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ffect of Working Pressure on Anode Characteristics of Tin Oxide Thin Films

        손현철,문희수,성상현,박종완,Son, Hyeon-Cheol,Mun, Hui-Su,Seong, Sang-Hyeon,Park, Jong-Wan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1999 한국재료학회지 Vol.9 No.1

        본 실험에서는 리튬 이차 박막전지의 음극물질로 주석 산화물 박막을 RF magnetron sputter을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RF power를 2.5w/$\textrm{cm}^{2}$로 고정시키고, 공정압력을 5mtorr에서 30mtorr까지 변화시키면서 막의 결정성 및 응력 변화, 굴절률 등을 측정하여 주석 산화물 박막의 음극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착 속도는 $125{\AA}$/min에서 $58{\AA}$/min까지 감소하였으며, 결정 구조는 (110)면에서 (101)면과 (211)면으로 천이됨을 보였다. 또한 막응력은 공정압력 20mtorr를 기준으로 압축응력에서 인장응력으로 바뀌었고, 굴절률도 1.93에서 1.79로 감소하였다. 공정압력변화에 따른 충방 전 시험결과 공정압력 5mtorr에서 가장 큰 가역적 용량($483.91\mu\textrm{Ah}/\textrm{cm}^{2}-\mu\textrm{m}$을 보였으나, 사이클이 진행될수록 사이클 퇴화가 점차 증가하였고, 10mtorr에서는 가역적 용량 및 사이클 특성 모두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정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막의 밀도의 증가로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활물질의 양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사이클 특성은 막응력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된다. Tin oxide films as an anode layer for microbatteries were deposited by using rf magnetron sputtering. Characterization of the films was carried out in terms of working pressure in the range of 5~30 mtorr. Rf power and substrate temperature during deposition were fixed at 2.5W/$\textrm{cm}^2$ and A.T., respectively. The crystal orientation of $SnO_2$films was changed from (110) to (101) or (211) with the increasing working pressure. Refractive index and film density of the films also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working pressure. The $SnO_2$ thin film formed under optimum conditions was found to have a reversible capacity of 446.9$\mu$Ah/$\textrm{cm}^2$-$\mu\textrm{m}$ and good reversibility when the working pressure was fixed at 10mtorr. As the working pressure decreased, film density increased. It was thought that the capacity of $SnO_2$film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active materials which can react with Li electrochemically. Furthermor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anode material was also influenced by film stress.

      • Kinect와 Unity3D를 이용하여 제스처 기반 NUI를 적용한 3D 재활 치료 시스템

        손현호 ( Hyunho Son ),구동현 ( Dong-hyeon Koo ),정상 ( Sang-cheol Jeong ),이영만 ( Young-man Lee ),이상민 ( Sang-min Lee ),이도훈 ( Doho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본 논문에서는 뇌졸중,치매 등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재활 프로그램을 Kinect와 Unity3D를 이용하여 구현하고,이를 제어하기 위한 효과적 인 제스처 기반 Natural User Interface를 적용하였다. 이는 동작 인식을 위해 Kinect 주변에 가까이 있기 어려운 프로그램 사용 환경을 원거리 조작이 가능케 하여 더욱 편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며,직관적이고 단순한 제스처를 정의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손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 자세 비교에 의한 골프 자세 교정 기술 개발

        손현철(Hyeon-Cheol Son),김호한(Ho-Han Kim),김성영(Sung-Young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9 No.6

        본 논문에서는 자신의 골프 동작을 프로 골프의 동작과 비교하여 골프 자세를 교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특정 골격 지점에 대한 위치 변화 그래프 view, 2D View, data view, 교정사항 view의 6가지의 뷰화면을 제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원본군(자신의 골프 동작)과 대조군(프로 골퍼 골프 동작) 사이의 동작비교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키넥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움직임에 대한 골격 정보와 깊이 정보를 사용하여 골프 자세 구간을 4구간으로 구분하여 비교에 사용한다. 뿐만 아니라, Openpose를 사용하여 기존에 녹화된 비디오 영상으로부터 골격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골프 자세와 프로 골퍼의 자세 간의 거리, 각도, 몸의 중심, x-factor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공함으로써 자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ethod to correct the golf posture by comparing the golf motion of a golfer with the motion of the pro-golfer. To do this, we provide a program with six views of the position change graph for a specific skeleton point, 2D view, data view, and correction view, and with comparing the motion between the original group (own golf action) and the control group (professional golfer golf action).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uses skeleton information and depth information for motion captured in real time through Kinect and divides the golf posture into four sections and uses it for comparison.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use skeleton information from existing video images using Openpose.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the posture analysis is made possible by comparing the data of distance, angle, body center, and x-factor between a golfer’s position and the professional golfer"s posture.

