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DeSanctis-Cacchione 증후군 1례

        김종서(Jong Suh Kim),서은숙(Eun Sook Suh)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2

        저자들은 태양광 노출부위의 주근깨 모양의 색소침착, 사래들림, 청색증을 주소로 내원한 17세 여아에서 특징적 피부소견과 정신지체에 근거하여 국내 최초로 Desanctis-Cacchione 증후군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Xeroderma pigmentosum is autosomal recessive, degenerative disease generated by abnormal repair of DNA damaged by ultraviolet radiation and environmental mutagens. DeSanctis-Cacchione syndrome is the most severe form of xeroderma pigmentosum variant. This syndrome is characterized with microcephaly, progressive mental retardation and deterioration, retarded growth and se텨미 development, sensorineural deafness, and cerebellar ataxia, choreoathetsis, quadriparesis. We describe the case of a 17 year old femeal patient, which ifts into Desanctis-Cacchione syndrome clinically.

      • KCI등재

        토혈을 동반한 회맹장형 장중첩증 1례

        김영희,김승수,서은숙,Kim, Young Hee,Kim, Seung Soo,Suh, Eun S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7

        Intussusception is a common cause of lower intestinal bleeding from five to 11 months of age. Typical symptoms are paroxysmal colicky pain, irritability, vomiting, abdominal mass and currant jelly stool, but hematemesis is rare. Though the most common type of intussusception is ileocecal type, it is rarely accompanied with hematemesis. Up until the present, hematemesis has been observed rarely but only in ileoileal type intussusuption for children and gastrojejunal or jejunojejunal type intussuception for adults who went through gastrectomy. We report a case of the ileocolic type intussusception associated with hematemesis in a 18 months old child. 저자들은 소아에서 토혈과 혈변으로 내원하여 회맹장형 장중첩증으로 진단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며, 토혈을 동반한 환아의 진단에 있어 장중첩증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신생 백서의 저산소성 허혈증에 의한 뇌손상 후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정지희(Jee Hee Jung),서은숙(Eun Sook Suh),김창휘(Chang Hwi Kim),은백린(Baik-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1

        목 적 : 다형 백혈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와 단핵세포, 대식세포 등의 백혈구가 대뇌 허혈증이나 뇌졸중의 발병 기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신생백서를 이용한 저산소성 허혈성 실험 모델에서 뇌조직의 괴사가 일어나기 전에 중성구가 조직에 축적되며, 중성구를 혈중에서 제거함으로서 저산소성 허혈증에 의한 뇌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미성숙 뇌에서 저산소성 허혈증 후 중성구가 뇌조직에 축적되는 정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ICAM-1이 미성숙 뇌에서 저산소성 허혈증에 의한 뇌손상을 유도한다는 가설하에 생후 7일된 신생 백서를 이용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모델을 이용하여 ICAM-1의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방 법 : 7일된 Sprague-Dawley 백서(n=36)를 사용하여 methoxyflurane 마취 하에 우측 총 경동맥(common carotid artery)을 결찰하고 약 1시간 동안 보육기에서 회복시킨 후, 37 수조에 일부가 잠겨있는 유리용기에서 2시간 30분 동안 8%산소에 노출시켰다. 대조군으로는 단순 총경동맥 결찰군, 단순 저산소 노출군, 정상군 등을 이용하였다. 허혈 및 저산소 후 0, 1, 2, 4, 8, 12, 24, 48시간 뒤 백서 대뇌의 좌측과 우측 대뇌피질, 해마, 선조체로부터 각각 전(total) RNA를 추출한 뒤 RT-PCR을 통해 ICAM-1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 ICAM-1 유전자 발현은 총경동맥을 결찰한 동측(우측) 뇌피질, 해마, 선조체 모두에서 허혈 및 저산소증 직후부터 증가하여 4시간과 8시간 뒤에 가장 높았고, 그 후 감소하여 24시간과 48시간 이후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대조군에서는 모두 ICAM-1 유전자가 검출 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총경동맥을 결찰한 반대측(좌측)에서도 ICAM-1 유전자가 발현되었으나 경미하였고 2시간이내에 약간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결 론 : 미성숙 뇌에서 저산소성 허혈성 뇌 손상 시 ICAM-1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이같은 결과는 중성구의 동원(recruitment)과 이에 연속되는 뇌손상과 실험적으로 일치하여 ICAM-1이 미성숙한 뇌에서의 저산소성 허혈증에 의한 뇌손상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Leukocytes, both polymorphonuclear leukocytes(PMNL) and monocytes/ macrophag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the cerebral ischemia and stroke. Neutrophils accumulate in post-hypoxic-ischemic neonatal rat brain prior to the evolution of necrosis and neutrophil depletion attenuates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However, the mechanisms leading to post-hypoxic-ischemic neutrophil accumulation are unknown yet. We hypothesized that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might mediate post-hypoxic-ischemic injury in the immature brain; thus, we evaluated ICAM-1 gene expression in post-hypoxic-ischemic neonatal(postnatal day 7) rat brain. Methods : Neonatal rats(n=36) underwent right carotid ligation followed by exposure in 8% 02 for 2.5 hours; this procedure typically produces ipsilateral striatal, hippocampal and cortical infarction. Control groups are included by carotid ligation alone, hypoxia alone, and neither hypoxia nor ligation. For RNA extraction, rats were killed 0, 1, 2, 4, 8, 12, 24 and 48 h post- hypoxia-ischemia and RT-PCR was carried out. Results : ICAM-1 mRNA was barely detected in the controls including normal and sham operated animals. In the cortex, striatum and hippocampus, ICAM-1 mRNA was significantly induced in the ipsilateral(right) side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left) side just after hypoxia-ischemia. The elevated ICAM-1 mRNA gradually reached a peak at 4 or 8 h and then decreased to an almost basal level by 24 to 48 h. In contrast, the less pronounced contralateral(left-sided) ICAM-1 mRNA expression appeared to peak earlier, within 2 h post-hypoxia-ischemia. Conclusion : The temporal profiles of post-hypoxic-ischemic ICAM-1 mRNA expression are consistent with a role in post-hypoxic-ischemic neutrophil recruitment and in the evolution of subsequent brain injury.

