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평피난안전구역 설치여부에 따른 노인요양병원의 화재위험평가

        신수경(Soo-Kyung Shin),배영훈(Young-Hoon Bae),최준호(Jun-Ho Choi)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6

        Long-term care hospitals for the elderly have a high risk of fire. To reduce this risk, the installation of a horizontalrefuge area has been stipulated since 2015. However, most hospitals are still at risk due to the lack of retroactiveregul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the horizontal refuge area was analyzed through evacuation safetyevaluation using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s. As a result of evacuation safety evaluation for the two hospitals, thereduction ratio of evacuation time was 70% (day time) and 77% (night time). In addition, evacuation safety can be securedthrough the installation of a horizontal refug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preparingretroactive regulations for horizontal refuge areas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 KCI등재

        AHP 분석을 통한 노인요양병원의 화재안전성 평가지표 개발

        신수경(Soo-Kyung Shin),배영훈(Young-Hoon Bae),최준호(Jun-Ho Choi)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6

        Long-term care hospitals for the elderly are places for the elderly and patients with impaired mobility to live in, butthese places face a high risk of great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The standards for fire safety at long-term care hospitalsfor the elderly are limited to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and training plans, with no index to evaluate the evacuationplans, facilities for evacuation in case of fire, and the fire response manuals of long-term care hospitals for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carry out a basic analysis and establish fire safety evaluation indices for long-term carehospitals for the elderly. To that end, the study derives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indices related to fire safetyin long-term care hospitals for the elderly through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questionnaire surveying 44 firefightingexperts. Final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indices, this study presents fire safety evaluation standards(drafts) for long-term care hospitals for the elderly.

