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Multilevel View of Mood and Information Pooling During Group Discussion

        소원현(Won Hyun So),케빈 윌리암스(Kevin Williams)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0 No.2

        타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지 않은 유일정보의 원활한 교류는 조직 내의 양질 의 집단의사결정을 위한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집단의사결정 연구의 화두가 되어왔다. 특히 잠재적 정보 프로파일의 우위성을 고려할 때, 유일정보가 양질의 집단의사결정을 위해 지니는 가치는 매우 크며, 따라서 집단 내 의사결정시 유일 정보의 교류를 촉진시킬 수 있는 요소와, 특히 그 원인들을 연구하는 것은 그 자 체로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기분이 높은 심리적 안정감 (psychological safety)을 유발함으로서 개인으로 하여금 정보교류 시 절차 와 형식에 얽매이지 않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다차원 모형을 이론 적 메카니즘으로 적용함으로써, 기분과 정보교류의 인과 관계에 대한 보다 폭넓 은 이론적 뒷받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본인의 이전 연구에 서 주요 연구대상이었던 ‘개인’ 차원의 긍정적 기분이 정보교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것은 물론이고, ‘집단’ 전체의 긍정적 분위기가 그 조직 구성원들에게 공 유됨으로써 집단의 심리적인 안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개인의 유일정보 를 집단 내 타인과 공유하는 데 있어서의 잠재적인 심리적 위험 부담을 감소시 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교육에서 교육환경과 서비스품질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소원현(Won Hyun So),김하균(Ha-Kyu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IT산업이 급속도로 변화하면서 온라인교육은 오프라인교육의 대체수단으로 변화되었다. 온라인교육이 오프라인교육의 대안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온라인 교육 사이트도 전문화와 세부화 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ㆍ경제적인 추세와 IT 산업의 급속한 성장이 맞물려 온라인교육의 발전과 확산이 진행되고 있다. 누구나 교육 받을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점에서 온라인 교육의 역할을 강조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교육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교육환경을 교육기본시설, 교육환경으로 온라인교육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콘텐츠, 의사소통, 수업만족도를 도출하고, 교육효과와 교육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모형이라고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기본시설은 교육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환경은 교육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콘텐츠품질은 교육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의사소통은 교육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다섯째, 수업만족도는 교육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교육효과는 교육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With rapid changes in the IT industry, the perception of online education as an auxiliary means of offline education has also changed. Online education is becoming an alternative to offline education, and online education sit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specialized. Together with such socioeconomic changes and the rapid growth of the IT industry, online education is also growing and spreading. The role of online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since it can help provide everyone with an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This study surveyed users of online education servic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 research model on the effect of education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effects and attachment in online education was developed. Basic education facilities represent education environment and content, communication, and class satisfaction represent education service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ic education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effectiveness. Second, education environment significantly affected education effectiveness. Third, content quality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 effectiveness. Fourth, commun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ducation effectiveness. Fifth, class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education effects effectiveness. Sixth, education effect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attachment.

      • KCI등재

        능동적 참여 모의실험 학습용 ALT 보드 및 소프트웨어 모듈 설계

        소원호(Won-Ho So)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논문에서는 ALT 보드와 NetLogo 확장 모듈을 개발하여 능동적 참여 모의실험 (Active Participatory Simulation: APS)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기존 참여 모의실험 학습에서도 실험이 수행되는 동안 학생들은 HubNet을 통하여 클라이언트로서 실험에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HubNet 서버만이 하나의 외부 모듈과 연결되기 때문에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참여하는 이중초점 모델링 기반 학습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참여와 실험 및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ATmega32 기반의 ALT 보드를 개발한다. 또한 이 입력된 데이터를 HubNet 서버와 교환할 수 있는 TCP/IP 소켓 기반 Java 확장 모듈을 개발한다. ALT 보드와 확장 모듈을 통하여 APS 학습 환경 구축이 가능하다. 이를 위한 NetLogo 프로그래밍 방법을 소개하고 학습 예시를 보여 과학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In this paper, the ALT (ALTernative) board and a NetLogo extension module are developed for the active participatory simulation (APS) learning. Through the participatory simulation with HubNet each student can attend the experiment as one of clients. Only one HubNet server, however, is able to use an external device so that the bifocal modeling based learning with multiple users is impossible. 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 and enable clients participate into the experiment and collect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measured data, an ATmega 32 based board and its firmware are developed. In addition, Java extension module based on TCP/IP socket interfaces is developed to exchange the data with HubNet server. Finally, we show some NetLogo program examples to use the developed hardware and software for APS and seek the way to use them for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동북아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연고(사적 관계망)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심리사회적 영향 ― 중국인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소원현(So, Won-Hyun)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7 No.-

