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관한 영유아교사의 요구도 분석

        송윤나 ( Song Yun-na ),김새로라 ( Kim Sae-lo-ra ),박희숙 ( Park Hee-su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4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관한 요구도를 분석하고 요구에 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시와 C도 소재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 203명이며, 분석 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분석,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 교사들은 민주적인 학급경영의 하위 영역 중 교사와 영유아와의 관계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관한 하위영역별 요구도 분석결과 ‘교육과정 운영’ 영역에서는 영유아의 관심사반영, 교육과정 개발·편성·운영,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수·학습자료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영역에서는 영유아의 필요에 의한 환경 재구성, 유아의 흥미를 고려한 물리적 배치, 영유아의 의견에 따른 작품전시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와 영유아의 관계’ 영역에서는 교사의 지시적인 통제 지양, 영유아와 동등한 의견교환, 함께 만드는 학급규칙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건강과 안전’ 영역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안전교육 요구, ‘지역사회 연계 및 협력’ 영역에서는 자율적인 직무수행, 동료 교사와 협의, 자율장학,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for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determine priorities for need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D City and C Province. The analysis method used SPSS 22.0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t-test, Borich deman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highest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mong the sub-area of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sub-area for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are as follows. In the area of ‘curriculum operation’, needs were high in order of reflecting th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developing·organizing·operating th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the area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y management’, needs were high in order of reconstruction of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needs of young children, create a physical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exhibit the children's works reflect their opinions. In the area of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needs were high in order of avoidance of direct control by teachers, exchange of opinions equally with young children, and class rules created together. In the area of 'Health and Safety', needs were high for safety education in daily life. in the area of 'Community connection and cooperation', needs were high in order of Autonomous job performance, consultation with fellow teachers, self-supervision, and community-related programs.

      • KCI등재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송윤나(Song, yun-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지역에 소재한 B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6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를 각각 28명씩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통해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을 구성한 후 실험집단에서는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통제집단에서는 누리과정에 제시된 노래 부르기 활동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열구 결과,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은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공간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공간능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공간능력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건반악기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on young children’s ability to express music and spatial ability. the subjects were 56 children aged 5 attending B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 to an experimental group of 28 and a control group of 28.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were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whereas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singing activities based on Nuri course. pre-and post-test data between the two group were analyzed with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young children’s ability to express music and spatial ability.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had a positive effects on promoting children’s ability to express music and spatial ability.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inging activities using keyboard instrument has educational value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help young children improve their ability to express music and spatial ability.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운영사례집의 미술놀이 내용분석: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송윤나 ( Song Yun-n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art-related play and art education content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s play activity case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of life. The analysis criteria was derived from the philosophy and contents of art education of life, an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respect to the play activity casebooks in five volume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The analysis criteria consisted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reative expression utilizing SCAMPER, art based on digital technology, aesthetic inquiry,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art production.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107 out of 150 play activity case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s play activity casebooks consisted of art-related play activities associated with art education for life. Second, the most frequent and least frequent contents of art education for life were art production, and art history and art based on digital technology, respectively.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explores art-related play activities involved in art education for life as demonstrated b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d play activity casebooks. Furthermore, it can also suggest art-related play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hich would need to be supplemented.