      • 이쾌대의 해방기 행적과 <군상> 연작 연구

        신수경(Shin Soo Kyung)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5 No.-

        1988년 해금조치가 단행된 이후 이쾌대는 월북미술가중 가장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쾌 대에 대한 많은 연구와 관심은 바로 <군상> 연작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군상> 연작은 아직도 연구자들 사이에서 양식적 연원이나 해석이 분분하다. 너무나 당연한 말이지만 이쾌대의 <군상> 연작은 시대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글은 이쾌대의 <군상> 연작에 해방기의 시대상이 어떻게 담겨있으며, 해방기 미술의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이 시기 이쾌대의 행적과 작품을 자세히 고찰하였다. 이쾌대는 해방 직후 미술단체에서 활동하며, 민족미술 수립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조선미술건설본부의 선전미술대로 활동하며 인쇄미술을 시도했고, 성북회화연구소를 개설해 예비 미술학도를 양성했다. 조선조형예술동맹의 회화부 위원과 조선미술동맹의 서양화 부 위원장으로 선임되어 대중과 소통하기 위해 크고 작은 전시회에 참여하는 등 미술의 대중화를 위해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좌익 세력에 대한 미군정의 탄압이 심해지자 조선미술동맹에서 탈퇴하여 조선미술문화협회를 결성했다. 이쾌대가 이 시기 작품활동을 지속할 수 있었던 것은 어쩌면 조선미술문화협회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는지 모른다. 1949년까지 네 차례 열린 《조선미술문화협회전》에 이쾌대는 <군상Ⅰ-해방고지(解放告知)>, <조난>과 같이 시대상을 반영한 야심작들을 발표했다. 그러나 1949년 말 막다른 골목에서 국민보도연맹에 가입해 사상전향 활동에 동원되었고, 6·25전쟁이 발발하자 재건된 조선미술동맹에서 김일성 초상화 제작에 가담했다. 전쟁 중 포로수용소에 수감된 이쾌대는 1953년 남북한 포로교환 협정 당시 북쪽을 택함으로써 오랫동안 남한 미술사에서 잊힌 작가가 되었다. <군상> 연작에는 이처럼 역동적인 시대상이 투영되어 있다. 좌우 이데올로기 대립 속에 남한의 단독정부 수립, 좌익세력에 대한 대규모 탄압, 점점 남북분단으로 치닫고 있던 복잡다단한 해방기의 모습이 인물들의 다양한 동세와 박진감 넘치는 화면구성으로, 각종 집회가 일상적으로 열리고, 수많은 군중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던 모습은 많은 사람들이 운집해 있는 ‘군상(群像)’으로 형상화되었다. 또 현실의 난관을 극복하고 민족 화합을 통해 더 나은 세상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남성 이미지를 통해 표현했다. 근육질의 남성 이미지는 해방기 인쇄미술에 보이는 특징중 하나로 힘과 굳은 의지의 상징으로 읽힌다. 한편 <군상> 연작은 미술의 대중화를 위해 이쾌대가 가장 이상적인 장르로 생각했던 벽화를 제작하기 위해 서양의 르네상스 미술부터 프랑스 낭만주의, 후지타 쓰구하루의 전쟁화까지 다양한 양식을 수용하고 모색하는 과정에서 제작한 것으로 추론된다. 이렇게 볼 때 <군상> 연작은 해방기라는 격변기의 산물이자 이쾌대의 꿈과 이상이 담긴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Lee Quede received the biggest attention when the forbidden artworks of Wolbuk artist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had been released in 1988. 〈The Crowd〉 series provoked a significant amount of research and interest towards Lee Quede’s works. However, 〈the Crowd〉 series are still in the middle of the discussions on the origin of style and interpretations. It is clear that 〈the Crowd〉 series contain the spirit of the time.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reveal how the spirit of the time expressed in 〈the Crowd〉 series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ar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o pursuit the aim, I firstly examined the trace of Lee Quede. He joined in art organizations and made an effort to establish national-art. As the vice-president of Joseon Art Establishment Alliance, he contributed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However, as the suppress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owards the leftist force worsened, he withdrew from the Joseon Fine Arts Alliance, and organized the Joseon Art & Culture Association. With the support of the Joseon Art & Culture Association, Lee Quede was able to continue his practice. He presented his ambitious works, such as 〈Crowd I –HaeBangGoji(解放告知)〉 and 〈Distress〉, in the exhibition of the Joseon Art & Culture Association, which opened four times until 1949. In the end of 1949, Lee joined the National Guidance Alliance and started to form the anticommunist system under the Syngman Rhee Government. During the Korean War, he worked as a painter who depicted the portrait of Kim Il Sung, in the Joseon Fine Arts Alliance. Just before the Korean Army recaptured Seoul on September 28, he was captured by the nation’s forces on his way to North. In 1953 North and South Korea prisoner exchange, he chose North Korea and as a result, he has been forgotten in the art history of South Korea. 〈The Crowd〉 series reflected upon the dynamic lif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complex images of an ideological conflict visualized as the crowd with the various actions of people, the daily rally, etc. Lee depicted the optimistic will to make better world by the unification of two parts and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 image of a muscular man was a common feature in the art after the liberation period. It assumed that 〈the Crowd〉 series have been produc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studying Western styles, from Renaissance art to the 19th century’s French Romanticism and Realism, in order to produce what he thought was an accurate depiction for the public art at that time; a mural painting. In this respect, the series of 〈Crowd of People〉 was significant in its ability to discuss the dynamic time of the liberation period, in order to present the dreams and ideals of Lee Quedes.

      • 월북 미술가의 연구현황과 과제

        신수경(Shin, Soo Kyung)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3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2 No.-

