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시간 응용을 위한 웨이블릿 변환 기반의 얼굴 검출

        송해진(Haejin Song),고병철(ByoungChul Ko),변혜란(Hyeran Byun)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9·10

        최근 화상 회의, 화상 전화, 모바일 환경에서의 화상 통신, 얼굴 인식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등의 상업화에 힘입어 비디오에서의 얼굴 검출 및 추적 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였다. 또한, 얼굴 요소 검출은 요소 그 자체뿐 아니라 정확한 얼굴 영역 검출을 위한 필수 단계로서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영상에 나타난 복잡한 배경과 카메라 조작 및 조명에 의한 색상 왜곡 그리고 다양한 조명 조건 등은 얼굴 검출 및 추적, 요소 검출에 있어 여전히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화상 통신을 위한 새로운 얼굴 영역 검출 및 추적 알고리즘과 검출된 얼굴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눈 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얼굴 검출 알고리즘은 복잡한 배경과 다양한 조명 조건에 관계없이 얼굴을 검출하고 추적하기 위해 웨이블릿 변환된 세 종류의 부 영역을 이용하여 얼굴 형판을 생성하고 웨이블릿 변환된 입력 영상과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얼굴을 검출한다. 특히 다양한 조명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최소-최대 정규화와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혼합 적용하여 매우 밝거나, 매우 어두운 영상에서의 얼굴 오 검출 및 놓침을 줄일 수 있었으며 세 가지 크기의 얼굴 형판을 이용함으로써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크기의 얼굴도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효과적인 얼굴 추적 알고리즘을 통해 다음 프레임에서의 얼굴 위치를 예측하고 예측된 얼굴 위치를 중심으로 탐색 영역을 정해 형판 정합을 수행함으로써 얼굴 검출률을 높이면서 수행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수직, 수평 방향 투영을 이용한 합리적인 눈 검출 알고리즘은 어두운 조명이나 부정확한 얼굴 영역에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face detection and tracking method based on template matching for real-time applications such as, teleconference, telecommunication, front stage of surveillance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and video-phone applications. Since the main purpose of paper is to track a face regardless of various environments, we use template-based face tracking method. To generate robust face templates, we apply wavelet transform to the average face image and extract three types of wavelet template from transformed low-resolution average face. However template matching is generally sensitive to the change of illumination conditions, we apply Min-max normalization with histogram equaliza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intensity. Tracking method is also applied to reduce the computation time and predict precise face candidate region. Finally, facial components are also detected and from the relative distance of two eyes, we estimate the size of facial ellipse.

      • KCI등재

        수행공학과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송해덕(Hae-Deok S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07 역량개발학습연구 Vol.2 No.1

        전략적 인적자원개발(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RD)은 기업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 이러한 환경변화를 보다 체계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업과 인적자원개발간의 관계를 전략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조직의 목표달성을 촉진시키는 것과 함께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학습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에서 조직 효과성 및 수행에 대한 강조는 인간수행공학(Human Performance Technology)의 논의에 힘입은 바 크다. 수행공학은 시스템적 사고에 근거하여 인간수행의 문제를 조직과 관련하여 보다 거시적인 맥락 속에서 파악하도록 하며, 결과지향적인 접근을 취함으로써 문제해결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전략적 관점에 대해 유용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개념과 수행공학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가지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비교나 검토가 아직 체계적으로 시도되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행공학의 정의 및 특성을 중심으로 수행공학이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수행공학의 특성에 비추어 수행공학과 전략적 인적자원개발간의 개념적 관계를 조사한 후, 끝으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특성과 비교하여 예기되는 이슈들을 살펴봄으로써 전략적 인적지원개발의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SHRD) is to facilitate the a accomplishments of the organization outcomes and to satisfy the employee`s desire to learn by strategically alig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emphasis on results and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in SHRD is related to theoretical assumption of the Human Performance Technology(HPT). HPT is expected to provide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rategical approach of the SHRD because it analyzes the human performance problems systematically in the broader context with the system thinking. Despit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HRD and HPT, little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to review the main concepts of those two fiel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PT and SHRD. For this, firs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PT were examin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HPT and SHRD was reviewed. Third, possible issue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SHRD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HPT.