      • KCI등재

        Freudenthal의 수학화 이론에 기초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 분석

        송윤나(Song, yun na),박희숙(Park, hee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의 본질적 특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기초로 수학을 학습하며 지도하는 방법을 구한해낸 Freudenthal의 수학화 이론을 기초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분석준거를 마련하고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에 제시된 696개의 활동을 대상으로 수학화 유형, 수학화 과정, 수학화가 나타나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수학화한 수학내용은 ‘기수와 서수’였으며, 가장 낮은 빈도로 수학화한 수학내용은 ‘패턴 대수’였다. 또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수학화 유형은 유아가 직접 경험하는 실세계 또는 유아의 상상을 통해 현실적으로 느껴지는 환상적인 세계 속에서 다양한 수학내용을 도 출해내는 수평적 수학화는 나타났으나 수평적 수학화를 통해 도출한 수학내용을 보다 정교화하거나 발전적인 형태로 나아가는 수직적 수학화는 나타나지 않은 경우였다.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수학화 과정은 ‘양적화하기’ 였다. 또한 수학화가 가장 많이 나타난 상황은 비 허구적인 상황이었으며, 일상적인 이야기 나누기 중심의 다양한 경험적 활동 중에 수학화가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수학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추후 개정될 누리과정 지도서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는 점에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nuri curriculum teacher s guidebook for age 5 based on Freudenthal s mathematization theory which emphasizes he mathematical education method through mathematization. For this purpose, analysis criteria were set up through analysis of advanced research and this study analysis the 696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about the mathematization type, the mathematization process, and the mathematized Situ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math content i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as cardinal and ordinal and the least analyzed math content was pattern algebra. also The most common type of mathematization i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as horizontal mathematization, which elicited various mathematics contents through the real world directly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or felt realistic in a fantastic world. but it was not connected the vertical mathematization.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the mathematization process was ‘quantified’, and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mathematized situation was a variety of experiential activities centered on daily conversation in the non - fictitious situation.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and it can be presented as useful basic data of the nuri curriculum which will be revised in the futur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사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송윤나(Song, YunNa),박희숙(Park, Hee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을 위해 현직 유아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D지역과 충남의 G지역을 중심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유아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유아교육기관 17개원을 대상 으로 2017년 3월 10일부터 4월 1일에 걸쳐 배부 및 회수되었으며, 2017년 4월 2일부터 4월20일까지 설문지의 결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의 결과 분석은 SPSS 14.0을 이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의 파악 및 연구문제를 알기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 준비를 위해 가장 먼저 개혁해야 할 분야는 ‘교육’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 기반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유아의 미래 산업 준비’를 우선으로 꼽았다. 셋째,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교육을 하고 있지 않았으며 넷째, 4차 산업혁명 기반 교육을 위한 해결과제로는 ‘교수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보급’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 번째로,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roduced to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TV , and the first area to be reformed was educ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cited preparation of future industry for children as the first reason for the neces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appropriate education during children as a reason not necessary. Third, mo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id not provide education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ewer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er training related to fourth industry. Fourth, the solu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education is that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were high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ppeared. Fifth, mo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nswer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teacher education. Conceptual and Understanding education was the most preferred education content in teacher education, and practical education focused on activity cases was preferred as education method.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영유아 사회성 발달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송윤나 ( Yunna S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영유아 사회성 발달 관련 국내 연구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 9월 20일까지 발표된 그림책을 활용한 영유아 사회성 발달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자료 95편을 SPSS 23.0으로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2001년 이후로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둘째,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물은 모두 양적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수집한 연구물은 대부분 유아와 영아를 연구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넷째, 2008~2009년부터 영유아 사회성 발달 연구에 다양한 그림책 유형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 연구에는 그림책 연계 미술활동이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여섯째, 수집된 연구물에는 정서발달과 관련된 사회성 발달 영역이 많이 연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 진행될 그림책을 활용한 영유아 사회성 발달 연구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95 Korean journal research data related to this research purpose published from 2000 to Sept. 20, 2021. and we analyzed the collected studies with SPSS 23.0 and presen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since 2000-2001. Second, research data were have studied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ird, research subjects of the collected research were mostly young children. Fourth, From 2008 to 2009, various types of picture books have been used in the study. Fifth, Art activities linked to picture books have been widely used to study. Sixth,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related to emo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 건강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0~2019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송윤나(Song, YunNa),송영인(Song, YoungIn),박희숙(Park, Hee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건강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추후 진행될 유아 건강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 7월 10일까지 발표된 유아 건강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 자료 185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건강교육 연구는 2014년에서 2015년까지 연구량이 급증하였으나 2016년 이후부터 최근까지 점차적으로 연구량이 감소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유아 건강교육과 관련 연구는 기초연구가 응용연구보다 많이 연구되고 있었다. 셋째, 유아 건강교육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 보다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유아 건강교육 관련 연구는 인적 대상 연 구가 물적 대상 연구보다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유아 건강교육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앞으로 개발될 유아 건강교육 활동 및 프로그램의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in Korea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research chronology,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frequency and percentage by research subject by examining 185 Korean journals related to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published from 2010 to July 2019.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increased rapidly from 2014 to 2015, but it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2016. Second, there were more basic researches conducted than applied researches on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Third, more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being conducted than qualitative researches on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Fourth, more researches on human subjects were conducted than physical subjec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This study is valuable with the perspective that it can provide directions on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and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health education activities and program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대한 인식과 실태

        송윤나(Song, Yun-Na),김새로라(Kim, Sae-Lo-Ra),박희숙(Park, Hee-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현직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C도를 중심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영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2020년 2월 10일부터 2월 29일까지 걸쳐 배부 및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Scheffé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분석한 결과, 영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근무 기관 설립유형에 따라 민주적인 학급경영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교사의 학력, 근무유형, 근무기관 설립유형에 따라 민주적인 학급경영 실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민주적 학급경영에 관한 인식과 실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급경영의 하위영역인 교육과정 운영,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교사와 영유아의 관계, 건강과 안전지도, 지역사회 연계 및 협력에서 실태보다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about the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To this end, it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203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round D City and C Provinc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em and returned from Feb. 20 to Feb. 29, 2020. In the analysis method used SPSS 22.0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é analysi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cognition of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was revealed according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type of establishment of a working institution. In the actual con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work, and type of institution establish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iculum operation, which is a sub-area of classroom managem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y man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health and safety guidance, and community connection. All in the area of cooperation, the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e actual situ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요소 분석

