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현실주의 속의 사진

        손영실 한국프랑스학회 2007 한국프랑스학논집 Vol.57 No.-

        본 연구에서는 아방가르드 운동 가운데 프랑스에서 독자적으로 일어난 초현실주의 운동에서의 사진이라는 주제로 초현실주의자들이 사진을 어떻게 활용했고 초현실주의 사진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했다. 구성주의자, 다다이스트, 미래주의자, 초현실주의자로 대표되는 아방가르드 사진가들은 전통적인 예술의 도그마(dogma)에 저항하며 그들의 예술적 실행을 펼쳐갔다. 프랑스의 아방가르드 운동에서 사진에 대한 숙고는 다양한 양태 속에서 나타났지만 초현실주의는 거기서 특히 의미가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독일에는 비견할 만한 것이 없는 프랑스의 파리를 중심으로 일어난 운동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아방가르드 운동가운데 프랑스 특유의 면모를 보이고 있는 초현실주의에 논의를 집중하여 초현실주의자들이 사진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초현실주의자들은 다양한 형태로 사진적 실행을 했다. 초현실주의자들의 사진의 활용이 분명한 모순을 드러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강한 구심점을 발견하는 것은 사진에서이다. 발터 벤야민은 그의 논문들에서 사진에 관한 관심을 드러내는 가운데, 사진은 근대적 이미지로서 다큐먼트임을 강조한다. 그런데 사진적 다큐먼트에 관한 관심은 초현실주의자들을 포함하여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에 의해 공유되었다. 벤야민은 초현실주의자들의 사진적 생산의 특징을 예술 작품으로서의 측면이 아닌 다큐먼트적 측면에서의 접근임을 지적한다. 사진의 역사상 처음으로 초현실주의자들에 의해 사진 매체는 예술로서의 사진이 아닌 사진 매체에 고유한 기록하는 능력에 가치를 부여하며 거기서 사진적 정체성이 추구되었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사진을 아주 근대적인 시각 형태로 여겼다. 사진은 초현실주의자들의 간행물들의 이미지들의 주요한 원천이었고 그들은 사진을 다큐먼트로 사용 했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초현실주의 운동의 이질성에 의해 야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진을 선택했다. 다양한 선택에도 불구하고 초현실주의자들은 상반된 두 가지 형태의 사진을 특권화했다. 한 측면으로는 단순한 도큐먼트로서의 사진으로 이런 류의 사진은 대부분 초현실주의자들이 발간한 간행물들의 일레스트레이션을 위해 사용되었다. 다른 측면으로는 여성의 신체에 손을 이중 인화한 것들과 같은 현실과의 독창적인 연계를 상실한 요소로 구성된 사진이다. 이런 류의 사진들은 초현실주의 사진가들에 의해 초현실주의적 창작물로 여겨졌다. 이처럼 초현실주의자들은 처음에는 사진을 단순한 다큐먼트로 여겼으나 점차 진정한 하나의 창작물로 여기게 되어 사진은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중요한 본질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사진에서의 사진적 개념의 변화

        손영실,윤준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기초조형학연구 Vol.8 No.1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changes of photographic concept in digital photography, by comparing the central photographic concept which has been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traditional photography with the conceptual basis of digital photography.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photography, the very precise frontier of photographic practices in the past has been made uncertain and extended very suddenly and differently. Digital photography has contributed to destroy the concept of the visual truth of the photography based on the mechanical representation by the camera. And also digital photography is no longer based on the analogical representation, by making multiple uncertain moments combined with several moments. The aesthetic of digital photography has become the changing aesthetic, in other words, the combination, montage and transformation. Through digital technology, the artist controls and manipulates the technique, and has an subtle experience which changes the perception over the world. Therefore, what we notice by the emergence of digital photography, is not the technology itself but the changes of our concept on photography. 본 논문은 전통적인 사진의 기본적인 토대를 이루어 왔던 주요 사진적 개념들을 디지털 사진의 개념적 토대들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사진에서의 사진적 개념의 변화를 다룬다. 디지털 사진의 등장으로 인해 과거에 매우 정확했던 사진적 행위의 경계들은 오늘날 불확실해지고 색다르게 변모하며 확장되고 있다. 디지털 사진은 카메라의 기계적 재현에 기반한 사진의 시각적 진실에 관한 개념을 파괴하고 있다. 전통적인 사진은 항상 외부의 지시대상과 관련하여 기술적으로 재생된 사진 이미지에 관계되며 그것이 유래하고 있는 시간, 공간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디지털 사진은 하나의 이미지 안에 여러 가지 시점들로부터 만들어진 순간들로 결합된 다중의 불확실한 순간을 만들면서 더 이상 시공간의 아날로그적 재현에 기반하고 있지 않다. 디지털 사진에서의 형태의 미학은 변화하는 형태의 미학이라 일컬어 질 수 있는 것으로 혼합, 몽타주, 변형으로 특징 지워진다. 또한, 디지털 수단을 통해 예술가는 테크닉을 통제하고 조작하며 또한 테크닉을 통해서 세계에 대해 가지고 있던 지각을 변형하는 내밀한 기술 미학적 경험을 하게 된다.따라서 디지털 사진의 등장으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새롭게 등장한 과학 기술 그 자체 보다는 거기서 생겨난 개념들로 사진이라 불리워질 수 있는 것에 대한 사진적 실행의 토대를 뒤집고 사진에 관한 우리의 개념의 경계를 바꾼다는 것이다.