        이 글은 오랫동안 금기시 되었던 월북미술가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우리사회에서 ‘월북(越北)’이라는 단어가 어떻게 통용되었고, 그동안 월북미술가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월북’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기준에 따라서 나누어지는 경계를 지나 북쪽으로 넘어감”이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월북’이라는 단어는 공간의 이동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월북의 개념은 남과 북 두 체제의 대립에 의해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북쪽의 체제나 이념을 선택한 자만이 아니라, 규정 당하는 대상의 성격도 포함된다. 따라서 월북 미술가의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 ‘북한의 정치체제를 선택한 남한 출신의 작가’ 뿐만 아니라 ‘남한에서 활동하다가 자기 고향으로 돌아간 북쪽 출신의 미술가들’도 포함시켜야 한다. 월북미술가의 연구 현황은 1988년 해금조치를 기준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전반적인 논조와 서술방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고찰하였다. 1950년대 이승만 정권과 1960, 70년대 박정희 정권은 반공 이데올로기를 내세웠기 때문에 남한의 미술사 속에 월북미술가는 제외된 채 서술되어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다 1980년대 후반 들어 전 세계적으로 불던 탈냉전 흐름으로 인한 남북대화의 모색,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정부 정책의 변화에 따라 월북예술가에 대한 해금조치가 이루어지면서 연구에 일대 전환이 일어났다. 월북작가 인명록과 연표 작성, 관련 문헌을 찾아내어 목록화 하는 등 한국 근대미술사 속에 월북미술가의 위치를 재정립시키기 위한 기초작업이 이루어졌으며, 월북작가의 작품이 미술관에서 전시되고, 미술 전문잡지에는 해방공간에서 미술인들이 펼쳤던 활동과 북한미술 등이 기획기사로 실리는 등 월북미술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1990년대 중반 들어 월북미술가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축적된 연구 성과와 발굴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더욱 심도 있게 진행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는 개별 작가론으로 발전되었다. 가장 주목받는 월북미술가는 작품에 있어서는 이쾌대, 미술비평 분야에는 김용준을 들 수 있다. 1991년 대규모로 작품이 공개되면서 관심을 모았던 이쾌대와 전집이 발간된 김용준에 대한 연구는 한국 근대미술사에서 사실주의 미술과 미술비평계의 지형도를 다시 그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외에도 배운성, 김주경, 정현웅, 정종여, 박문원에 대한 학위논문과 서적이 출간되어 이들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한편, 1991년 평양에서 발행된 미술가 인명사전인 『조선력대미술가편람』(리재현 지음)을 비롯해 북한의 미술문예잡지가 남한의 학자들에게 알려진 이후, 월북미술가들이 북한에서 펼친 활동상이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되었다. 자료 접근의 제한 때문에 주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집중되었던 월북미술가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들어 북한과 접촉이 많아지면서 북한 미술계의 실상을 알 수 있는 저서와 논문이 잇달아 나왔다. 그러나 월북미술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작품이나 저작이 대규모로 발굴된 일부 작가에 한정되어 있으며, 연보조차 불분명한 작가가 대다수다. 월북미술가들의 행적을 단순히 사실들의 나열에 머물지 않고, 사실로부터 추출된 의미 구조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을 하나의 범주로 묶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탈냉전, 탈이념적 시각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술사나 시각문화 등 다양한 장르를 월북미술가 연구에 적극 활용한다면 한국 근대미술사의 폭도 그만큼 넓어질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과학탐구노트 활용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u-Kyung Shin),박유영(Yu-Yeong Park),오세경(Se Kyoung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과학탐구노트 활용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자기통제력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검증 해 봄으로써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교육적 방향과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과학탐구노트 활용 과학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전통적인 과학활동을 실시한 뒤 과학적 탐구능력검사와 자기통제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과학탐구노트 활용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인 관찰, 분류, 예측, 측정, 토의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과학탐구노트 활용 과학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인 행동억제, 정서성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using science notebooks based on the reflective thinking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and self-contro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a total of 40 young children at age 5 from two classes in G, which is located in G c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science activities using science notebooks based on the reflective think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and self-control.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science activities using science notebooks based on reflective thinking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and self-control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이중섭 아카이브 분석

        신수경(Shin Soo-ky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6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2 No.-

        Lee Jung Seob Catalogue Raisonné Research Team attempts to examine the life and artworks of Lee Jung Seob in various viewpoint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features of the archives of Lee Jung Seob that the representative art archives in Korea and the family of Lee has through this thesis. In addition, this thesis also goes through his ties with the literary circles at that time by looking at the visitors’ book of his solo exhibition at Midopa Gallery in January 1955 and his illustration for a book. The archives of Lee Jung Seob have great gaps in the aspects of the volume of reference materials, recorders and categories of the records when looked according to the years before and after his death. The reference materials of the year after his death are greatly more and the most of them are printings related to his exhibitions while the most of the reference materials of the year before his death are personal documents such as letters and postcards that his wife and friends kept. This is because his reference materials could not be kept well during his life time due to his frequent travel without a specific basement but after his death, the public’s interest in him activated the research on his works and as a result, the various events and exhibition relating to him produced a great amount of reference materials. The other feature of the archives of Lee Jung Seob is that the boarder between his artworks and reference materials is vague.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the boarder between the artworks and reference materials may differ from the focus of a researcher. In the case of the drawings on his letters and postcards, the public’s interest has been huge and as a result, they becam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that the personal records attained the value of an artwork unlike the original purpose. However, since they have been produced as the personal use, the manner of creation and method of expression are different from the illustration for official use. Those aspects can be also found in his drawings on silver foil paper. Moreover, the archives of Lee Jung Seob include a lot of the reference materials relating to the literary circles. The visitors’ book and his illustrations for a book are important clues to reveal Lee’s exchange with the literary circles at that time. The visitor’s book of his solo exhibition at Midopa Gallery in 1955 especially has the value to find out not only about his relationship with the writers and artists at that time but also about the background of the exhibition and response of the audiences to the exhibition. His illustrations for the cover of a book were born in the pressing circumstances of the war and division of the country at that time so most of them went through many twists and turns. However, the relationship with the literary circles that supported him by using his illustrations can be the significant matter to look at. His illustrations now work as the evidences showing the fruits of the special friendship with a poet Ku Sang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writers who moved to South Korea from North Korea. The opportunity of drawing illustrations for the cover of a book in those relationships offered Lee to make literary imagination and think about new images. Thus, his ties with the literary circles is significant in this research in terms of how it extended Lee Jung Seob’s practice. Meanwhile, the illustrations of Lee Jung Seob show the characteristic and the power of influence of the printed art that allows reproduction of the same images with a machine. His illustrations in the literary magazines were small but they impliedly became the images representing Lee Jung Seob. While the composition of his drawings on silver foil paper were complex as many images filled in a small frame, his illustrations simply showed one image and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 of Lee Jung Seob’s art practice well. Moreover, as the same images were repeatedly exposed

