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손현미,김상수 한민족문화학회 2022 한민족문화연구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Korean pronunciation and present basic data and research directions necessary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research. For this study,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publications from 2000 to 2021 were analyzed.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the 1st to the 3rd, and the keywords were set as 'pronunciation' in the 1st round and 'Korean education AND pronunciation' in the 2nd round. In the third round, duplicate papers and papers not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excluded, and as a result, a total of 1,263 paper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For research trends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F analysis, key word analysis, bi-gram analysis, and connection centrality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trend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research, and to confirm the contents and direction necessary for future Korean education field and pronunciation education research. 이 논문은 한국어 발음 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와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 수집은 1차에서 3차까지 진행하였으며, 1차에서 ‘발음’, 2차에서 ‘한국어교육 AND 발음’으로 키워드를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3차에서는 중복된 논문 및 한국어 교육과 관련이 없는 논문을 제외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 분석 대상은 논문으로 총 1,263편을 선정하였다.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TF 분석, 핵심어 분석, Bi-gram 분석, 연결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한국어 교육 현장과 발음 교육 연구에 필요한 내용과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기의 신체이미지 왜곡의 영향요인 : 2013년도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손현미,이현영,이효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gruence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weight perception, and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health behaviors on body image disturbance among Korean adolescent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urvey of 70,354 adolescents aged 12-18 years except missing data in the 2013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agreement between BMI and weight perception within Korean adolescents was very low as 0.27 of Cohen’s kappa coeffici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ody image accuracy in sex, school grade, perceived economic status.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ody image accuracy in physical activities and eating habits. Factors such as sex, school grade, perceived economic status and eating habit (breakfast and fast foo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ody image disturbance among Korean adolescents. Therefore, health educators should consider weight perception as well as a BMI to modify health behaviors for the adolescents’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Also, it is needed a accuracy of body image to acquire an appropriate health behaviors for Korean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객관적 비만지표와 주관적 체형인식과의 일치도를 확인하고, 이러한 결과가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며, 이들이 신체이미지 왜곡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표성 높은 ‘제9차(2013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총 70,354명의 자료를 복합표본설계로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도와 주관적 체형인식 간의 일치도(Cohen’s kappa coefficient)는 0.27로 낮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학년, 주관적 경제상태 인식에 따라 비만도와 주관적 체형인식에 대한 일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체활동은 규칙적 신체활동, 격렬한 신체활동, 근육강화운동 모두에서 비만도와 주관적 체형인식 일치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식습관에서는 아침식사실천, 과일섭취, 탄산음료와 패스트푸드섭취 모두에서 일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청소년 신체이미지의 영향요인으로는 성별과 학년, 주관적 경제상태 인식 및 아침식사실천과 패스트푸드섭취가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비만예방과 관리를 위하여 올바른 건강행태 습관형성을 위한 상담과 교육에 체질량지수 등의 객관적 비만지표 뿐만 아니라 신체이미지와 같은 주관적 인식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올바른 건강행태 형성을 위해서는 적절한 신체이미지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간호 경험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발달에 관한 연구

        손현미,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간호사라는 직업인들이 어떠한 무형식학습의 경험을 통하여 간호에 있어서의 상호문화역량을 체득해 가는가, 즉 문화적 역량의 발달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간호사로 입직하기 전 대학교 간호학과에서는 다문화간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경험을 받고 졸업하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 결과 간호사들이 결혼이주여성들이나 외국인노동자를 간호함에 있어 전혀 사전지식과 경험이 없는 상황에서 간호를 하고 있어 간호분야의 질 관리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석학적 연구에 기반하여 결혼이주여성들과 외국인노동자들에 대한 간호사들의 간호경험, 학습과정과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총 7명으로 이들은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노동자 수가 두 번째로 많은 도시에서 결혼이주여성과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간호를 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놀랍게도 미국에서 이루어진 Campinha-Bacote의 기존연구결과인 문화적 자각, 문화적 지식, 문화적 기술, 문화적 태도의 방향과 단계와 비슷하게 문화역량들을 함양해가고 있었다. 간호사들은 자신의 차별행위에 대한 자각을 하면서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떠한 간호실천을 보여야 하는지에 대한 문화적역량들을 습득해가고 있었다.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이 높아지는 가운데에서 사회적 서비스의 직업군에서 일하는 직업인들이 체계적으로 배우지 않은 문화적 역량들을 무형식학습과정을 통해 어떻게 체화해 가는가를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nurses who were neither educated nor trained systematically how to acquire their cultural competency by multicultural nursing.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s of this research for seven nurses who have been in charge of multicultural nursing works in the hospitals of city with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foreign workers in Korea. Data are analyzed in term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For this results, cultural consciousness, cultural knowledge, cultural skill and cultural encounter, Campinha-Bacote investigated, are also shown surprisingly. Nurses are aware the prejudice and differentiated consciousness from patients with migrant background. Nurses intend to take care little by little through the gesture and consideration, but face difficulties repeatedly due to linguistic, emotional, religious and cultural differences. Also, internal barrier is broken to one coincidental event awakened consciousness and migrant background or their guardians. Therefore, nurses obtain flexible mind as they understand the group culturally and observe them once again. Through the process, nurses realize culturally, cultivate cultural attitude, and acquire cultural knowledge and skil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mphasize the spread of the cultural competency strengthening education and experience during the nurse training course.

