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취업구조에 관한 연구

        신경수(Shin, Kyung-Soo),이성아(Lee, Sung-Ah) 글로벌경영학회 200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3 No.2

        노동시장의 중요한 변화 중의 하나인 여성비의 증가는 그 변화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논문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취업구조를 직종별․산업별․종사상지위별․교육단계별․취업시간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별 취업자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종별 및 성별 취업구조를 분석한 결과 성별 직종분절화현상이 여전히 심각한 수준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의회의원, 고위 임직원 및 관리자 직종과 전문가 직종과 같은 고임금 및 고급직종에서의 여성의 분포는 남성에 비하면 극히 낮은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직종별 분포에서와 마찬가지로 산업별 취업자의 분포에서도 여성근로자들은 특정 산업에 집중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산업별로도 성별 분절화현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사상지위별 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여성근로자들은 남성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급가족종사자’나 ‘일용근로자’부문에 더 높은 비중을 나타냄으로써 여전히 적은 수입으로 불안정적인 고용 속에서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단계별 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여성근로자의 구성비는 남성근로자에 비해 교육단계가 낮은 그룹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게 관찰되었다. 여섯째, 취업시간별 취업자의 구성비에서는 남성의 근로시간이 여성의 근로시간을 앞서고 있어 남성은 여성에 비해 노동시장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in the employment structure by gender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ent trend in women s economic status and role.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 1. Female percentage of labor market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recently. It has stimulated variety of research about women s economic status. 2. The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has not improved. 3. Female percentage in high education level is relatively lower. 4. Women s economic status of labor market is relatively lower. Although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has increased steadily, the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has not improved. The wage gap by gender has declined, but the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is getting worse. This results came from increasing demand for women s labor in female dominated occupation. The decline of gender wage gap cannot be interpreted as a relaxa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Without improvement in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and ongoing crowding effect, increase in female participation would lead to higher gender wage gap. Therefore, improvement of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should precede reduction in gender wage gap.

      • KCI등재

        산업별로 본 성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신경수,Shin, Kyung-Soo 대한경영정보학회 2007 경영과 정보연구 Vol.20 No.-

        This study estimates gender wage gap by the Korean industries.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ex segregation by industries has not improved. 2. The average wage in $\ulcorner$electricity, transportation, warehousing, financial institutions$\lrcorner$ i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On the contrary, the average wage in $\ulcorner$mining and manufacturing$\lrcorner$ and $\ulcorner$wholesale and retail, food, loading$\lrcorner$ is relatively lower than others. 3. The gender wage gap in $\ulcorner$electricity, transportation, warehousing, financial institutions$\lrcorner$ is relatively lower than others. On the contrary, the gender wage gap in $\ulcorner$mining and manufacturing$\lrcorner$ i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The gender wage gap has declined annually. The gender wage gap in industries with lower wage level is higher. The decline of gender wage gap cannot be interpreted as a relaxa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의료진료 전문가 직종과 약사 직종내에서의 성별 임금격차와 차별

        신경수 ( Shin Kyung-s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保健社會硏究 Vol.25 No.2