        본 연구는 동북아 문화권에서 문화적 자아개념(관계중심적자아·독립적자아)과 귀인양식(내적·외적)이 연고(緣故; 사적 관계망)현상에 대한 개인의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는 문화에 따라 연고의 심리사회적 기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개방적 질문을 통해 알아보았 다. 서울·경기·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직업을 갖고 있는 중국인과 한국인 184명을 대상으로, 문화적 자아개념(관계 중심적·독립적), 귀인양식(내적·외적), 공정성 인식(분배·절차·상호작용)에 대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관계중심적 자아개념과 외적귀인양식을 가진 개인들은 독립적 자아개념과 내적귀인양식을 가진 개인들보다 연고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서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기능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관계 중심적 자아 개념을 가진 중국인들과 한국인들은 연고 집단으로부터 도구적·정보적 지지를 기대한 반면에 독립적 자아개념을 가진 중국인과 한국인들은 정서적 지지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고 압력과 조직 내 개인의 무기력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귀인양식 훈련을 비롯한 조직 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whether cultural orientations and attributional styles have influences on individual perceptions of “Yeongo”(informal network) prevailing in North-east Asian culture, and to explore whether its psycho-social functions are different among them. For this research, empirical data from 184 Chinese and Korean adults with full-time job on their cultural construals of the self(independent versus interdependent), attributional styles(internal versus external) and perceptions of justice(distributional,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on “Yeongo” are collected in Seoul, Gyeonggi, and Busan areas.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rdependent construals of the self and external attributional styles negatively influence on perceptions of fairness related to “Yeongo”. Moreover, Chinese and Koreans with interdependent construals of the self tend to expect instrumental and informational supports from their “Yeongo” group, whereas individuals with independent construals of the self tend to expect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Yeongo” group. In order to reduce feelings of helplessness due to “Yeongo” pressures, it is suggested that the change of attributional styles by providing training programs(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would be effec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 한국직장인의 상사지원인식과 자발적 ESG 행동 간에 자기결정성 욕구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소원현(Won-Hyun So) 글로벌융합연구학회 2023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관계와 순서를 중요시하는 한국 조직의 문화적 특징을 고려하여,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ESG 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상사와의 관계성, 조직 구성원의 심리·정서적 동기와 자발적 ESG 행동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상사지원인식 (PSS)이 자발적 ESG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자기결정성 욕구 (관계성, 유능감, 자율성)의 매개 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경기 및 부산 지역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130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SPSS 23.0을 사용하여 회귀분석과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직장인의 PSS는 자발적 ESG 행동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사지원인식은 또한 자기결정성욕구 충족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결정성욕구 충족은 자발적 ESG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PSS와 자발적 ESG 행동에 부분적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한국조직문화에서 ESG 행동의 의미와 그 내재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으며, 관련한 심리·정서적 동기요인과 조직 요인 및 그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whether Korean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self-determination needs (relatedness, autonomy and competence) and autonomous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ESG) behaviors at work place.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impact of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PSS) on voluntary ESG behavior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determination needs (relatedness, competence, and autonomy). After collecting survey data from Korean employees in Seoul, Gyeonggi and Busan areas, one hundred thirty responses were included for hypotheses testing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employees’ P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autonomous ESG behaviors at work plac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and their self-determination needs. Third, their needs for self-determination have been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autonomous ESG behaviors at work place. Last, it has been detected that employees’ self-determination need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S and their autonomous ESG behaviors at work place. While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e ESG behaviors in Korean organizations, ESG internalization process and relevant factors in Korean organizational culture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

