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찬기파랑가` 해독의 검토

        서정목(SUH, Chung-mok)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이 글은 ‘찬기파랑가’에 대한 여러 해독을 검토하고 새로운 해독안을 제시한 것이다. 1920년대(小倉進平(1929)), 1930-40년대(양주동(1942/1965/1981)), 1970-80년대(김완진(1980, 1986/2000)), 1990-2000년대(성호경(2004/2008))의 해독 하나씩을 검토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검토 기준은 어휘 형태소[실사]는 한자의 훈을 이용하여 적고 문법 형태소[허사]는 한자의 음을 이용하여 적는다는 향찰 표기의 원리이었다. 둘째 검토 기준은 중세 한국어의 문법 질서이었다. 중세 한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에 비추어 가능한 어형과 가능하지 않은 어형을 가려내어 적절한 해독안을 찾으려 하였다. 그 결과 도달한 이 노래에 대한 필자의 해독안과 현대 한국어로의 이해는 다음과 같다. 이 해독에는 서정목(2014c)에서 논의한 제4행과 제5행이 순서가 바뀌었다는 가설을 반영하였다. 거기에 따라 의미 단락을 4행-4행-2행으로 나누어 전형적인 10구체 향가의 모습을 보이게 적었다. <다음> 중세 한국어 현대어 역 늣기며 바라매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발긴 다라리 이슬 밝힌 달이 힌 구룸 조초 뜨간 언저레 흰 구름 좇아 떠간 언저리에 耆郞이 즈시옳 시 수피여(원 제5행) 노화랑의 모습일 시 숲이여 몰개(랄) 가란 믈기슭어해(원 제4행) 모래(를) 가른 물 기슭에 일오나릿 재벽아해? 일오내 자갈밭에 郎이여 디니더샨 郎이여 지니시던 마사뫠 가살 좇나오라 마음의 가를 좇노라 아아, 자싯 가지 노포 아아, 잣가지 높아 누니 모달 지줋 곳갈이여 눈이 몯 짓누를 곳갈이여 필자의 해독안은 김완진(1980, 1986/2000)의 해독과 거의 같다. 필자가 달리 해독한 것을 굳이 적는다면 다음과 같다:‘咽嗚爾’를 ‘늣기며’로 해독하고 ‘露曉邪隱’을 ‘이슬 발긴’으로 해독하였다. ‘浮去隱’을 "뜨간’이라는 비통사적 합성어로 보았다. ‘藪邪’를 ‘수피여’로 보았다. ‘沙是’를 대격형인 ‘몰개(?)’로 보고 ‘汀理也中’을 ‘믈기슭어해’로 해독하였다. ‘?惡希’를 ‘재벽아해"로 보았다. ‘持以?如賜烏隱’을 ‘디니더샨’으로 보고, ‘逐內良齊’를 ‘좇나오라’를 적은 것으로 보았다. In this paper, I make a scrutiny into various decipherments of ‘Chan-Kiparang-ka’. The objects of examination are four decipherment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s of the eras of 1920s(Ogura(1929)), 1930s-40s(Yang(1942/1965/1981)), 1970s-80s(Kim(1980, 1986/2000)), and 1990s-2000s(Sung(2004/2008)). The first criterion is the principle of the Hyangchal writing that the lexical morphemes were written with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the grammatical morphemes were written with the sound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 second criterion is the grammar of Middle Korean. I pursued the ideal decipherment through the investigation that picked out the possible word forms, on the basis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Middle Korean. As a result, I reached the following decipherment. In this decipherment, I changed the order of the fourth line and the fifth line as discussed in Suh(2014c), and divided the poem into 4-line, 4-line and 2-line stanzas like the typical 10-line-form Hyangka. <In Middle Korean> Neuski-myeo Bara-mai Iseul Bal-gi-n Daral-i Huin Gureum Chocho Pteu-ga-n Eonjeori-e Kirang-eui Cheus-i-o-l-s-i Sup-iyeo Molgae Karu-n Mul Kisurg-eohuy Ilo Narit Chaevyeok-ahuy Nang-iyeo Tini-deo-sya-n Mazam-uy Kaz-ul Cho-na-o-ra Ah ah Chasi-s-kaji Noph-o Nun-i Modal Chich-u-l Kotkal-iyeo My decipherment is nearly the same as Kim(1980, 1986/2000)’s decipherment. Some different ideas are as follows:‘咽嗚爾’ was read as ‘neuski-myeo’, ‘露曉邪隱’ as ‘iseul balg-i-n’, ‘浮去隱’ as ‘pteu-ga-n’, ‘沙是’ as the accusative form ‘molgae-(reul)’, ‘汀理也中’ as ‘mul-kiseul-eohuy’, ‘藪邪’ as ‘suph-iyeo’, ‘?惡希’ as ‘chayvyeok-aheuy’, ‘持以?如賜烏隱’ as ‘tini-teo-sya-n’, and ‘逐內良齊’ as ‘chos-na-o-ra’.