      • KCI등재후보

        HRD Professional’s Roles and Competencies in the Age of Web 2.0

        송해덕(Hae-Deok Song),최원정(Won-Jung Choi)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8 No.2

        Despite for the increased educational application of Web 2.0, the discussion about how to apply the Web 2.0 in HRD field is scarce. Especially, there are much needs for HRD professional’s roles and competencies in Web 2.0 learning environment. However,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competencies. Thus, this study first, explore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Web 2.0 technologies. Also, implications of Web 2.0 from HRD perspectives was also examined. Finally, HRD professional’s roles and competencies were suggested. Findings shows that HRD professional’s role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situational needs. Enhanced HRD professional`s competencies in Web 2.0 age are suggested in three competency domains: interpersonal competency, business/management competency, and personal competency. Implications about HRD professional’s roles and competencies are suggested.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성요인과 교수설계원리의 탐색

        송해덕(Hae-Deok S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주요 구성요인들을 확인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설계원리들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창의적 문제해결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주요 요인들을 중심으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수설계의 원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의미를 살펴본 후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모형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구성하는 요인들과 이들 요인들간의 관계를 나타나는 이론적 틀의 형태로 제시되었다.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인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주요 구성요인으로 학습자특성, 교수전략,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학습자 특성, 상황적 특성의 다섯 가지 요인들이 포함되었다. 셋째, 창의적 문제해결에 관한 주요 연구변인들을 중심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교수설계원리를 제시함으로써 실천적인 측면에서 창의적 문제해결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특성차원에서는 문제해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함양 및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이해와 통제를 신장시키고, 문제해결과정차원에서는 합리적인 문제해결절차의 습득이 요구되고, 문제특성차원에서는 실생활의 맥락화된 비구조화된 과제를 제시해야 하며, 교수전략차원에서는 영역특수적 교수전략의 제시가 요구되고, 문제해결상황차원에서는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을 지원하는 문제상황을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componen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uggest design principles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To achieve this purpose, a model on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built based on literature reviews on creativity,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solving.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s. First, the meaning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defined. Second,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omponents consis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examined. Third, design principles were suggested to increase the identified componen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 KCI등재후보

        교수자의 관점에서 이러닝 2.0 확산과정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송해덕(Hae-Deok Song),변재윤(Jae-Youn Byu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2

        고등교육 및 기업교육환경에서 이러닝 2.0 테크놀로지 도입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러닝 2.0 테크놀로지의 도입과 활성화에 상당한 초기 투자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조직에서 성과창출을 위하여 확산과정에서 관련 변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적절히 진단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환경에서 이러닝 2.0 테크놀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통합시키기 위한 지원요인을 확인한 후, 최적의 확산방법을 찾기 위해 이들의 영향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진단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Hall이 제시한 교수자 관심단계별 확산과정에 따라 각 단계에서 교수자들이 필요로 하는 테크놀로지 지원요인들을 확인하였다. 정보적 관심단계에서는 초급개발과정 세미나 제공, 초급 테크놀로지 훈련이, 개인적 관심단계에서는 교수개발지원, 중급 테크놀로지 훈련, 성공사례 제공이, 운영적 관심단계에서는 학습커뮤니티, 테크놀로지 활용 워크숍, 지식공유시스템 활용이, 끝으로 영향력 관심의 단계에서는 만족도 조사, 팀티칭 프로그램, 우수수업사례 컨퍼런스 등을 포함하였다. 이후 교수 관심단계별 과정에 따라 이들 지원전략들의 효과를 시뮬레이션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HRD 측면에서 조직혁신 관리를 위한 진단도구의 관점에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e-learning 2.0 technologies are being widely used in higher and corporate education settings. Given the cost that are needed in the adoptions of the e-learning 2.0 technologies, it is important to clarity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e-learning 2.0 diffusion and estimate their impac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imulation model that examine the potential impacts of the support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diffusion of e-learning 2.0 technologies. Technology support factors first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s on e-learning 2.0, diffusion, and technology integration according to Hall`s concern-based adoption model. Faculty members with information concern need basic instructional design workshop and basic technology training. Those with personal concern need instructional development workshop, intermediate technology training, and success case methods. Those with management concern need learning community, technology implementation workshop,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inally, those with impact concern needs impact evaluation result, team teaching program, and best teaching practice conference. The support factors were incorporated into a simulation model. The potential impacts of the support factors were diagnosed with the model. HRD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 simulation model were suggested in terms of the tool that manage the diffusion in the organizational settings.