      • KCI등재후보

        만삭아에서 발생한 신생아 경련의 임상 양상과 위험인자

        김민영(Min Young Kim),서은숙(Eun Sook Suh) 대한소아신경학회 200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7 No.1

        목적:신생아 경련은 신생아의 신경학적 문제를 초래하고 신생아 유병률 및 사망률과 중요한 연관성을 가진다. 그 중 만삭아 경련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만삭아 경련 발생의 위험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 임상적 특징에 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환자-대조군 빈도 짝짓기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후향적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만삭아 경련에 대한 위험인자로 신생아와 모성 측면의 인자를 포함하였고 만삭아 경련의 발생 시기, 발생형태, 뇌파 및 영상학적 소견, 치료 반응 등을 분류하였다. 결 과:만삭 신생아의 경련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서 신생아 가사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모성 측면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뤄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경련의 발생 시기는 전반적으로 고른 분포를 나타냈으나, 신생아 가사에 의한 경련은 9명 중 8명(88.9%)이 48시간 내 발생하면서 조기에 유발되었다. 경련 형태는 다양하였지만 신생아 가사를 보인 만삭 경련아의 9명 중 5명(55.5%)이 비전형적 경련 형태를 보이면서 신생아 가사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경련 형태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전신 강직성 경련은 경련이 조절되지 않은 환아 6명 중 3명(50%)에서 관찰되었고 예후가 가장 좋지 못하였다. 뇌파는 검사를 시행한 34명의 환아 중 29명(85.3%)이 이상 뇌파 소견을 나타내어 진단적 도움이 되었다. 뇌영상학적 검사로 MRI, CT, 초음파를 44명에게 시행하였으나 진단적 특이 소견은 없었다. 만삭아 경련아에게 항경련제의 사용은 투여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투여한 경우가 경련 조절에 효과적이었다. 1차 항경련제로 phenobarbital을 사용하였고 2차 항경련제로 phenytoin을 투여하였으며, 경련아 48명 중 23명(48.0%)은 1차 phenobarbital 투여만으로도 경련이 조절되었다. 대사성 장애에 의한 경련은 항경련제 도움 없이 대사 이상의 교정만으로도 경련이 조절되기도 하였으나, 항경련제를 동시에 투여하기도 하여 감별이 어려웠다. 그러나 신생아 경련은 급성 발작 형태로 나타나며 신경학적 장애를 더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경련이 발생하면 우선적으로 항경련제를 투여하는 방향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만삭아에서 발생한 경련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신생아 가사는 만삭아 경련을 유발하는 가장 흔하고 중요한 인자였다. 그 외에 보고된 여러 위험인자들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신생아 가사에 의한 만삭아 경련은 조기에 발생하고 항경련제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사망 혹은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 가사에 의한 만삭아 경련을 규명하고 관련 위험인자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경련의 발생을 예측하고 미리 관리하는 것이 도전 과제로 남는다. Purpose:Neonatal seizures reflect neurologic disorders, affecting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Nevertheless, risk factors for seizures in term infants have been less well defined. We studied risk factor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associated with term neonatal seizures. Methods:We used retrospective case-control frequency matching study. We not only identified risk factors for term neonatal seizures, but also analyzed day of seizure onset, seizure types, findings of EEG and neuroimagings, and response to treatment. Results:Our data showed that asphyxia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neonatal seizures in term infants. We could not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risk factors and the risk of term neonatal seizures. Days of seizure onset were diverse. The seizures caused by asphyxia occurred earlier, of which 90% did within the first 48 hours. Various types of seizures were observed of which subtle seizures were the most common type in neonatal asphyxia. EEG was diagnostically available. However, it did not provide critical evidence to predict prognosis of their seizures. Neuroimaging studies were not helpful for the clinical diagnosis. Term infants with seizures who used antiepileptic drugs showed effective responses in managing seizures. There were no sustained seizures in 48 % of all cases who used phenobarbital only. Conclusion:We confirmed neonatal asphyxia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term neonatal seizures. Other risk factors are required to be further evaluated. We should identify and establish etiologic risk factors for term neonatal seizures particularly following neonatal asphyxia, and challenge to predict seizure onset and manage presumed seizures in advance.

