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0~2001년 경상남도에서 유행한 로타바이러스 유전자형

        소경진,이미현,마상혁,김병철,양재명,So, Kyeung Jin,Lee, Mi Hyun,Ma, Sang Hyeok,Kim, Byung Chyeol,Yang, Jai Myung 대한소아감염학회 2004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1 No.1

        목 적 :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로서 세계적으로 유행하며 국내에서도 해마라 유행하고 있다. 국내에서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을 규명하고 이를 기초 역학자료 및 백신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함과 동시에 로타바이러스 감염 환자들의 연령, 계절적인 분포 및 임상양상을 조사하여, 최근의 국내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역학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방 법 : 2000년 9월부터 2001년 4월까지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에 내원하거나 입원하는 환자들 중 대변 검체에서 Latex agglutination검사(Slidex Rota-Kit2, Bio Merieux, France)로 로타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들의 검체를 이용하였다. 환자의 검체에서 RNA를 추출한 후 추출된 RNA를 주형으로 하여 cDNA를 합성한 뒤 VP4, VP7에 대한 PCR을 실시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다. 결 과 : 1) 총 대상 환자들은 120명이었고 남자가 79명(65.8%), 여자가 41명(34.2%)이었다. 연령별로는 생후 2일에서부터 12세까지 분포하였고 2세이하 환자가 97%인 l1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계절적인 양상은 9월, 10월 사이에는 산발적인 발생을 보이다가 12월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익년 4월까지 환자의 발생을 보이는 분포를 보였다. 2) 전체 대변 검체 120개중에서 C형은 97개(80.8%)에서 결정이 되었고 P형은 102개(85%)에서 결정되어 120개 검체 중 l16개(97%)가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전자형이 결정되었다. 3) p형은 P[4]가 77례(64.2%)로 가장 많았으며 P[6]가 22례(18.3%), P[8]가 1례(0.8%)이었다. 혼합감염은 P[4]/P[6]가 12례(10%), P[4]/P[8](0.8%) 1례로 나타났고 유전자형이 결정되지 않은 것이 7례(5.9%)이었다. 4) G형은 G2가 74례(61.7%)로 가장 많았고 G1이 17례(14.2%), G4, G1이 각각 1례였다. 혼합감염은 G1/G2, G1/G4, G1/G9, G8/G9이 각각 1례로 나타났고 유전자형이 결정되지 않은 것이 23례(19.2%)이었다. 5) 조합형에 대한 분석을 하면 P[4]G2가 62례(51.7%)로 가장 많았고 P[6]가 7례(5.8%), P[6]G2가 7례(5.8%), P[4]/P[6]G1가 4례(3%), P[4]/P[6]G2가 4례(3%), P[4]가 3례(2.5%), P[8]G2가 1례(0.8%), P[4]G4가 1례(0.8%)로 나타났다. 결 론 : 2000년에서 2001년 사이 경상남도 지방에서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의 유행이 있었고 조합형에 대한분석을 해보면 P[4]G2가 62례(51.7%)로 가장 많았고 P[6]G1가 7례(5.8%), P[6]G2가 7례(5.8%), P[4]/p[6]G1가 4례(3%), P[4]/P[6]G2가 4례(3%), P[4]G1가 3례(2.5%), P[8]G2가 1례(0.8%), P[4]G4가 1례(0.8%)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결과에서 국내에서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의 유행이 확인되었고, 역학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전자형의 결과는 향후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개발과 도입에 있어 기초 자료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로타바이러스는 특성상 변이가 잘 일어나 새로운 유전자형이 쉽게 나타날 수 있고 백신은 유전자형에 특이하게 작용하므로 추후 지속적인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Rotaviruses are the major cause of gastroenteriti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worldwide. It is important to get the epidemiologic data of rotavirus genotype for the application of rotavirus vaccine. So we tri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rotavirus genotypes with RT-PCR. Methods : A total of 120 rotavirus latex agglutinin test positive stool samples were collected continually from 120 children from Sep. 2000 to Apr. 2001. Rotavirus P(VP4), G (VP7) genotypes were determined by RT-PCR. Results : The genotype was identified in 116 stool samples of total 120 samples(96%). The incidence of G genotype was as follow; G1 17(14.2%), G2 74(61.7%), G4 1(0.8%), G9 1(0.8%). There were four cases of multiple genotypes; G1/G2, G1/G4, G1/G9, G8/G9 and genotype of G3, G8 were not found. Twenty three(19.2%) samples were nontypeable. The incidence of P was as follow; P[4] 77(64.2%), P[6] 22(18.3%), P4/P6 12(10%), P[4]/P[8] 1(0.8%) p[8] 1(0.8%). Seven(5.9%) samples were nontypeable. Conclusion : Various combinations of G and P genotypes were observed. Most rotavirus strains were P[4]G2 62(51.74%), followed by P[6]G2 7(5.8%), and P[6]G1 7(5.8%), P[4/P[6] G1 4(3%), P[4]/P[6]G2 4(3%), P[4]G1 3(2.5%), P[8]G2 1(0.8%), P[4]G4 1(0.8%) in Kyoungsangnamdo, Korea during 2000~2001.

