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대생의 향수 소비성향이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송연주 ( Yeon-ju Song ),이인희 ( In-hee Lee ) 한국미용학회 2024 한국미용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fume consumption propensities on their brand attitudes and brand equity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essential to establish a perfume brand marketing strategy. From August 14 to 28, 2023,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had been conducted with female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any purchase of perfume. A total of 316 data were used for a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ffec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consumption propensities on their brand attitudes towards perfume, more propensities for resource saving, planned purchase, and impulse buying-which are sub factors of consumption propensities-indicate higher brand attitudes. Second, regarding the effects of their consumption propensities on their brand equity for perform, more propensities for planned purchase, resource saving, and impulse buying indicate higher brand equity. Third, the impulsive buying tendency was the highest in the consumption tendency, and the resource saving tendency and planned buying tendency were high in the brand equity and the brand attitude.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will be able to help to make reliable brand products in consideration perfume consumption propensities and to activate the perfume market.

      • KCI등재

        대학등록금에 대한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대졸자의 직업가치 추구

        송연주(Yeonjoo Song)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대학등록금에 대한 부모의 경제적인 지원이 대졸자의 직업가치 추구와 연관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들은 대학등록금 조달 방법이 대학생의 학업 성취 및 이후 노동시장 성과와 연관이 있음을 밝혔으나, 그 것이 대졸자의 직업가치 추구와 갖는 연관성은 주로 간과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졸업 시기의 직업가치관이 향후 진로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었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직업가치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직접적인 경제적 지원의 효과를 탐구하였다.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를 활용하여 첫 직장 지원 시 1순위로 중시한 직업가치를 내재적 가치, 외재적 가치, 그리고 일-생활 균형 가치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부모의 대학등록금 지원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로부터 대학등록금의 100%를 지원받은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직업의 자아실현 차원의 보상을 중시하는 내재적 가치 중시 집단에 비해 직업의 사회경제적 차원의 보상을 중시하는 외재적 가치 중시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대학생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직접적인 경제적 지원이 세대 간 계층 재생산에 있어 유의미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financial support for college tuition and college graduates’ work value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funding sources for college are associated wit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abor market outcomes, its relationship with work values has not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recognizes that work values at the time of graduating from college influence students’ job decisions. Also, parental financial support for college tui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is study since it reflects how children receive parental economic resources. Using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arental financial support for college tuition on college graduate’s work values when making the first job decision after gradua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receiving parental financial support for college tuition increases the odds of prioritizing extrinsic work values(pay, prestige, etc.). This pattern suggests that parent’s financial assistance for children has implications for children’s job values, which may strengthen intergenerational occupational stratification.

      • KCI등재

        폐경기 여성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송연주(Song, Yeon Ju),이영숙(Lee, Yeong suk)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1 사회융합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들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에 거주하는 45~60세의 폐경 증상을 가진 여성 151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15일부터 10월 22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폐경 증상 정도는 44점 만점 중 평균 11.44점으로 중등도 수준이었고, 자아정체감과 노화불안 수준은 5점 만점 중 평점 평균이 각각 3.41과 3.03점이었다. 노화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폐경 증상(β=.28, p<.001)과 자아정체감(β=-.28, p<.001)이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35%였다. 따라서 폐경기 여성의 노화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폐경 증상 완화와 긍정적 자아정체감 확립 전략을 포함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 influencing aging anxiety in menopausal women. The subjects were 151 women (between 45 and 60 years of age) having physical, psychological menopause symptoms who were livig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5 to October 22,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regression with SPSS/WIN 25.0 program. The subjects scored an average of 11.44 points for menopause symptoms, in the moderate range, with an average of 3.41 points and 3.03 points for ego-identity and aging anxiety, respectively.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nopause symptoms(β=-.28, p<.001) and ego-identity(β= -.28, p<.001) were verified as factors affecting aging anxiety in menopausal women. These factors accounted for 35% of the aging anxiety of menopausal women. The results indicate that menopause symptoms and ego-identity influence aging anxiety in menopausal women. It woul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aimed at reducing aging anxiety of menopausal women.