      • KCI등재후보

        뇌연화증이 초래된 Shaken Impact Syndrome 1례

        박봉서(Bong Seo Park),서은숙(Eun Sook Suh),이동환(Dong Hwan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2

        본 저자들은 13개월 여아에서 아빠의 학대로 인하여 발생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경막하 출혈과 의식 저하, 두개골 골절과 늑골 골절, 경막하 출혈 등이 발생하고 뇌연화증과 시력 상실, 영아 연축, 운동 장애를 보이는 shaken impact syndrome 1례를 경험하였기에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ead trauma is the most frequent cause of morbidity and death in abused children. The shaken impact syndroma results from both types of injury-impact and severs acceleration-deceleration effects associated with impact causing shearing forces on the bridging veins and parechyma. To make the diagnosis of shaken impact syndrome, the physician should be suspicious of every child under 1 year of age with non-accidental brain injury and altered consciousness. Certain clinical features such as retinal hemorrhage, complex, depressed, or diastatic fractures, and associated findings such as metaphyseal fracture and failure to thrive make the diagnosis of abuse more likely. Yet in the absence of these findings, the diagnosis of abuse rests upon discrepancies between the history given and the injury incurred. We experienced a case of shaken impact syndrome in a 13 month-old female who had subdural hemorrhage, fractures of skull and rib, and encephalomalacia, so we report and review the related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신경학적 질환의 빈도와 관련인자

        김동원(Dong Won Kim),서은숙(Eun Sook Suh)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2