      • KCI등재

        브랜드 역사, 브랜드 원산지와 제조원산지 일치여부, 과시적 소비성향에 따른 선호도 연구

        송해오름 ( Hae O Reum Song ),황선진 ( Sunjin Hwang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7 패션 비즈니스 Vol.21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brand history, congruity between country of origin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f fashion brand, based on the evaluation of customers. The factorial design was constructed as a 3-way mixed design: 2(brand history: presented vs not presented) x 2(congruity between Country of Brand(COB) and Country of Manufacture (COM): congruent vs incongruent) x 2(conspicuous consumption: high vs low). A total of 302 men and women aged above 30 and living in Seoul or within the capital area, were enrolled as subjects. Of these, 26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a final total of 276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reliability analysis, three-way ANOVA, and simple interaction effect analysis with SPSS 18.0 statistics. Our results indicate that brand history, congruity between COB and CO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fashion brand preference of consumers. Furthermore, presenting the brand history resulted in higher brand preference. Second, the brand history and conspicuous consumption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brand preference. Consumers with higher conspicuous consump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rand preference than those with lower conspicuous consumption. Third, congruity between COB and CO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brand preference. However, when COB and COM were dissimilar no significant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on brand preference was observed.

      • KCI등재

        러시아어 동사 상은 분류범주인가 어형변화범주인가?

        송해정(Song Hae Jeo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6 슬라브학보 Vol.21 No.3

        Verbal aspect in Russian is a grammatical category that can be a special actualization of the semantic category "Aspect", which is universal in language. But verbal aspect in Russian has very complex characteristics unlike other grammatical categories. So, in the recent studies of aspect, various attempts have been carried out so as to prescribe the grammatical phase of verbal aspect in Russian. However, those attempts reached a limitation in that they had no other choice but to perceive verbal aspect as a intermediate category between inflectional and derivational categories. Those studies targeted aspectual pairs to set the type of grammatical categories of verbal aspect. The author, however, noticed that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had problems, as the author had already confirmed the aspectual function of verb lexemes in the prior study. As for the scope of investiga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formation of all forms created from a basic verb beyond aspectual pairs; that is, the domain of aspect-formation including the aspectual pair, Aktionsart, and separate lexemes. The author is assured that only such a macro approach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studies, and define the grammatical phase of verbal aspect in Russian from the unified perspective. The study concludes that 1) aspect of basic verbs is a classificatory category, in which the aspectual meaning is expressed by the lexical meaning of verbs, and, 2) aspectual opposition exists in the various levels of aspect-formation, and aspect-formation is a derivation by the process of word-formation due to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Lastly, by intensively illuminating the aspectual pairs, which has become a problem, it is proved that aspectual pairs can be characterized as derivation, consistent with overall aspect-formation. This study defines verbal aspect in Russian as a classificatory category having quite a degree of correlation and a means of word-formation as a characteristic. This definition can present a unified aspect-formation system harmonizing verbs of various levels that are formed from a basic verb. And, the definition can also be the one that esteems intuitive coherence between the factors of an aspectual pair, which are peculiar to aspectual pairs.