        송윤나(Yun Na Song),박희숙(hee suk Park)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5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활동의 STEAM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STEAM 현황을 알고, 이에 적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을 돕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발행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에서 제시된 총 696개의 활동으로, STEAM 활동을 알아보고 STEAM 요소(내용요소 및 지향요소)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STEAM 활동이 과학(S), 기술·공학(T/E), 수학(M)과 같은 이공계 영역간의 융·통합 형태보다는 예술(A)과 이공계 영역간의 융·통합 형태로 주로 나타났으며 5세 누리과정의 STEAM 활동은 결합되는 내용요소간의 수가 많을수록 적게 나타났다. 둘째, 5세 누리과정의 본 활동이 STEAM 내용요소간의 융·통합 형태인 STEAM 활동으로 제시되기 보다는 단순히 분과적인 형태로 주로 나타났으며 누리과정에서 STEAM 내용요소 가운데 예술(A) 영역이 고르게 제시되기 보다는, 언어예술과 미술예술 활동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5세 누리과정 중 STEAM 지향요소에서 창의적 설계의 분석결과 ‘지식의 산출과정’은 ‘작품·제품의 산출과정’과 비교했을 때 ‘지식의 산출과정’에 편중되어 나타나고 있었으며 5세 누리과정 중 STEAM 지향요소에서 감성적 체험의 분석결과 조작적 경험, 브레인스토밍, 토의활동, 바깥활동의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 STEAM factor of activity proposed by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 book for ages of 5 years old. This study establish research programs as follows: First, what is activity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Second, what is element factor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Third, what is aim factor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This study investigate STEAM activity for 696 activities of 〈activity method〉 proposed by 11th book of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 book] for ages of 5 years old and analyze how STEAM factor such as content and aim factor work. We divide research problems as depending on research problem and comput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EAM activity proposed by Nuri curriculum appears as the combination of art(A), science(S) and technology/engineering(T/E) rather than that of only science and tedmology/engineering. Second, the more the number of combinatorial content factor is, the less STEAM activity appears. Compared to M*A type which appear most frequently, S*T/E A*M type which is combined all STEAM factor appears 27 times less. Third, content factor appear simply as a separate form rather than as a combination form in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Fourth, art(A) element of content factor is not fairly presented. Art(A) element of physical and musical factor tend to appear less than that of linguistic and fine artistic factor. Fifth, when Greative Design of STEAM aimed factor is considered, compared to the result as a work and a product, there is a tendency to appear as that of a knowledge. Sixth, the order of frequency of appearance is as follows: practical experience, brainstorming, discussion activity, and outdoors activity.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의 특징 내용분석 -민주적인 교육과정과 운영방식을 중심으로-

        송윤나(Song, Yun-Na),김복화(Kim, Bok-Wha)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교육과정과 민주적인 유치원 운영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부와 보건복지부(2019)에서 발간한 3종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 지원자료이다.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는 민주적인 교육내용(학습자 중심 교육내용, 민주시민 교육내용),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교사와 유아의 참여⋅협력형 교수학습 과정,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 운영방식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는 구성원의 유치원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 참여(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유아, 구성원 전체), 협력적 교육공동체 기반 교육과정 지원(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은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민주적인 교육내용 순으로 빈도가 높게 제시되어 있었다.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 운영방식에 관한 내용은 협력적 교육공동체 기반 교육과정 지원, 구성원의 유치원 운영 의사결정 참여 순으로 빈도가 높게 제시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될 누리과정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mocratic Kindergarten’ presented i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guidelines. We analyzed the features of a democratic curriculum and ways to manage the democratic early childhood curriculum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Three guideline books of the Nuri-curriculum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were evaluate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 democratic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the guideline books included ‘the democratic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curriculum co-created by teachers and children’. The other criteria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democratic curriculum management included the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community-based cooperative support for the curriculum manag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mocratic curriculum content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were present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order of ‘the curriculum co-created by teachers and children’ and ‘the democratic educational contents’. Second, the management of the democratic curriculum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were present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order of ‘the community-based cooperative support for the curriculum management’ and ‘the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