      • KCI우수등재

        간호대학생의 진로탐색과정: 예비간호사의 진짜 간호사 찾아가기

        손현미,홍윤경,김영혜 한국간호교육학회 2019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career exploration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 and to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Methods: From February 2 to 28, 2015,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rom 24 participating fourth-year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Results: The central phenomenon of 'confusion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of nursing' occurred in contexts for various reasons of choosing one’s major, nurses in the ideal, a vague fear of the field, arduous nursing assignments in the field, and severe adversity in the nursing field. Nursing students tried to deal with their confusion by using 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pursuing the intrinsic value of nursing, finding role models, trying to project oneself, and preparing for adapting to reality.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in clinical practice was a voyage to discover the authentic nurse of the pre-registration nurse. Conclusion: This result shows that nursing students were to gain confidence in their career choices by finding the value of nursing and interacting with patients. Therefore, opportunities for learning experiences about interaction with patients and various positive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 should be provided for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진로탐색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임상실습에서의 진로탐색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은 간호학과에 들어온 이유와 간호사에 대한 인식 및 현장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녹녹치 않은 임상현장과 그 속에서 힘겨워 하는 간호사를 보며 ‘간호에서의 이상과 현실의 차이에 따른 혼란스러움’을 경험하였다. 간호대학생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간호의 본질에 대한 가치 추구와 함께 자신의 롤 모델 찾고 현장에 끊임없이 자신을 투영해 보며 현장적응을 위한 준비의 전략들을 수립하고 실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은 예비간호사의 입장에서 임상현장을 탐색하며 자신이 추구하는 간호사와 간호에 대해 구체화해 나갔고, 그 과정에서 진로에 대한 목표와 흥미, 능력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진로정체감을 형성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이러한 깊은 탐색은 이상과 현실의 접점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간호를 실천하며 존재할 수 있는 진짜 간호사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귀결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예비간호사로의 역할전환은 임상실습에서 깊은 진로탐색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현장에서 간호의 가치와 의미를 찾고 환자에 대한 이해와 환자와의 상호작용 경험을 의미 있는 학습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진로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획득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을 돕기 위해서는 임상실습에서의 경험이 의미 있는 학습이 될 수 있도록 간호수행 및 환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학습경험의 기회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임상실습교육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 임상실습의 경험을 지식과 통합하면서 숙고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인문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조직분위기 개선 및 간호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정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뿐 아니라 이후 자신이 선택한 진로에 대한 적응과 이직에도 중요한 조건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과 해결책 마련을 위한 사회적 담론 형성 및 간호계 공동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영유아 온라인 건강정보의 질 평가

        손현미,제민지,손영실 한국아동간호학회 2018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4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related to infants and preschoolers accessible through mobile applications and websites. Methods: Using combinations of the terms ‘infant’, ‘preschooler’, and ‘health’ as the main keyword or categories, the researchers searched relevant mobile applications and websites in Korean application markets and popular search engines. Twelve mobile application and 14 websites were finally selected according to our inclusion criteria and evaluated using DISCERN instrument. Results: The overall quality scor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available through mobile applications was 2.00 of 5 points, the reliability score was 2.15, and the quality score was 1.76. The overall quality scor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available through websites was 2.29, the reliability score was 2.40, and the quality score was 1.82. Conclusion: The quality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related to young children was found to be low and to have potentially significant drawbacks according to DISCERN criteri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o evaluate and regulate the quality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Additionally, factors that readers can use to judge th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such as references and the benefit versus risks of the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일개 여자중학교의 흡연예방을 위한 참여형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커뮤니티 맵핑 활동의 효과