      • 위장관 증상이 없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동반된 신생아 경련 1례

        김영진,소경진,마상혁,Kim, Young Jin,So, Kyoung Jin,Ma, Sang Hyuk 대한소아감염학회 2004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1 No.2

        Rotavirus is a most common etiologic viral agent of pediatric gastroenteritis. Most newborns infected by rotavirus show no specific symptoms, yet, some of neonates can develop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intestinal perforation, necrotizing enterocolitis or even death. And rotavirus infection may cause only neurologic manifestation such as seizure without gastrointestinal manifestations in some neonates. We experienced a case of neonatal rotavirus infection with benign convulsion without gastrointestinal manifestations, and report this case with literature review as followings. 신생아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임상 양상은 무증상 감염으로부터 심한 탈수가 동반되는 위장관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위장관 증상이 없이 경련을 주소로 입원한 신생아에서 대변 검사 상 로타바이러스감염이 확인하여 신생아 경련의 원인이 인과관계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로타바이러스 감염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2개 지역에서 소아의 급성 바이러스성 하기도염의 유행성에 관한 역학조사

        문정희,소경진,정은희,신미용,이주석,박용민,이광신,안강모,이남용,마상혁,이상일,Moon, Jeong Hee,Suh, Kyoung Jin,Chung, Eun Hee,Shin, Mee Yong,Lee, Ju Suk,Park, Yong Mean,Lee, Kwang Sin,Ahn, Kang Mo,Lee, Nam Yong,Ma, Sang Hyuk,Lee, Sang 대한소아감염학회 2002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9 No.2

        목 적 :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하기도염은 병원에 입원하게 되는 가장 흔한 질병으로 이를 진단하는데는 역학적 진단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서로 다른 두 지역에서의 바이러스성 급성 하기도염의 역학조사를 시행함으로써 지역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1년 6월까지 마산 파티마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 급성 하기도염으로 입원한 환자 7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바이러스 검출은 비인두 분비물을 통해 시행하였다. 두 병원간 원인 바이러스, 연령분포, 임상증상, 계절 유행양상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1) 바이러스가 배양된 환아는 208명(26.1%)였다. 바이러스 검출율은 삼성서울병원 21.9%, 마산 파티마병원 30.0%였다. 삼성서울병원에서의 연령분포는 2세 이하의 환아가 60.2%였으며 5세 이상의 환아는 12.8%이었는데 비해 마산 파티마병원에서는 2세 이하의 환아가 90.0%였으며 5세 이상의 환자는 0.8%였다(P<0.05). 2) 마산 파티마병원에서는 RSV의 검출율이 높았고(72.3%), 삼성서울병원에서는 adenovirus, influenza type A와 parainfluenza virus의 검출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P<0.05). 3) 임상양상을 비교해 보면 삼성서울병원에서는 기관기관지염과 폐렴이, 마산 파티마병원에서는 모세기관지염과 크룹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P<0.05). 두 병원 모두 모세기관지염은 RSV, 크룹은 parainfluenza virus가 가장 많았다. 폐렴의 경우 삼성서울병원에서는 adenovirus, 마산 파티마병원은 RSV가 가장 많았고, 기관기관지염의 경우 삼성서울병원에서는 adenovirus, 마산 파티마병원은 influenza virus-type A가 가장 많았다. 4) 두 병원 모두 RSV는 가을과 겨울, parainfluenza virus는 봄, influenza virus는 겨울과 봄에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고 adeonvirus는 연중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 두 병원의 바이러스의 유행시기, 임상양상에 따른 원인바이러스의 분포결과는 유사하였다. 각 바이러스의 검출률과 임상상의 분포 등에서는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지역적 차이보다는 주로 대상연령군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 바이러스성 호흡기감염의 지역적 차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비슷한 연령군을 대상으로 한 전국적이고 지속적인 역학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y of viral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ALRI) in two different areas of Korea. Methods : A total of 796 patients hospitalized for ALRI aged 15 years or less from June 2000 to June 2001 in Samsung Seoul hospital(SSH) and Masan Fatima hospital(MFH) were enrolled. Viral etiologies were confirmed using nasopharyngeal aspirates. We compared etiologic agents, age distribution, clinical manifestations, and seasonal occurrence of viral ALRI between the two hospitals. Results : Virus was isolated in 208 patients(26.1%). The proportion of patients aged under 2 years in SSH was 60.2%, while those in MFH was 90.0%(P<0.05).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was more prevalent in MFH, but adenovirus, influenza virus and parainfluenza virus were more prevalent in SSH(P<0.05). Croup and bronchioliti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MFH than in SSH(P<0.05). The most frequent viral pathogens causing bronchiolitis and croup were RSV and parainfluenza virus, respectively, in both hospitals. Adenovirus was the main cause of pneumonia in SSH, in contrast to RSV in MFH. In terms of tracheobronchitis, adenovirus was detected most frequently in SSH, whereas influenza virus-type A was mainly isolated in MFH. Similar pattern of seasonal occurrences of RSV, parainfluenza virus and influenza virus-type A was noted in both hospitals. Adenovirus was isolated sporadically throughout the study periods. Conclusion : Seasonal occurrence and clinical syndromes according to viral pathogens showed similar pattern in two areas. However, distribution of offending viruses was different, although this is mainly related to the different age distribution. An annual nationwide surveillance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viral epidemiology associated with respiratory illness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