      • KCI등재

        사진의 메타 역사 정립을 위해

        손영실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We have assumed the map about the history of photography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meta-history about the history of photography. The domain of history of photography has been extended, absorbing the new analytic tool the inter-disciplinary integral domain with new material. The writing on the history of photography has absorbed more diverse factors and pursed the adequate evaluation. The modern aesthetic theory have focused on the autonomy of art and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ic discourse will be directed as the mixed histories between art, science and concept, culture, absorbing the virtual reality. Therefore the history of photography must ask the epistemological, existential position of this kind of hybrid form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Photography has extended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history of photography has contributed to the new history supported by the School of the Annales. The photographic history has played the role by providing system of the conception of history in the generalized history. This study has tried to provide the basement for the meta-history, by classifying the photographic history as such, helping to think of the proximity and distance from histories of photography through the more multi- directed discussion and indicating the way of writing the photographic history. 사진사의 메타 역사에 관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대략의 사진사의 지형도를 그려볼 수 있었다. 사진 역사의 범위는 새로운 재료들을 포함하고 핵심적인 상호 학제적 장을 전제하는 새로운 분석적인 도구를 포함하면서 확대되었고 사진사의 저술은 좀 더 다양한 동인들을 흡수하며 각 사진가들의 작품들에 대한 적확한 평가를 내리기 위한 노력을 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대 미학 이론은 예술의 자율성에 초점이 맞춰져왔지만 원근법, 사진, 가상 현실에 관한 논의가 사진의 장에 흡수되기 시작하면서 사진적 담론의 발전은 예술, 과학, 개념, 문화가 깊이 혼재된 역사로 진행될 것임을 예측하게 한다. 따라서 사진사는 철학적인 측면에서는 이런 하이브리드한 형태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위치를 의문시해야만 한다. 사진은 확실히 역사적 도큐먼트를 확장시켰고 사진의 역사는 현대 역사 전체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고수하며 아날학파(Annales)에 의해 지지된 새로운 역사에 기여했다. 여기서 사진의 역사는 일반화된 역사 속에서, 역사의 이러한 개념 체계 제공 속에서 그 역할을 해 왔다. 본고는 각각의 범주로서의 사진사들은 위계적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진사들 간의 거리와 인접성을 관념적으로 사유할 수 있게 하며 사진사의 체계화를 돕는 것과 동시에 앞으로의 사진사 저술의 방향을 제시하고 사진의 메타 역사 구성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했다.

      • KCI등재

        Online Gambling Patterns and Predictors of Problem Gambling Among Korean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ross-sectional Study

        손영실,손현미 한국간호과학회 2024 Asian Nursing Research Vol.18 No.1

        Purpose This study examined online gambling patterns among Korean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identified predictors of problem gambling based on a socio-ecological model. Methods It used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n Youth Gambling Problems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 on Gambling Problems. This study selected a sample of 780 adolescents aged 13–18 years who reported having gambled online at least once in the last three months from the raw data of respondents. They were classified as the non-problem group and problem group according to the Gambling Problems Severity Scale (GPSS) of the Canadian Adolescent Gambling Inventory (CAGI). The predictive factors of problem gambling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revalence of problem gambling was 24.6 %. Its predictors included intrapersonal [male (odds ratios, OR = 1.67); gambling prior to COVID-19 (OR = 2.08)] and interpersonal factors [frequent gamblers in peers (OR = 4.34); peer pressure (OR = 2.34)]. Social factors, such as gambling in online community (OR = 5.60), sports betting (OR = 53.24), and lotteries (OR = 17.03) were associated with problem gambling. Conclusions The major predictors of problem gambling among adolescent online gamblers included peer gambling and specific types of gambling. To prevent problem gambling, strategies targeting peer groups are essential. In addition, nurses need to share with families, schools, communities, and policymakers that online gambling, such as lotteries and sports betting, are high-risk of adolescent problem gambling, and recommend them to collaborate for stricter regulatory measures.