      • KCI등재

        측정이론에 관한 중학교 1 학년 학생의 선개념 조사

        서정아(Jung Ah Suh)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3

        This study investigates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measurement theory; repeating measurements, how to handle repeat measurements, measurement errors, and uncertainty. Thirty students in seven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udents` conceptions were elicited us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notes. Half of the students measured only two times, and none of them more than five times. After repeating measurements, seventy seven percent of them selected result according to their feelings, while only thirteen percent of them calculated the mean. Sixty percent of them regarded the main cause of measurement errors as their mistakes, not as the problems of environment or measuring instrument. Most students thought the main reason of various results by different persons or time period as human. Forty percent of them denied the uncertainty of measurement, while thirty three agreed, and most students thought the reason of uncertainty was due to human imperfection. This study showed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did not know how to handle repeat measurements, and they regarded the cause of measurement errors as their mistakes. In addition, they thought the main reason of various measuring results and uncertainty as human.

      • 웹 GUI에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 대한 연구

        서정미(Suh, Jeong Mi)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9 디자인지식저널 Vol.12 No.-

        웹 브랜딩은 사이트 구조와 구조에 담긴 내용 그리고 시각 컨텐츠로 부터 생성되는 "이야기하기(storytelling)"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3가지 심상모형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사용자 심상모형을 이해하기 위해 인지심리학의 장기기억을 살펴 보았으며,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 이미지 스토리텔링을 지닌 인터페이스와 장기기억의 감정을 지닌 사용자 사이의 상호구조 안에서 작용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먼저 인터페이스 3가지 심상모형 중 사용자에 대해 살펴보고 "내러티브"를 시작으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스토리텔링 구조를 살펴보아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 사용자 장기기억 속 이야기를 자극하여 웹 브랜딩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논하고자 한다. 또 광고회사 Nakedcomms.com 의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20대 남녀 대학생 100명에게 단순 설문조사 및 주관식 서면 인터뷰를 하여, 사용자의 장기기억과 웹GUI의 이미지 내러티브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 사용자의 긍정 또는 부정의 감정을 유도하여 웹 브랜딩 제고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Web branding should begin with understanding of site structure, contents in it and "Storytelling" created by the visual contents. To understand the user image model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three Interface Image Models, long-term memory of cognitive psychology was observed to find that Interactive story telling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s who have interface contained in the image story telling and who have feelings of long-term memory. Beginning with "Narrative" the concept of "Interactive Story Telling and the structure of Story telling were examined for the user among the three Interface Image Models to suggest that Interactive Story telling stimulates the story in user"s long-term memory and gives effect on Web branding. And a simple survey and prepared interview with 100 male and female students in 20 s were performed for the advertising company. Nakedcomms.com.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Story telling between the user"s long-term memory and image narrative of Web GUI induces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of user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Web branding.

      • Mechanism of drug-induced liver injury

        서정일 ( Jeong Ill Suh ) 대한간학회 2012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2 No.1