        본 연구 논문은 2002년「임금구조 기본통계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보건의료직종 내에서의 여성근로자의 경제적 지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보건의료 전문가」직종 중에서 남성근로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의료진료 전문가(간호 제외)」직종과 여성근로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약사」직종을 중심으로 두 직종간의 임금수준을 비교분석하고, 두 직종간에 성별 임금격차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각 직종내에서 발생하는 성별 임금격차를 요인별로 분해하여 그 성별 임금격차가 `생산성 격차`에 의해 기인한 것인지, `노동시장에서의 차별`에서 기인한 것인지를 분석함으로써 직종별 임금수준과 성별 임금격차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진료전문가」직종과「약사」직종은 타직종에 비해 연령수준과 근속연수, 월근로시간이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임금수준은 매우 높아 전반적인 근로조건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진료전문가」직종과「약사」직종내에서의 성별 임금격차는 거의 관측되지 않았지만 두 직종을 제외한 타직종에서의 성별 임금격차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의료진료전문가」직종과「약사」직종은 성별 총 임금격차에서`생산성 차이로 인한 임금격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81.65%로 매우 높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타직종에서는 성별 총 임금격차에서`차별로 인한 임금격차`가 매우 높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의료진료전문가」직종과「약사」직종에서는 성별 임금수준의 차이가 거의 대부분 근로자의 생산성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위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의료진료전문가」직종과「약사」직종은 대표적인 고임금직종으로서 성별 임금격차는 낮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그 성별 임금격차 또한 대부분 근로자의`생산성의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노동경제학에서 말하는 혼잡효과(crowing effect)를 간접적으로 입증해 주고 있다. 즉 여성근로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직종일수록 저임금 직종이고, 성별 임금격차는 크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성별 총 임금격차 중에서`차별에 의한 임금격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This study estimates gender wage gap by medical examination professionals and pharmacists.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gender wage gap in 「medical examination professionals」and 「pharmacists」is relatively lower than others. In addition, the wage gap by productivity in the gender wage gap is high. 2. The gender wage gap in others i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the wage gap by discrimination in the gender wage gap is high. The gender wage gap has declined annually. The gender wage gap in occupation with lower wage level is higher. The decline of gender wage gap cannot be interpreted as a relaxa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Without improvement in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and ongoing crowding effect, increase in female participation would lead to higher gender wage gap. Therefore, improvement of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should precede reduction in gender wage gap.

      • Multiple Box 수질모형(水質模型)에 의한 해남호(海南湖) 수질예측(水質豫測) (I) - 수질부모형(水質副模型)의 개발(開發)과 적용(適用) -

        신경수 ( Shin Kyung Soo ),권순국 ( Kwun Soon Kuk ) 한국농공학회 1990 韓國農工學會誌 : 전원과 자원 Vol.32 No.3

        A rational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 estuary reservoirs necessiates the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n this study, a multiple box model for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was developed as a tool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an adequate way to improve and maintain the water quality. Some submodels that are suitable for simulating the mixing behavior of pollutant materials in a lake were considered in this model. The model was appiled for predicting water qualities of Haenam Esturay Reservoir. The result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A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that can predict the 10-day mean value of water qualities was developed by adding some submodels that simulate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 BOD, T-P and T-N to the existing Multiple Box Model representing the mixing and circulating of materials by the hydarulic action. 2. As input data for the model developed, the climatic data including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temperature, cloudness, wind speed and relative humidity, and the water buget records including the pumping discharge and the releasing discharge by drainage gate were ollected. The hydrologic data for the inflow discharge from the watershed was obtained by simulation with the aid of USDAUL-74/SNUA watershed model. Also the water quality data were measured at streams and the reservoir. 3. As a result of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test by using four comonents of water quality such as Chlorophyll-a, BOD, T-P and T-N,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eints between the observed and the simulated water qualities showed greater than 0.6, therefore the capability of the model to simulate the water quality was proved. 4. The result based on the model application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Haenam Estuary Reservoir varies seasonally with the harmonic trend, however the water quality is good in winter and get worse in summer. Also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current grarde of water quality in the Heanam Esutary Reservoir is ranked as grade 4 suitable only for the agricultutal use.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 자유교육의 인식론적 근거