      • KCI등재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받은 간암환자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손영실,강인순 보건의료산업학회 2017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observational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liver cancer receiving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TACE) Methods : A total of 100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 Among participants, 41.0% had a risk of malnutrition and 59.0% had a normal nutritional statu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and risk groups were found for the following factors: occupation; economical status; regular exercise; underlying disease; adverse events right after TACE; current adverse events; duration after TACE; depression; and self-care performance. Underlying disease(OR=5.134, p=.005) and self-care performance(OR=0.931, p=.032) had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nutritional status. Conclusions : The findings suggest that underlying disease and self-care performance influence the nutritional status among liver cancer patients receiving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TA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뉴 미디어 환경에서의 다큐멘타리 사진

        손영실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기초조형학연구 Vol.8 No.2

        We have studied the concept of documentary which has provided so much discussion through the history of photography and the development of documentary photography. Today, many artists apply it for the artistic, personal and social purpose, by analyzing and questioning the effect of documentary image. It becomes natural that many photographers and artists make the artificial images by documentary style than by mise-en- scene or montage. For them, the documentary is considered as a style separated from the fixed link of the reality and can be treated freely. In this way, the photographers, for the realistic effect, by the use of the digital media, realize the hyperreal spectacle similar to the analogic way, not the digital. The tendency of making the artificial photography in the basis of documentary is made possible by the consideration of the documentary image as autonomic artistic product. In that point, documentary is a style and strategy. As a strategy which can be well developed in the relevant way, the documentary therefore must function in the autonomy whether it demands or not. 사진의 역사를 통해 끊임없이 논란의 실마리를 제공해온 다큐멘타리 개념 및 사진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 온 다큐멘타리 사진의 발전적 전개에 관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오늘날 많은 예술가들이 다큐멘타리 이미지의 효과들을 분석하고 의문시하면서 이것을 예술적, 개인적, 사회적 목적들을 위해 적용하고 있다. 사진으로 작업하는 많은 사진가들과 예술가들이 연출이나 몽타쥬 방식의 예술적 실행보다는 점점 더 다큐멘타리 스타일의 인공적 이미지들을 만드는 데 참여하는 것은 보편화되고 있다. 그들에게 있어서 다큐멘타리는 그것의 현실과의 고정된 링크로부터 분리된 그리고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 단순히 사진적 스타일로 여겨진다. 그런 가운데 사진가들은 사진의 현실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 미디어의 사용을 통해 디지털이 아닌 아날로그 방식에 유사한 하이퍼리얼한(hyperreal) 광경들을 구현한다. 인공적 사진을 다큐멘타리의 기초 하에 만들려는 경향은 다큐멘타리 이미지를 자발적인 예술적 생산물로 여기는 것에서 가능하며 우리가 현실 그 자체를 다루는 방식 그리고 어떤 점에서는 이미지 그 자체를 다루는 방식에서의 변화의 결과이다. 그런 점에서 다큐멘타리는 하나의 스타일이며 전략으로 이런 것들이 천명하든 아니든 자율성(autonomy) 안에서 기능해야 한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에 의해 가속화된 포스트-휴먼 논의