        목 적:사회경제적 발달과 신생아 집중 치료실의 질향상 및 의료발달, 미숙아 출생예방 등으로 신생아 중환자의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신경학적 질환의 빈도는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신경학적 질환의 종류와 빈도, 재태 연령과 체중과의 연관성, 사망률과 생존자들에서의 신경학적 장애 경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1997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1,399명의 신생아 중 두개내 출혈, 신생아 경련, 저산소 허혈성 뇌증, 중추 신경계 감염증, 중추 신경계 기형 및 염색체 이상 중 1개 이상의 신경 질환을 진단 받았던 156명을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연구 기간동안 신경학적 이상이 있었던 156명의 신생아들은 총 193개의 신경학적 이상이 있었다. 신생아 사망률은 1997년에 0.9%, 2001년에 0.8%로 1997년에 비해 2001년에는 11.1% 감소하였다. 신경 질환의 빈도는 1997년에 3.2%, 2001년에 11.5%로 1997년에 비해 약 3.6배 증가하였다. 신생아 중환자실의 신경학적 이상이 없었던 환아의 사망률은 1997년에 4.7%, 2001년에 2.4%로 5년간 감소하였으나, 신경학적 이상이 있었던 환아의 사망률도 1997년에 5.6%, 2001년에 5.5%로 비슷하였다. 156명 중 두개내 출혈이 134명(1997년에 5.0%, 2001년에 38.2%), 신생아 경련이 28명(1997년에 0.6%, 2001년에 6.0%),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이 24명(1997년에 2.2%, 2001년에 2.3%),중추신경계 감염증이 2명, 중추신경계 기형 및 염색체 이상이 5명(1997년에 0.3%, 2001년에 0.9%)이었다. 5년간의 연구기간동안 신생아 경련과 두개내 출혈 빈도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저산소성 허혈성뇌증은 큰 변화가 없었다. 결 론:1997년에서 2001년 동안 신생아 중환자실의 생존률은 향상되었으나, 신경 질환의 이환률은 증가하였다. 신생아의 신경 질환의 예방을 위해 미숙아 분만의 예방과 두부 초음파의 선별검사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ecent neonatal care unit survival rates have improved. These increasing survival rates have resulted in increased neurologic disorders. So we investigated the sorts and frequency of neurologic disorders at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ssociation between gestational age and birthweight, neonatal mortality and tendency of neurologic disorders in survivors. Methods: Retrospective reviews were made on 156 cases with one or more neurologic disorder of 1,399 neonates,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oonchunhyang Hospital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2001. Neurologic disorder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intraventricular hemorrhage, neonatal seizures,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and central nervous system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chromosomal aberrations. Results: Over the study period, 156 cases with neurologic disorders had a total of 193 neurologic disorders. The frequency of neurologic disorders increased from 3.2% in 1997 to 11.5% in 2001, while the neonatal mortality rates in intensive care unit have declined from 4.8% in 1997 to 3.7% in 2001. In 156 neonates, 134 ha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28 had seizures, 24 had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2 had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s and 5 had congenital central nervous system malformation and chromosomal aberration. Frequencies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seizure has increased, but, that of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as not changed, for the 5 years. Conclusio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urvival rates have improved for 5 years, but, the neurologic morbidity rates have increased. Because neurologic disorders have great influence on the long-term neurologic disability,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neurologic disorders is important.