        손현미,정미영,홍윤경 한국학교보건학회 2016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9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munity mapping based on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n smoking prevention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triangulation method which integrated quantitative data from a “pre-post” study o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qualitative data from focus group interviews. Data was collected from 4 August 2015 to 10 January 2016. The experimental group (n=24) participated in community mapping along with education on smoking pre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n=28) participated only in routine education. Both groups were measured o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related to smoking prevention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quantitativ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x2 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23.0. The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o investigate the social-environmental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Results: Knowledge related to smoking prev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2.591, p=.013)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But attitude related to smoking preven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hen asked about their experiences of the community mapping program, it turned out to be a process where they could learn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smoking prevention and experience their individual practices manifested as collective intelligence while working together with community members. The study found that community mapping had an effect on smoking prevention from a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 Conclusion: To be more effective, school education on smoking prevention should b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It is also desira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where adolescents can experience discovering and solving practical problems along with their own community.

      • KCI등재

        영유아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온라인 건강정보 요구 분석

        손현미,손영실,제민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and information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infant and preschooler, which is to identify their barriers and influencing factors in access and utiliza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The subjects are 163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a child under 6 years old and they have used mainly the internet or smartphone to obtain health information. However, they do not assess the quality of information carefully. In addition,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lection, poor Korean language skills, th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medical jargon,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recognized as major barriers to access and use online health inform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considering language problems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to support information retrieval strategy and health literacy. Besides, online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und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which is different in information needs and use, such as age, economic level, child age, Korean language skills, supporter for parenting, and country of origin. Also, it should be confirmed problem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contents and delivery methods because of the inconsistency between needs, ease of searching, and practical help. Based on these results, it'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for reducing the barriers and improving the utilization ability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to help multicultural families in caring for their children.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정보 요구를 분석하여 건강정보 접근과 활용의 장애요인과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실제적 도움이 되는 온라인 건강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은 자녀양육을 위한 건강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정보출처의 미확인, 비전문가로부터의 정보 획득 등 정보의 질 평가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또한 정보선택의 어려움과 미흡한 한국어능력, 어려운 전문용어, 모국문화와의 차이가 온라인 건강정보 접근과 활용의 주요 장애요인이었다. 결혼이주여성은 질병관리, 신체성장, 영양관리에서 높은 정보 요구를 보였으나 요구도와 찾기 쉬운 정보, 도움이 되는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 건강정보의 내용과 전달방식에 대한 실제적 평가를 통해 원인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정도와 요구도에 차이를 보인 연령, 가족풍요도, 자녀연령, 한국어능력, 양육지지자, 출신국가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에 추후 다문화가족에게 자녀양육을 돕기 위한 온라인 건강정보 제공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이용의 장애요인을 감소시키고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통합적 고찰

        손현미,제민지,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4

        This study was to draw the attributes of nursing with cultural competency based on an integrative review and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cultur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s for nursing. Using combinations of the terms 'multiculture', 'cultural competence', 'nursing', and 'medicine' as key words, the researchers searched relevant studies in three electronic databases. Twelve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full text screeing of related researc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January 2004 to June 2014. Through in-depth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of the relevant literature, four components emerged; 1) cultural awareness, 2) cultural acceptance (attitude), 3) cultural knowledge, 4) cultural skill (practice). This study provide comprehensive prospective and basic standards for cultural competence program of nursing. Future program for improv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hould included these four compon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ontinuous effort is needed to integrat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curriculum of nursing college and continuing nurse education. Repeated study related to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hould be also necessary. 문화적 역량은 다른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편견 없이 다른 문화의 사람들과 적절하고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능력으로, 특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대상자를 접하는 간호사에게 중요한 핵심역량으로 제시되고 있다. 최근 한국사회는 세계화와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로 다문화 대상자가 증가하면서 국내에서도 이러한 인식이 증가하게 되었다. 문화적 역량을 갖춘 간호사는 다른 문화에 따른 가치나 태도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고 개별화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문화적 역량과 관련한 간호연구를 통합적 고찰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속성과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에 선정된 연구는 총 9편으로 이 중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중재연구는 3편에 불과했다. 모두 2010년 이후에 발표되어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과 관련된 국내 연구가 초기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속성은 문화적 지식, 문화적 인식, 문화적 수용성(태도), 문화적 기술(행위)의 4가지로 확인되었다. 국내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대학의 교육과정과 간호사 보수교육에 이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하며, 프로그램 개발 시 4가지 속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