        소외계층의 사회적 배제의 결정요인(경제적 여건, 사회적 참여, 생활의 질)에 대한 연구

        소원현(Won-Hyun So),김하균(Ha-Kyu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정보화 사회에서는 정보의 습득여하에 따라 정보의 불균형인 정보격차가 생겨났다. 따라서 정보접근의 평등을 위해 정보복지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정보복지란 정보에 접근하기 힘든 소외계층(노인, 장애인, 불우청소년)에게 정보접근의 기회를 제공한다. 정보복지는 소외계층의 정보접근 및 활용을 높여 정보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기존문헌에서 소외계층의 사회적 배제, 정보격차 및 정보복지 필요성의 요인에 대한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소외계층으로부터 설문조사 후에 설문분석에서는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하였다. 설문지의 기본적인 통계는 SPSS 22.0를 사용하였다. 신뢰성, 타당성 및 가설검정을 위해 편미분 구조방정식 소프트웨어인 Smart PLS 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외계층의 사회적 배제가 정보격차를 매개로 정보복지 필요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사회적 배제요인이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H1은 부분채택 되었다. 사회적 배제 요인 중에서 경제적 여건과 생활의 질은 정보격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참여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사회적 배제요인이 정보복지 필요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H2는 채택되었다. 셋째, 정보격차는 정보복지 필요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H3는 채택되었다. Informatization is an important concept in modern society.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 digital divide occurs due to different degrees of information acquisition. Therefore, for equal information access, it is necessary to adopt an information welfare system. Information welfare provides alienated groups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the unfortunate youth) with the opportunity to access information. Information welfare aims to increase information access of the underprivileged to meet their needs. The term of social exclusion was derived from the social security system. It was academically developed while classifying various people excluded from social employment. It is also surveyed by users who have belonged social exclusion of alienated groups and empirically analyze the survey data through statistical technique. SPSS22.0 was used to deal with basics statistics. while Smart PLS2.0 was utilized for validity and hypothesis testing. Smart PLS 2.0 is a software to deal the structural equation method of partial least square. The summary of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Hypothesis 1 was partially supported. Economic condition and quality of lif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gital divide, while social participation had no influence on it. Hypothesis 2 were accepted. it means that factors of social exclusion of alienated groups affect the need for information welfare. Hypothesis 3 were accepted. it means that the digital divid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need for information welfare.

      • KCI등재

        한국 수산물 가공식품기업의 이미지가 제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원현 ( Won Hyun So ),김하균 ( Ha Kyun Kim ) 한국수산경영학회 2013 수산경영론집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an influence of a corporate on processed marine product`s purchase intention with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product evaluation adding processed marine product`s evaluations as new variable. The hypothesis of a positive influence of processed marine product`s corporate image on processed marine product`s purchase intension is partially supported. Specifically, product itself, service, reliability, and communication among the factors of a processed marine product`s corporate image significantly affect processed marine product`s purchase intension where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oes not affect processed marine product`s purchase intention. Processed marine product`s evaluation also positively affects processed marine product`s purchase intention. It implies that there are somewhat differences between influences of various factors of a processed marine product`s corporate image on processed marine product`s purchase intention but are overall influences of a processed marine product`s corporate image on processed marine product`s evalua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Nowadays, consumer considers not only good quality of product but also its invisible image and value.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various ways to investigate a processed marine product`s corporate image and processed marine product`s product evaluation.

      • 온라인 학습특성이 자기결정성 욕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소원현(Won-Hyun So) 글로벌융합연구학회 2022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Vol.1 No.1

        온라인 교육은 공간과 시간 등 여러 가지 통제나 제약에서 벗어나 학습내용과 교습법을 표준화하고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연구해볼 충분한 이유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교육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문제해결 중심의 학습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학습자 중심 수업방안이 되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온라인 학습의 특성과 자기결정성 욕구 및 학업성취와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부산시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온라인 학습 경험이 있는 한국인 대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3.0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학습의 특성이 학업 동기 및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온라인 학습의 특성은 자기결정성 욕구 충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기결정성 욕구 충족은 학업 동기 및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자기결정성 욕구의 충족 정도는 온라인 학습 특성과 학업수행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함에 있어서, 자기결정성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nline education has good reason to study its value in that it can standardize learning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and secure objectivity, away from various controls and restrictions such as space and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ditions for online education to become a learner-centered teaching plan that can increase problem-solving-oriented learning outcomes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learning, self-determination needs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17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th online learning experiences living in Seoul, Busan, and Gyeonggi-do, an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5-point scale. To verify the hypothes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learn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learn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ying self-determination needs. Third, satisfying self-determination needs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ur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self-determination needs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learning and academic satisfaction. Therefore, in designing an online learning program,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it to satisfy the self-determination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