        신경수(Shin, Kyung Soo)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9 No.3

        아우구스티누스는 『콘트라 아카데미코스』에서 당대 인식론과 교육사상에 부정적 역할을 했던 아카데미학파의 논증을 반박하면서 ‘실재와 진리에 대한 부정’과 ‘진리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는 문제의식’, 그리고 여기서 파생되는 ‘종교와 종교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 등을 숙고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삶의 목적은 행복이고, 행복은 진리획득을 통해 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진리와 실재에 대한 확고함이 없다면 총체적이고 전인적인 지식도 불가능하고, 필연적으로 그러한 것을 배우거나 교육하는 일도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아우구스티누스가 보기에 대상의 통합성을 아는 것이 행복해지는 것이며, 이것을 아는 것은 인간의 모든 이성적 활동의 궁극적 목적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사람이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당연한 순리이며,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진리를 추구하고 진리 안에 거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전제를 갖고 있다. 여기에 더해 아우구스티누스는 진리 인식과 진리 교육의 중요성을 넘어 다양한 진리 획득 방식을 제시한다. 그는 자연학과 논리학적 앎을 비롯해 수학적 앎과 감각인상을 통한 앎을 통해 진리가 인식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여기에 더해 명증적 앎의 새로운 방식인 종교적 앎에 대해 소개한다. 여기서 아우구스티누스는 키케로를 인용하여 권위에 의한 앎에 대해 논의하는데, 그가 보기에 권위자가 확실히 신뢰할 수 있는 존재자라면 그 권위에서 출발한 앎은 불완전한 앎을 가진 존재들에게는 그 무엇보다 확실한 앎이 될 수 있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진리획득의 방식을 다양하게 상정하면서, 그중 인간이 진리나 실재에 도달하는 가장 중요한 방식으로서 종교를 상정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In his work Contra Academicos , St. Augustine harshly refuted the argument of Academy school affected a negative impact on the contemporary epistemology and the contemporary thoughts of education by pointing out there is a various ways with negative consciousness in human especially when they are searching reality and truth and its space for a necessity of religious education. He, furthermore, insisted that a purpose-seeking life can be done by happiness derived from finding the truth. If there is no confidence regarding absolute truth and reality, where there is no all-round knowledge or collective perspective on life, and will be impossible leaving all teaching and learning useless accordingly. To know unity is to be happy, and this, according to Augustine, is the ultimate goal of all our rational activity. Augustine, for this reason, proved that there are various ways to get the truth that is far beyond intellectual recognition and its external education. He proves that truth can be perceived through the knowledge of natural science and logic, through mathematical awareness and sensory impression. In addition to this, Augustine introduces religious knowledge, a new way of knowing. Here, Augustine cites Cicero and discusses the knowledge of authority. In Augustine"s view, if an authority is a definite trustworthy being, then the knowledge that originates from that authority can become a more definite knowledge of beings with imperfect knowledge. As the best alternative available, the Saint suggested a religion or spirituality. To him, it was a channel to the integrated reality, and the clearest road to access the truth as wel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비현전의 형이상학으로서 데리다의 부정신학적 구상

        신경수(Shin Kyung Soo)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1

        데리다는 서양형이상학을 현전의 형이상학으로 규정하고, 현전의 형이상학은 인간을 구속한다고 비판한다. 서양형이상학자들은 우연적이고 찰나적인 것을 대단한 내용이 있는 양 확대 재생산해왔다는 것이 데리다의 생각이다. 데리다는 철학자들의 그러한 작업의 이면에는 기득권 강화라는 의도가 있었다고 지속적으로 강조하면서 이러한 서구의 음모를 백색신화로 명명한다. 그러나 데리다는 기존 서양형이상학을 비판하고 부정하지만 허무주의의 길을 가지는 않는다. 데리다는 종교적 언어와 개념을 통해 기존의 형이상학의 지경을 넓히는 방식으로 비현전의 형이상학을 전개한다. 데리다는 초기부터 자신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형이상학을 부정신학과 관련지어왔다. 데리다는 부정신학을 통해 언어의 정체성이 명확히 드러나며, 부정신학이 종교뿐만 아니라 철학을 수렴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데리다는 형이상학에 대한 자신의 독특한 관점을 설명하기 위해 자신만의 부정신학적 방법을 사용하지만, 그가 추구하는 부정신학적 모델은 기존 부정신학, 즉 기독교나 유대교에서 추구했던 부정신학적 방법과는 다른 것이다. 데리다는 기존의 부정신학과 대조적인 의미로 ‘코라(khora)’라는 개념이 중심을 이루는 자신만의 부정신학적 관점을 제시한다. 코라는 차연(deferance)의 연장선상에서 현전의 형이상학의 문제에 적합한 개념이다. 데리다가 코라라는 개념을 제시하는 이유는 자신이 의미하는 바를 여러 비유를 통해 설명하는 데리다의 설명 방식이기도 하지만, 차연이 문자나 글쓰기의 해체에서 주로 사용된 개념이기 때문에 더 나아가 형이상학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개념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코라는 흔적 개념과 연결되어 무한한 존재에 대해 암시한다. 데리다가 상정하는 진정한 부정신학은 코라가 작동하여 자기 자신의 한계와 조우하며 무한정적으로 연기시키면서 그 안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해나가는 모습이다. Derrida defines western metaphysics as the metaphysics of the present : he criticizes the metaphysics of the present as restraint. Derrida`s idea is that Western metaphysicians have been extensively and reproducibly coincidentally and extraterrestrially with great content. Derrida continues to emphasize that the philosopher`s work was intended to strengthen vested interests behind such work, naming these Western conspiracies as white myths. However, Derrida criticizes and denies the existing Western metaphysics, but does not have a way of nihilism. Derrida"s metaphysical viewpoint is a way to dissect from the dismantling to the domain not covered by Western metaphysics, and it is a religion. Therefore, Derrida has associated metaphysics with negative theology from his earliest point of view. Derrida thinks that the identity of language is clearly revealed through negative theology, and that negative theology is a concept that collects not only religion but also philosophy. Derrida uses his own psychoanalytic method to describe his unique perspective on metaphysics. However, the psychoanalytic model he pursue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negative theology, which is the psychoanalytic method pursued in Christianity or Judaism. In contrast to the existing negative theology, Derrida suggests his own psychoanalytic view, centered on the concept of `khora`. khora is a concept suitable for the metaphysical problem of the present on the extension line of deferance. Derrida suggests the concept of khora, which is Derrida`s way of explaining what he means by Derrida, but it can be further expanded to metaphysical This is because we needed a concept. khora expects an endless existence. The true negative theology that Derrida presumes is that khora works and finds infinite possibilities within the limits of encountering limitations of his own, postponing them to an endlessly static.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 『입문자 교육론』에서 기쁨의 교육적 의미