        약물에 의한 간손상은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문제이며, 발생 기전은 복잡하고 매우 다양하다. 급성 간세포 손상 기전을 내인성과 특이반응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전통적인 접근방법에서 최근에는 초기 간세포 손상, 미토콘드리아 투과성 전이 및 세포자멸사/괴사 3단계로 나누어 설명하는 쪽으로 개념이 바뀌었고 각 단계별로 여러 가지 유전인자와 환경인자가 관련되어 개인간 차이를 보여준다. 최근 수많은 유전자를 한꺼번에 밝힐 수있는 광범위 유전자 연관 연구(gen Drugs can cause a wide range of drug induced liver injury, from mild elevated liver enzymes without symptoms to fulminant hepatic failure. The spectrum of drug induced liver injury are hepatitis, necrosis, cholestasis, steatosis, vascular/sinusoidal disease as well as neoplasia. The exact mechanism of drug induced liver injury remains largely unknown and complicated. Direct hepatotoxicity, immune reactions including both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and mitochondrial injury and so on are involved in mechanism of drug induced liver injury. Environmental risk factors and underlying individual genetic factors also influence susceptibility to drug-induced liver injury. Recently, several research studies using pharmacogenomics, toxicogenomics, transcriptomics, proteomics and metabonomics are ongoing to further understand the mechanism of drug-induced liver injury.

      • KCI등재

        분말 활성탄이 혼재된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불소 제거에 관한 연구

        서정인 ( Jung-in Suh ) 한국수처리학회(구 한국수처리기술연구회) 2020 한국수처리학회지 Vol.28 No.1

        Powered activated carbon(PAC), commonly used for the removal of dissolved organics, taste and odor from drinking water, has generated additional that can not be regenerated as spent granular activated carbon. This study examined the maximum fluoride adsorption capacity of three dewatered waterworks sludges(DWS) sampled from two water treatment plants located in D city.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batch mode using a 24-hour equilibrium time and a 0.1 ∼ 0.5 mm particle size. Fluoride removal was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DWS dosage, but specific uptake of fluoride per mass of DWS was decreased in three DWS. Adsorption data were modeled using the Langmuir adsorption isotherms. The maximum fluoride adsorption capacity of DWS was found to be 0.31 ∼ 0.762 mg /g. The maximum fluoride adsorption capacity of DWS containing PAC(P-D) was about 2.4 times higher as compared to that of DWS without PAC(N-D). Conversely, the aluminum content of N-D was about 1.4 times higher as compared to that of P-D. These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he presence of activated carbon in the adsorption of fluoride played a positive role with the content of aluminum, and that P-D can be used for adsorption of fluoride from aqueous solutions.

      • KCI등재

        시댁, 친정 부모와의 지원 교환은 공평한가?

        서정분(Jung Bun Suh),한정란(Jungran Han),이남(Nam Lee),양희(Hee Yang) 한국노년교육학회 2022 노년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기혼 여성자녀가 시부모 및 친정부모와의 세대 간 관계에서 느끼는 지원 교환 호혜성 수준은 어떠한지 그리고 양가 부모와의 지원 교환 호혜성 간에 차이가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지역 유치원에 재원중인 원아를둔 어머니 327명을 대상으로 세대 간 지원 교환의 호혜성을 조사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부모와의 관계에서 시부모에게 자녀가 주는 지원 교환에서 받는 지원과 주는 지원 간의 호혜성 비교 결과, 지원의 총합, 도구적 지원, 경제적 지원, 정보적 지원 면에서 시부모에게 받는 것보다 더 많이 제공하고 있어 호혜적이지 않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정부모와의 지원 교환에서는 시부모의 경우와는 반대로 지원의 총합과정서적 지원, 정보적 지원에서 친정부모에게 받는 지원이 친정부모에게 제공하는 지원보다 많다고 지각하였다. 셋째, 여성자녀들은 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 경제적 지원, 정보적 지원 및 전체 지원 총합 모두 친정부모에게 더 많은 지원을 받고 경제적 지원을 제외한 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 정보적 지원 및 지원 총합에서 시부모보다 친정부모에게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는 모계화 및 양계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가족문제 해결 및 세대갈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iprocity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s and its characteristics which married women feel in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with their own parents and parents-in-law. For the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ciprocity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s on 327 married women with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in Chungcheongnam-Do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e conducted t-test, one-way ANOVA, and paired t-test using SPSS 21.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in-law, the subjects felt that they were giving more total, instrumental, economic, and information support to their parents-in-law than they were receiving from their parents-in-law; 2) On the contrary, the subjects felt that they were receiving more total,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from their pro-parents than they were giving to their pro-parents were; 3) The subjects showed matrilinealization or bilateralization that they received more emotional, instrumental, economic, informational, and total support from their pro-parents than form their parents-in-law, and they gave more emotional, instrumental, informational, and total support to their pro-parents than to their parents-in-law.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d some suggestions to resolve family problems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