      •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천전리식 주거지의 특징 및 전개 양상

        손현철 ( Son Hyeon Cheol ) 단국사학회 2023 史學志 Vol.63 No.-

        본 글에서는 중도동유적 천전리식 주거지를 중심으로 형식분류와 편년 설정을 통해 천전리식 주거지의 특징과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중도동유적에서 확인된 천전리식 주거지는 1구역에서 134기, 2구역에서 501기 등 총 635기에 이른다. 주거지 형식은 평면 형태, 노지시설, 바닥시설에 따라 구분하였는데, 그 결과 총 14개의 형식을 확인하였다. 주거지 형식에서 확인된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값과 출토유물 양상을 정리하면 중도동유적의 천전리식 주거지는 중기 전반 단계(B.C 9~B.C 7세기), 중기 후반 단계(B.C 7~B.C 5세기), 후기 단계(B.C 5세기 이후)로 구분할 수 있다. 중기 전반 단계는 세장방형 혹은 장방형의 ⅠCb식과 ⅡCb식을 중심으로 천전리식 주거지를 도입하는 단계로, 토기는 공렬토기가 대표적이며 일체형석촉, 주상편인석부, 주형석도, 어형석도 등의 새로운 석기 기종이 등장한다. 중기 후반 단계는 천전리식 주거지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단계로, 장방형과 방형의 주거지가 다수를 차지하며, (토기)부석식노지를 시설한 주거지가 조성되기 시작한다. 출토유물은 대표 토기가공렬토기에서 무문양토기로 전환되며, 청동기, 일단병식 석검, 유경식석검, 적색마연 호형토기 등 신분을 상징하는 위세품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후기 단계에는 중기 후반 단계의 문화요소가 그대로 이어지며, 후기의 표지 유물인 점토대토기가 등장한다. 그러나 점토대토기 등의 낮은 출토율로 보아 점토대토기 문화가 중도동유적에 미친 영향이 크지 않았다. 천전리식 주거지의 전개 양상을 통하여 유적 간의 위계차가 확인되는데, 북한강유역 천전리식 주거지는 북한강 상류에서 북한강 중류로 확산되며, 상위 취락도 북에서 남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전개 양상 과정에서 중도동유적의 천전리식 주거지는 북한강 상류의 영향으로 주거구조가 도입되고 문화 양상이 발전한다. In this study, Cheonjeon-ri style dwellings were analyzed through form classification and chronicle setting, focusing on the Jungdo-dong ruins, and characteristics of Cheonj eon-ri-style dwellings were examin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surrounding ruins. A total of 635 Cheonjeon-ri dwelling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Jungdo-dong ruins, including 134 in District 1 and 501 in District 2. The types of dwelling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lane type, hearth structure, and floor facilities, and as a result, a total of 14 types were identified. Summarizing the measured values of radiocarbon dating and excavated artifacts confirmed in the form of the dwelling, the Cheonjeon-ri style dwellings of the Jungdo-dong site are in the early middle stage (9th - 7th century B.C.), late middle stage (7th - 5th century B.C.), and later stages. (B.C. after the 5th century). The first half of the middle phase is the stage of introducing Cheonjeonri-style dwellings centering on the triangular or rectangular ICb type and HCb type. For pottery, rim-perforated pottery is typical, and new stoneware such as Integral stone arrowheads, stone axe with pillar-shaped single blades, boat-shaped stone knives and fish-shaped stone knives are introduced. In the latter half of the middle period, the number of Cheonjeon-ri type dwellings increased rapidly, with rectangular and square-shaped dwellings occupying the majority, and dwellings equipped with (pottery)pumice-type hearth structures began to be built. As for the excavated artifacts, representative pottery has been converted from rim-perforated pottery to no pattern pottery, and prestige items that symbolize social status such as bronzeware, single platform stone knife with handle, stone knife with tangs, and red polished jar-shaped pottery began to appear. In the later stage, the cultural elements of the later stage of the middle period continued as they are, and clay-stripe pottery as the representative artifact of the later period, appeared. However, judging from the low excavation rate of clay-stripe pottery, the influence of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n the Jungdo-dong ruins was not significant. The difference in hierarchy between the remains is confirm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heonjeon-ri-style dwellings. The Cheonj eon-ri-style dwellings in the Bukhan River basin spread from the upper region of the Bukhan River to the midstream region of the Bukhan River, and the upper settlements also moved from the north to the south. In the course of this development, the Cheonj eon-ri style residence of the Jungdo-dong site was introduced to the residential structure and developed cultural aspects under the influence of the upper region of the Bukhan R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