      • KCI등재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의 인간애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차이분석

        신수경(Su-Kyung, Shin),신리행(Li-Hea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들의 문제행동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 (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른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전략 차이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 전략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광주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교사 인간애, 교사용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설문지를 2018년 9월 3일부터 9월 28일까지 배포하여 회수한 후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른 각 문항과의 관계와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과 ANOVA 및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라 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인간애와 문제 행동에 대한 교사의 지도전략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이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으며, 앞으로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관련 내용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eachers-Age, final education,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daycare or kindergarten, classroom.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about humanity and problem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for infants were distributed to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item according to age, final education, teaching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employment agency, and cla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correlations and ANOVA.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Cronbach s α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eachers-Age, final education,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daycare or kindergarten, classroom. Second,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showed high correlation. Therefore, it is shown that teacher s humanity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개방, 자기주장, 학습실행력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hin, Su-kyung),고은교(Ko, Eun-Ky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근거한 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개방, 자기주장, 학습실행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사범계열 유아교육과의 수업모형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한 N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4명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29일부터 12월 9일까지 총 15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개방, 자기주장, 학습실행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로 공과계열 수업모형으로 활용되고 있는 캡스톤 디자인이 사범계열 유아교육과의 새로운 수업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제언하고, 교수매체 및 적용을 위한 수업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odel as a teaching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s by examining how teaching Materials making and appli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odel affec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sclosure, self-assertion, and study executive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fourth year 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N University in G City,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5 weeks from October 9 to December 12, 2016. Wh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ired‐sample t-test, teaching Materials making and appli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odel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sclosure, self-assertion, and study executive ability. This suggests that capstone design, which has been used mostly as a teaching model for engineering departments, may be applicable as a new teaching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로서의 메이크업이미지와 취업-메이크업 관여도와의 관계

        신수경(Shin, Su-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로서의 메이크업이미지와 취업-메이크업 관여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G시에 위치한 N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4일부터 12월 2일까지 우편발송 및 직접 설문지를 전달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ANOVA), Scheffe’ 사후검증과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로서의 메이크업이미지로는 내츄럴이미지를 유아교사로서의 메이크업이미지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과 실습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로서의 메이크업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라서는 매력적이미지, 엘리건트이미지와 선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경험에 따라서는 매력적이미지와 선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이크업이미지가 취업-메이크업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내츄럴이미지와 매력적 이미지가 취업-메이크업 관여도의 하위요소인 관여의미, 관여관심, 관여중요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makeup image as a kindergarten teacher and their makeup involvement in employmen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sending a questionnaire by mail or delivering it in person to 114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N University in G City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4 to December 2, 201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OVA, Scheffe’s post-hoc 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natural image as the makeup image of a kindergarten teacher.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makeup image as a kindergarten teacher according to their school year and practice experi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ttractive image, elegant image, and preference according to school year. In addition, attractive image and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actice experienc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image making image on makeup involvement in employment, natural image and attractive ima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factors of involvement in employment such as meaning of involvement, interest of involvement, and importance of invol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