      • SCIESCOPUSKCI등재

        건강자원자의 직장항문 생리검사에서 골반저 조율장애 진단의 위양성 결과에 대한 정신사회적 인자의 영향

        송해정 ( Hae Jung Song ),이준성 ( Joon Seong Lee ),임희혁 ( Hee Hyuk Im ),홍수진 ( Su Jin Hong ),정인섭 ( In Seop Jeong ),조주영 ( Joo Young Cho ),김진오 ( Jin Oh Kim ),심찬섭 ( Chan Sup Shim ),김부성 ( Boo Sung Kim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1

        목적: 정상인에서도 직장항문 생리검사 시 간혹 골반저 조율장애로 진단되는 위양성의 결과가 나온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자원자에서 직장항문 생리검사의 결과에 대한 정신사회경제적인 면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40명의 건강자원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자원자들에게 정신건강상태 측정 및 개인력에 대하여 조사하고, 항문직장 내압검사, 풍선배출검사, 근전도 검사, 배변조영술, 대장통과시간을 측정하였다. 각 기능검사 결과로 골반저 조율장애를 진단함에 있어 정상군와 비정상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정신사회적인 인자들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안정시와 압착시의 항문직장각의 차이가 15도 이하인 군과 15도를 초과하는 군을 비교하였을 때, 15도 이하인 군에서 신체화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나머지 결과는 정신사회적 인자와는 차이가 없었다(p=0.092). 골반저 조율장애를 보인 군이 정상으로 관찰된 군에 비해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5). 또한 골반저 조율장애를 보이는 군에서 정상으로 관찰되는 군에 비해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사람이 더 많았다(p<0.05) 결론: 항문직장 생리검사에서 정신건강적인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며 사회경제적인 요인은 배변조영술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나 이에 대해서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False positive results are common in the diagnosis of pelvic floor dyssynergia (PFD) using anorectal physiologic studies (ARP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false positive results of ARPS for the diagnosis of PFD in healthy volunteers. Methods: Forty healthy subjects were enrolled. All subjects underwent a complete self-rated inventory assessing psychological distress (SCL-90-R), personal history, anorectal manometry, balloon expulsion testing, electromyography, video-defecography and evaluation of colonic transit time. We compared a variety of psychosocial parameters between subjects with abnormal and normal results of the ARPS. Results: There was a tendency to have a more somatizing personality in subjects with changes in the anorectal angle less than 15 degrees during straining compared to subjects with a change in the anorectal angle more than 15 degrees (p=0.092). However, there were no other differences in psychosocial factors when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anorectal physiologic study. A group with suggestive pelvic floor dyssynergia by video-defecography had more college graduates than the normal group (p<0.05). Also, this group had a greater income than the normal group (p<0.05).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do not affect the results of ARPS. However, socioeconomic factors affect the results of defecography in the diagnosis of PFD in healthy subject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48-54)

      • KCI등재

        들뢰즈의 감각론의 관점으로 본 아이리스 반 헤르펜 패션에 관한 연구

        송해인 ( Haein Song ),김진영 ( Jinyoung Kim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20 패션 비즈니스 Vol.24 No.4

        Just as the name ‘aesthetics’ implies, the meaning of ‘aisthesis’ or ‘sense' in Greek,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modern social design. Gilles Deleuze emphasized sensory expression over the rational side of the body, and argued for sensory theory, which is the theory of how painting produces new se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sensory theory of Deleuze, which has given new value to the senses, apply it to analyze the body expression method shown in the Iris van Herpen collection, and derive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his sensory theory, Deleuze argued that the senses can be expressed by the embodiment of force and rhythm, and one can only create art through the senses. To develop one's philosophical logic through Bacon's painting, we divided it into Hysteria, Cops sans organs, Diagram, Becoming, and Paired figures. Based on these analyses, the visualization of the senses in Iris van Herpen fashion resulted in hysteria, organ-free body, diagrams, and heterogeneity combinations. Analysis of the method of expression revealed rhythmicity, atypicality, scalability, and reproducibility as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lying Deleuze's sensory theory to access experimental Iris van Herpen's fashion could confirm that there was an open system's accessibility. Deleuze's sensory theory, which has given a new value to the senses, will further help to understand modern fashion design in a wide and diverse way and discover the intrinsic value within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