        손영실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기초조형학연구 Vol.8 No.4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makes possible to realize new human in their works. Today, many artists have created in their works, the post- human which is the future human, combined with the human and the machine by destroying the closed identity and constructing the new identity.They has made, in the portrait work the multiple-formed peoples of the post-human and has drawn the plastic and the ideological synthesis through it. The digit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vision of artist and photographer, has become the ideal tool of the culture in order to consider our being into the entity of changing forms.Specially, the portrait work using the digital media is overlapped with the step from the analogue to the digital, in this point the technological culture governed by the aesthetics and epistemology of the transparency must be reconsidered.The discourse on body has been converged in the post-human and the transforming body. Today, many artistes question the problem of the consciousness and recognition about the body in contemporary culture, by doubting it through realizing the post-human by the digital media technology.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이용하며 오늘날 많은 예술가들은 현재가 미래를 동화할 수 있는, 그리고 미래가 현재 속에 침투하는 방식들을 상상하면서 진보의 리듬에 반응하고 있다. 전통적인 포트레이트 작업에서 신체가 자아의 상징이라면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작업에서 그것은 종종 고통스러운 방식으로 일그러지고 변형되어 나타난다. 특히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포트레이트 작업은 아날로그에서의 디지털로의 이행이라는 단계와 맞물려 있는 특성을 보이며 또한 투명성의 미학과 인식론에 의해 지배되어온 과학기술 문화가 다시 숙고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달은 오늘날의 시각 예술가들이 새로운 인간상을 자신의 작품 속에 구현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들은 고정된 정체성을 파괴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구축해나가는 가운데 새로운 미래의 인간상인 포스트-휴먼(post-human)의 다형의 인물들을 만들어내며 조형적, 이데올로기적 합성을 이끌어내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예술가, 사진가의 비전에 따라 변형적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능력을 통해 우리의 존재를 변화하는 형태에의 실체로 여기도록 하는 현대 문화의 이상적인 도구가 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에 의해 가속화된 변형의 힘은 신체에 관한 담론을 포스트-휴먼과 변형되는 신체로 이끌며 육체 자체가 불안정하고 변화하는 대상이 되는 현 시대의 요구에 훌륭하게 부응한다. 오늘날의 많은 예술가들은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사용하며 포스트-휴먼을 구현해내며 이를 통해 현대 문화를 의문시하며 이런 문화 속에서의 신체에 대한 인식, 자각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 KCI등재

        디지털 환경에서의 예술 재료 개념에 관한 연구

        손영실,윤준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06 기초조형학연구 Vol.7 No.4

        The digital environment has changed the art material as electric and informative material. For many centuries, art material has been characterized as heterogeneous. Today, digital based material is incorporated in the form of the operative information. The act of producing the work by the use of the informative material is based on the algorithm. The different images made by the informative material as system of information represent certain point in the virtual continuous space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y. The consequent artistic effects can be more effectively controlled and diversified by the artist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unified environment offer the possibilities of different art creation which have not been imagined before. The digital world is an environment which offer and compel the important changes to the artists and an important source from which we can obtain the creative imagination and new idea. Therefore, this study shows an effort of examining the changes of the fundamental concept of art material and determining specific perspective of these changes in this environment. 디지털 환경은 시각 예술의 재료들을 전자적이며 정보적인 것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질적인 예술적 재료들로 특징 지워진 지난 수 세기들이 끝이 나고 디지털 기반 재료들은 하나의 통합된 조작적 정보의 형태로 통합된다. 이 정보 재료를 다루어 작품을 생산하는 일은 알고리즘 기반 행위이다. 조작적 정보들의 체계로서의 정보적 재료를 통해 만들어내는 서로 다른 이미지들은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가상적 연속 공간 내의 어느 지점들을 표현하며 이 지점들 사이의 왕래 발착을 통해 예술적 효과들은 좀 더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올라서고 또 다양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정보가 통합될 수 있는 환경은 예술가에게 이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다른 예술 창조의 가능성들을 제공한다. 우리에게 친숙하고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어있는 디지털 세계는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변화를 제공하고 강요하는 환경이며 창조적 상상력과 새로운 생각을 그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중요한 토양이다. 그리하여 본고는 이러한 토양 위에서의 예술 재료의 근본적인 개념들의 변화를 성찰적으로 검토하고 특정한 전망을 결정하는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이미지의 간극: 정지영상과 동영상의 사이에서

        손영실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6

        We have studied the intersection of photography, video and cinema in contemporary art. This can be considered as frequent phenomenon for past several years. Main stream of visual culture makes it possible by attributing the compound characteristics added traits of other media in one media, to invent a new media. The use of slow motion makes the spectators feel the stream of time and think and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image. For this reason, we can easily find the works between photography and moving image in these day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art tendencies in- between of two media, that is to say, between still and moving image. The diverse effect and reconstruction of memory of still image and extension of thought have offered many possibilities to reflect the world around us and it has become a indispensible part in our culture. The efficient use of still and moving images can be a strategy which can be well developed in the relevant way, to express the artistic ideas in the contemporary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