      • KCI등재

        분리개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의 이중매개효과

        송연주(Song, Yeonjoo)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개입 방안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분리개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이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성인 남녀 44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고, 성별과 결혼 여부에 따른 다집단분석을 추가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분리개별화는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에, 정서조절은 자기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리개별화와 자기수용은 관계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모형 검증 결과, 분리개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분리개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에 의한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동등성 검증 결과, 본 연구의 최종모형은 성차와 결혼 여부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의 분리개별화가 자기수용을 높여 관계중독 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분리개별화는 정서조절 수준을 높임으로써 자기수용을 통해 관계중독적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A total of 448 adults, aged between 20 to 50, was recrui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emotional regulation, self-accept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Second, we found that self-acceptance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Moreover,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had a dual-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rd,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single persons with a healthy resolution of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ss enhanced the degree of self-acceptance than married ones. This study confirmed that separation-individuation of adults can not only reduce the level of relationship addiction by increasing self-acceptance but also can reduce symptoms of relationship addition through self-acceptance by increasing the level of emotional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성인기 관계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송연주(Song Yeon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성인기 관계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번 이상 연애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 465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 척도, 불안 애착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관계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은 불안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및 관계중독 성향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불안애착을 거쳐 관계중독 성향에 간접 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완전매개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 역시 정서적 외상과 관계중독 성향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불안애착은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관계중독 성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이 관계중독에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아동기 정서적 외상은 애착 형성을 방해하고 이는 수치심을 내면화시킴으로써 관계 중독적 성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중독과 관련하여 상담에서 갖는 시사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nxious attachment and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For this study, self-report data was collected from 465 men and women for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xious attachment, internalized shame, and relationship addic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examine the hypothe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xious attachment, internalized shame, and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Secon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was fully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as well as anxious attachment. Third, the association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was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required to consider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xious attachment and internalized shame in developing the progra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relationship addic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ADHD 아동의 또래관계 어려움에 대한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이해

        송연주(Song, YeonJoo),이동훈(Lee, DongH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관점을 토대로 ADHD 아동의 또래관계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학 이론에 근거하여 ADHD 아동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개인적 특성,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ADHD 아동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으로는 ADHD 하위유형, 공격성, 인지적 오류 및 정서지각 능력의 결함이 있다. 미시체계에는 또래의 편견,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와의 상호작용, 학교풍토가 ADHD 아동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해당되었다. 중간체계에는 가정과 학교 간 관계가, 외체계에는 미디어에 노출이, 거시체계에는 사회적 편견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해당되었다. 이혼이나 재혼과 같은 가족 구조의 변화 역시 시간체계로서 ADHD 아동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합하면, ADHD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해서는 아동의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아동을 둘러싼 맥락적 요인들이 함께 다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생태학적 관점에서 개입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for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ADHD within the context of Bronfenbrenner’s ecological framework.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this review integrated empirical findings on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ADHD within the context of their characteristics,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macrosystem and chronosystem levels. Subtypes of ADHD, aggression, cognitive or emotional recognition deficit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DHD. Parenting style, negative peer climate, teaching styles and school climate were found to have impacts on their microsystem. The parent-peer or parent-teacher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impacts on mesosystem. Exposure to media violence have impacts on exosystem. Cultural norms and stigma have impacts on macrosystem. It was also noted that changes in family structure have significant impacts on chronosystem of children with ADHD. Based on the review,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ccordingly.

      • KCI등재
      • KCI등재

        성찰일지 분석을 통한 협동학습 경험 연구

        송연주(Yeon-Joo Song),이은주(Eun-Ju Lee),김민정(Min-J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2

        본 연구는 협동학습 참여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이자 대안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2학기와 2022년 1학기 D대학에서 운영되는 2개의 전공선택 과목에 참여한 10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협동학습에 대한 걱정과 부담’, ‘협동학습을 통한 개인의 성장’, ‘협동학습을 통한 팀의 성장’, ‘협동학습으로 인한 성과’로 구분되었다. 첫째, 학습자들은 협동학습에 참여하기 이전 ‘걱정’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둘째, 협동학습에 참여하며 개인적으로 ‘사고와 지식이 확장’되고 ‘태도가 변화’하였으며, 셋째, ‘하나의 팀’이 되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으나, ‘팀 내 갈등을 경험’하며 ‘실패에서 성공을 배우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동학습으로 학습자들은 ‘자신감을 획득’하고, ‘학습 효과가 증대’하였으며, 무엇보다 ‘새로운 과제수행법을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협동학습이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법으로서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by analysis of reflection journals. To do this, 107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wo major selective subjects of D university were recruited. As a result, it was divided into 4 major categories and 11 sub-categories. The main categories were ‘anxieties and concerns in cooperative learning’, ‘personal growth during the cooperative learning,’ ‘growing as a team during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accomplishment in the cooperative learning.’ First, ‘anxieties and concerns in cooperative learning’ was classified into ‘difficulties’ and ‘fear’. Second, ‘personal growth during the cooperative learning’ included to ‘expand thoughts and knowledge,’ and ‘exchange attitudes’. Third, ‘growing as a team during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classified into ‘become a team,’ ‘conflict in a team,’ and ‘learning through failure.’ Lastly, ‘accomplishment in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divided into ‘acquire confidence,’ ‘enhance academic effects’ and ‘acquire a new way of learning’. Pedagogical implication is discussed.