        신경수(Kyung-soo Shin)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6

        본 논문의 목적은 『입문자 교육론』을 중심으로 아우구스티누스 수사학에 나타난 기쁨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가르침과 배움에서의 기쁨의 의미와 역할, 교육적 함의를 드러내는 데 있다. 성적 지상주의가 만연한 현대 사회에서 학생이 학교생활과 학습을 통해 기쁨을 누리는 것은 쉽지 않다. 교사의 경우에도 교사직에 대한 전문화와 부정적 사회적 인식, 교권 침해로 인해 가르침과 기쁨의 연관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그렇다면 가르침과 배움은 기쁜 일이 될 수 있는가? 이 논문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로 『입문자 교육론』을 탐색하고자 한다. 『입문자 교육론』은 기쁨의 교육적 가치를 논의한 최초의 저작으로서 교육에 있어 기쁨의 의미와 가치, 실제적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구하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법정·의회·예식 영역에 국한된 그리스·로마 수사학을 교육 영역으로 전환하여 진리 교육에 복무하는 수사학으로 정립했다. 그는 『입문자 교육론』에서 교사에게 성공적인 가르침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단순히 기법이 아니라, 진리를 향한 사랑과 학생을 향한 진정한 사랑이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그리스도의 사랑의 터 위에서 교사 스스로가 기쁨의 성품을 가지고 학생들과 상호작용할 때, 그리고 학생들의 욕구와 지식수준에 따른 특정한 조합을 이해하고 적절히 조정할 때 즐거운 수업이 되게 할 수 있다. 교육에 있어 기쁨의 회복을 주제로 집필된 『입문자 교육론』에 대한 숙고는 무기력과 동기 결여를 경험하는 현대의 교육 현장에서 기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함양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meaning, rol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joy in teaching and learning by exploring the joys shown in Augustine rhetoric, focusing on De Catechizandis Rudibus. It is not easy for students to enjoy joy through school life and learning in a modern society where learning by heart just for scores prevails. In the case of teachers,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link between teaching and joy due to specialization, negative social perception and violation of teachers" rights. Then can teaching and learning be a joy? As a clue to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theory of introductory education. De Catechizandis Rudibus was the first work to discuss the educational value of joy, because it specifically explores the meaning, value and practical methods of joy in education. Augustine established Greek and Roman rhetoric, which was limited to the legal, parliamentary, and ceremonial areas, as rhetoric that served in education of truth. Augustine argues in De Catechizandis Rudibus that what makes successful teaching possible for teachers is not just a technique, but a love for truth and true love for students. According to Augustine, joy can be developed when the teachers themselves interacts with the students with the nature of joy on the basis of the love of Christ, and when he understands and adjusts certain combinations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level of knowledge. Consideration of De Catechizandis Rudibus, written on the theme of the restoration of joy in education,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joy and to cultivate it in modern educational fields experiencing lethargy and lack of mo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