      • KCI등재후보

        페닐케톤뇨증 환자의 뇌자기공명영상 소견

        김영희(Young Hee Kim),서은숙(Eun Sook Suh),이동환(Dong Whan Lee),홍현숙(Hyun Sook Ho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페닐케톤뇨증 환자의 뇌 자기공명 영상소견은 T2 강조 영상에 두정엽이나 후두엽 백질에서 대칭적으로 비특이적 고신호 강도를 보이며, 질환의 진행시 고신호 강도는 전두엽이나 측두엽, 피질하 백질로 침범된다고 보고 되어 있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관찰된 페닐케톤뇨증 환아의 진단 당시 뇌 자기공명 영상 소견과 페닐알라닌 농도 및 연령과 영상 소견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방법:생화학적 검사로 진단된 환아 중 뇌 자기 공명 영상을 시행한 1개월에서 15세 3개월까지의 16례(남아 9례, 여아 7례)의 페닐케톤뇨증 환아를 대상으로 뇌 자기공명 영상에서 병변의 신호강도, 이상 신호강도의 분포, 뇌 위축의 유무를 관찰하고, 뇌 자기공명 영상의 T2 강조영상에서 고 신호강도를 정상,경증(뇌실 주변부 백질의 고 신호강도), 중등도(뇌실 주변과 심부 백질의 고 신호강도), 그리고 중증(고 신호강도가 전두엽까지 침범된 경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1) 남아 9명, 여아 7명의 총 16명 중 10례에서 T2 강조 영상에서 백질에 다양한 정도의 고신호강도를 보였으며, 특히 뇌실 주변부 백질이 가장 심하게 침범되었다. 경증이 6례, 중등도가 3례, 중증이 1례 관찰되었다. 2) 환아의 연령과 MRI 소견상의 이상소견과의 관계에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3) MRI 소견이 정상이었던 6명의 환아에서 평균 혈중 페닐알라닌 농도는 26,4 mg/dL 이었으며, 경중은 27.6 mg/dL, 중등도는 28.2 mg/dL, 그리고 중증은 20.8 mg/dL이었다. MRI를 시행한 모든 환아에서 페닐알라닌 농도는 유사하게 관찰되어 MRI 소견과 페닐알라닌 농도와의 연관성이 없음이 관찰되었다 결론: 페닐케톤뇨증 환자의 뇌 자기공명 영상소견은 T2 강조 영상에서 뇌실 주변과 두정엽, 후두엽 백질에 대칭적으로 보이는 비특이적 고신호강도가 있었으며, 병변이 진행된 예에서는 기저 신경절, 중뇌, 뇌교 그리고 전두엽, 피질하 백질 침범이 관찰되었다. 연령 및 페닐알라닌 농도와 영상소견의 신호강도의 정도와는 연관은 보이지 않았다. MRI 소견은 페닐알라닌 농도와 가장 강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나, 저자가 관찰한 16명의 환자 중 9명(56%)이 4세 이하의 환아이므로 백질의 이상 소견과 혈중 페닐알라닌 농도와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어 결과의 차이를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Abnormalitie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of the brain occur in some patients with phenylketonuria(PK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lation between MR findings, age and serum phenylalanine level. METHODS: We investigated sixteen patients with biochemically documented PKU who also underwent MRI. Typical classic form was in thirteen patients, atypical in other two patients and malignant hyperphenylalaninemia in the other two patients. We evaluated signal intensity, the distribution of abnormal signal intensity, and the extent of the brain atrophy in MRI, and possible clinical correlation between age and serum phenylalanine level and abnormal signal intensity. RESULTS: MRI scans revealed areas of abnormally increased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s in 10(62%) patients, preferably involving the parieto-occipital lobes. In one advanced case, the high signal intensity of both the parietal and frontal lobes was seen on T2-weighted images, and brain atrophy and gyriform enhancement on contrast enhanced T1-weighted images. In six(38%) patients, the findings were normal. No abnormalities were found in the basal ganglia, brain stem and cerebellum. Nine patients were under age of 5 years old.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average serum phenylalanine levels for the various groups having different degree of MRI abnormalities(normal, mild, moderate, and severe - 26,4 mg/dL, 27.6 mg/dL, 28.2 mg/dL, and 20.8 mg/dL, respectively). CONCLUSION: Although MR findings were not specific, PKU patients showed symmetrical high signal intensity, predominantly in the peritrigonal region. In the advanced case, on T2-weighted images, high signal intensity extended to the periventricular and subcortical white matt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ge, serum phenylalanine level and severity of high signal intensity.

      • Headache with Dural Thickening on MRI as an Initial Presentation of Leukemia: A Case Report

        유상수(Sang Soo Yoo),서은숙(Eun Sook Suh) 대한소아신경학회 201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0 No.4

        두통은 일차성과 이차성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차성 두통은 중추신경계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한 두통을 의미하며, 이차성 두통의 원인에 따라 환아를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저자들은 급성, 지속성 두통으로 내원한 환아의 MRI 영상에서 경막 비후를 보인 증례를 소개한다. 경막의 생검 결과 전구 B세포성 림프모세포 림프종이 확인되었다. 환아는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을 진단받았고 두통은 급성 백혈병의 첫 증상이었다. 이 증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차성 두통에 대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원인을 밝혀내려는 노력이 중요하며, 두개 내 병변이 의심되는 병력이나 비정상적인 신경학적 진찰을 보이는 환아에게는 영상학적 검사가 고려되어야 한다. Headache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rimary and secondary. Secondary headaches are associated with central nervous system or other pathology, and the underlying cause of a secondary headache can lead to death. For that reason, a thorough history and examination is key to determining the cause of headache. Other investigations including neuroimaging studies should be strongly considered in children with a history worrisome for intracranial pathology or an abnormal neurologic examination. We present a case of headache with diffuse hypertrophy of the dura mater due to lymphomatous dural infiltration. MRI revealed diffusely enhancing dural thickening. Biopsy of the dura mater found precursor B-cell lymphoblastic lymphoma.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nd the headache was the initial presentation of acute leukemia. In this case, the rapid expansion of the dura mater resulted in elevation of intracranial pressure and caused an acute onset, progressive headac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