      • KCI등재

        학업성취도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 차이

        송연주(Song, Yeon-Joo),이동훈(Lee, Dong-Hun),함경애(Ham, Kyung-Ae),이상수(Lee, Sang-So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본 연구는 초, 중학생의 학업성취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21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877명과 20개의 중학교 1, 2, 3학년 692명의 학생들과 학생의 담임교사들이다.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대한 지표는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교에서 지원받는 급식비 지원 유무를 사용하였다. 학생은 인터넷 중독 성향 척도에 응답하였고, 교사는 학업성취도 수준과 급식비 지원을 묻는 문항 및 학교적응 척도에 응답하였다. 학업성취도 수준은 우수집단과 보통이하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업성취 우수집단과 보통이하집단 간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급식비 지원집단과 미지원집단 간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지원 집단은 학업성취 우수/급식비 지원 집단, 학업성취 우수/급식비 미지원 집단 및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미지원 집단보다 학교적응을 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성향은 학업성취 우수/급식비 미지원 집단이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지원 집단 및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미지원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의 인터넷 중독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의 상호작용에 따라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and home economic status. Home economic status was measured by free school meals. For this study, self-report data was collected from elementary 4-6t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measuring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eir class teachers also completed checklists on academic performance, free school meals, and school adjustment.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bove-average and low-aver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and whether to apply for free school meals or no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two-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n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between the above-average and the low-average group of academic performance groups. Second, differences on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whether to apply for free school meals or not were revealed. Third, those who were in the low-average group of academic performance with receiving free school meals were more likely to have on school maladjustment problems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compared to other group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home economic status.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교교육 붕괴 현상의 생태학적 탐색을 통한 극복방안 모색

        송연주(Song Yeon joo),이상수(Lee Sang 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4

        학교교육 붕괴 현상이 부각되면서 학교가 교육공동체로 회복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복 운동에도 불구하고 학교교육을 둘러싼 여러 부정적인 현상들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고 구성원들 간의 갈등은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공동체로의 움직임을 저해하는 요소를 찾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학교교육 붕괴 현상에 대한 원인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체계별로 재조명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학교가 교육공동체로 회복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였다. 학교교육 붕괴는 단 하나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기에 생태학적 관점에서 이를 재조명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학교교육 붕괴의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 구성원들은 대부분 자신들보다 다른 구성원에게 학교교육 붕괴의 원인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었고, 둘째, 학교교육 붕괴 현상은 어느 한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 결과로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사회문화적 요인이나 이념적 갈등과 같은 거시적 요인의 중요성이 제기되었으며, 넷째, 학교교육 붕괴 현상이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관련성으로 인해 나타나긴 하지만 각 요인들의 개별적 특성에 의해서도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학교교육 붕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평적인 관계 개선과 더불어 순환적인 요인에 대한 고려가 뒤따라야 함과 동시에 학교교육 아래 심각하게 내재된 구성원들 간의 불신과 대립 양상을 해결하여 진정한 공동체적 협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 붕괴 현상의 극복 방안으로 구성원들 간의 신뢰 회복을 제안하였다. 학교교육은 대부분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공동체 내 구성원들 간의 관계적 신뢰가 형성된다면 지금까지 학교를 교육공동체로 변화시키기 위해 구안되어온 여러 모형과 대책, 방안의 실행과 성공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신뢰 회복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 구성원들 각자의 기본 역할 인식에서 비롯된 상호존중,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의사소통 능력 증진, 따뜻한 돌봄을 통한 정서적 유대감 증진, 성실함을 근거로 한 도덕성 배양, 구성원 각자의 능력 배양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come the crisis in school education and to consider direction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in school. The crisis in school education needs to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Bronfenbrenner’s ecological framework. The ecological approach provides a framework that helped researchers to understand problems in systematic interac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establishing an educational community, those who were related with school education directly or indirectly showed strong relationships with a collaborative effort. Second, as findings of the ecological analysis on the crisis of school education, the crisis was mainly caused by mistrust and oppositions among school members, and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not based only on a single factor. In addition, the crisis in school education can arise from a macrosystematic factor, such as a social/cultural factor or ideology, which appeare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to alleviate the crisis and to build an educational community, school should create an educational culture in which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ve endeavor are valued, building trust among community members. For example, mutual respect, open communication upon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making emotional communicative relationships, developing morality and ability are needed. According to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