especially, this study divided organizational change into structural and operational change and investigated if two types of changes have different impacts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To do this, we used the 2011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data collect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2015 patent data to measure organizational creativity. Using 341 company survey data, we found that variables for both structural change and operational chang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Organizational creativity,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the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ed by the Korea Vocational Training Center. As a result, among the structural changes, the change in the way of performing work, and the change in working style and manpower placement among the operational chang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used to measure organizational creativity. We found that only the way we do business was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s some implications. First, we focused on the creativity of the organization by expanding the research on creativity focusing on the personal level. Second, the effect of structural change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was positive only when the change of work performance was introduced. This change means that it is effective for organizations to induce mid to long term organizational change rather than short term outcomes. Third, the changes in the workplace behavior and the changeover of the operational chan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This suggests that creativity can be improv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in the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empirically that organizational change is related to organizational creativity promotion, but there is a limit to the need to develop a means to measure objectivity more creatively by relying on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In addition, if the study is conducted using a single year’s questionnaire and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for a single year after four years, the study of whether changes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have a different effect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over time, can be derived. Finally, if there is detailed information about what degree of organization has changed through what kind of system,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will be more sophistic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