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川端康成の『雪國』の語彙考察

        宋正植(송정식)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1

        어휘연구는, 대상어휘의 선정과 어휘조사, 그리고 조사 결과에 근거한 어휘분석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중 가장 시간이 걸리는 부분은 어휘조사의 단계이다. 현대에는 컴퓨터 등의 도움으로 방대한 양의 어휘조사가 가능하게 되었고, 조사한 데이터의 분석 및 이용에도 대단히 편리해졌다. 하지만, 컴퓨터는 기계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잘못 처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조사자의 확인이 필수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어휘조사의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등에 관해서도 조사자는 필요한 지식을 반드시 익혀 둘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카와바타야스나리(川端康成)의 작품인 『雪國(설국)』에 사용된 어휘를 어휘연구의 한 방법인 수량적 어휘조사를 통해, 『雪國(설국)』어휘의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고찰 결과를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雪國(설국)』어휘에는, 전체어수가 45,948어, 개별어수가 4,417어였다. 그리고 한 단어 평균 사용 빈도는 10.40이었다. 또한 『雪國(설국)』어휘의 사용율 상위 30위까지의 항목 중에서는, 인물을 나타내는 「시마무라(島村)」와 「고마코(駒子)」가, 각각 379회와 270회 사용되었으며, 사용율 18위와 25위에 랭크되었다. 이들 2단어는 『雪國(설국)』작품의 키워드어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은 조사로 사용되는 「の」로 조사한 결과, 2,656회 사용되었으며 가장 높은 사용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雪國(설국)』어휘에 사용된 기호 중에서는, 쉼표(、)와 구점(。)이 각각 2,590회와 2,566회 사용되었으며 전체의 문장의 평균의 길이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분노표현방식과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송정은,이정숙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15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10 No.2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ger expression modes of mother and ego-resilience of child on child’s psychological well-beings. Participants were 243 elementary students(4th to 6th graders) and their mothers who reside in Kyunggi provinc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items from the STAXI-K(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developed by Spielberger(1997), the ego-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Block and Kremen(1996),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developed by Ryff(1989). It was shown that maternal anger-in and anger-out, which are different modes of anger expression, were correlated negatively with aspects of child’s psychological well-beings. The study also found that ego-resilience of child h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very aspect of child psychological well-being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trollability over environment, goals for life, and self-acceptance). Give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modes of mother are likely to influence to decrease and child’s ego-resilience seems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child’s psychological well-beings.

      • KCI등재

        문화유산 자원을 활용한 장소브랜딩: 중국 운남의 〈인상리장〉을 사례로

        송정은,이병민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2

        This research aims to discuss the impact of <Impression Lijiang> on regional development as a place brand and glocal heritage.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and influences of local heritages in the globalization era as a key component of place branding, this study explores how <Impression Lijiang> is used to develop a place branding strategy for Lijiang. The research methods are both a literature review and a field research related to Lijiang and its culture. Also, the resources from news, internet, and YouTube are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Impression Lijiang>. The performance has been attracting tourists from both Chineses and foreigners and contributed to increase the economic profits of local tourism industry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identities of Lijiang. Also, in the process of preservation and recreation of cultural heritages of Lijiang such as <Impression Lijiang>,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on-going interactions between the residents and global tourists highly influence on a transition from place marketing to place branding. By applying local cultural heritages to place branding strategies, the regional values of Lijiang strengthen its place identity from a place of preserving a minority’s heritage to that of flourishing cultural exchanges and hybridization from the world. 본 연구는 리장의 대표적 문화자원인 〈인상리장〉이 장소브랜드와 글로컬 헤리티지로서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력을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따른 로컬 헤리티지의 변화와 영향력을 장소브랜딩의 주요 요소로 인식하고, 〈인상리장〉콘텐츠가 장소브랜딩 전략을 위해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살펴보려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현지 관찰 조사를 바탕으로 리장시 웹사이트 및 〈인상리장〉 관련 언론보도를 포함한 기타 인터넷 자료와 유투브 동영상을 활용하였다. 〈인상리장〉의 흥행은 경제적 효과 외에도 리장의 장소 아이덴티티의 매력을 높였다. 리장고성과 〈인상리장〉이 보존 및 활용되는 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역민과 글로벌 관광객 간의 끊임없는 문화적 교류는 리장의 장소브랜딩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유산을 장소브랜딩에 활용하면서, 리장의 지역적 가치는 나시족문화를 계승하는 공간뿐만 아니라 세계인이 함께 보존하며 교류하는 장소로 그 가치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outh Korean adolescents

        송정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5 No.-

        Recent research studies show that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MBI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have a positive impact on cognitive and noncognitive functioning, which are related to improved academic performance. Although mindfulness is a burgeoning field of education, no studies elaborate the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 South Korean context.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on a sample of 877 South Korean adolescents aged 12 to 19 years from five schools in two South Korean cities. All participants completed measures on mindfulness and provided their GPA as an indicator of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indful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conducting further research on the positive influence mindfulness ha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adolescents. By providing a conceptual study of mindfulness, the researcher hopes instruments can be developed and questions concerning mediating role and mechanisms of action can be investigated that will help enhance the continuation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지연행동 관련 변인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송정은,김희진,Song, Jung-Eun,Kim, Hee-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지연행동에 관한 연구를 메타 분석하여 지연에 미치는 변수들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학술지 49개, 석사 64개, 박사 1개 등 총 114개 연구에서 312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억제변인에서 154개, 유발변인에서 158개 총 312개 사례(k)의 효과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연행동의 억제변인을 보면, 평균 효과크기는 .333이었으며, 유발변인의 평균 효과크기는 .215이었다. 자기통제 -.587과 성실성 -.548로 지연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미래지향 시간관, 자율규제, 자기효능, 메타 인지전략, 학문적 자기효능, 자기조절, 적극적 스트레스 극복 스타일 등의 변인이 중간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지연행동의 효과크기는 .369이었으며, 학업 지연행동의 효과크기는 .308로 일반 지연효과가 학업 지연효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지연행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통제'와 '성실성' 변인 및 '시간관리',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조절' 등 지연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에 대한 관리 및 자기효능감 향상, 유발변인의 극복을 위한 개입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ariables that affect procrastination through a meta-analysis of studies on theses published in journals. A total of 114 studies analyzed 312 papers,finding a total of 312 effects comprising 154 protective and 158 triggering variables. As a result, the average effect of protective variables was 0.333, and the mean effect of triggering variables was 0.215. Self-control (-0.587) and conscientiousness (-0.548) variables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procrastination. Time management, time perspective, autonomous norms, meta-recognition strategies, academic self-efficiency, self-control, and active stress coping style variables have a moderate impact. The effect of general procrastination was 0.369, and the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0.308, indicating that procrastination in generalis greater than academic procrasti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prevent procrastination that, in addition to self-control and conscientiousnes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ocrastination(such as time management, time perspective, and self-regulation)whichneeds to be managed.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plans to improve self-efficacy and to control triggering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