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Effect of First Year Experiences on Retention

        서원석(Wonseok Suh)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3

        학생들의 학업 중단은 재정적 손실, 졸업률 저하 및 학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으로 인하여, 대학과 같은 고등교육기관이 직면하고 있고 해결해야 하는 도전적 이슈이다.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접하게 되는 여러 가지 경험들 가운데 학업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인식 요소들을 살펴보고, 대학 신입생들이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학습을 유지하는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자 연구가 수행되었다. 총 853명의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에 의하며, 3가지의 인식 요인들 즉, 학습 환경 분위기, 학업 경험, 협동학습 경험이 신입생들의 학업 유지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가 새로운 학습 커뮤니티에서 신입생의 입장으로 겪는 다양한 경험들이 궁극적으로 학업 유지에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다는 점을 보여주며, 특히 학생과 교수자의 상호작용 및 협동학습의 경험이 학습유지를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입 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사내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도 사원들의 지속성 있는 능력개발 및 유지를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제시해 준다. Dropping out i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issu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because drop-out directly affects lower graduation rates, financial loss, and negative impressions of learning.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the first year experiences on students’ retention aiming to investigate and sought to find out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retention rate based on six student perceptions in the first year of college life of 853 freshmen cohort.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ree major perceptions(classroom climate, academic experience, an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of first year experiences, 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had relatively high degree of influence over students’ reten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first year of experiences in academic learning community are very critical requisite for students retention and quality interaction and collaborative working experience are important factor to decrease students’ drop-out. In addition, this result has the potential application to orientation program of new employees for positive experiences in workplace.

      • KCI등재
      • KCI등재

        지역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정부간 협력과 정부내 협력에 관한 연구

        서원석(Suh Won-Seok),하규만(Ha Kyoo-Man),권용수(Kwon Yong Soo) 한국지방정부학회 2004 지방정부연구 Vol.7 No.4

        광역자치단체가 지역 인적자원개발을 위하여 직업, 교육, 훈련을 통하여 각 단위의 정부들과 맺는 정부간 관계는 연결과 협력이 강조되는 정책공동체, 파트너십 혹은 네트워크 조직에서 구성되어야만 하며 이러한 협력방식은 국제기구별 그리고 국가별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인적자원개발을 위하여 광역자치단체를 포함한 해당정부의 협력을 도출하는데 있다. 사실, 광역자치단체는 중앙 부처들과의 관계, 교육기관과의 관계, 직업교육훈련협의회 구성을 통하여 협력을 거의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논문의 초점은 개선된 방안으로서 ① 광역자치단체의 강화된 권한과 책임 그리고 특히 세원확보를 통한 광역자지단체와 중앙정부의 역할 재분담, ② 교육의 전체적 방향조정, 평생교육, 기타 교육업무를 통한 광역자치단체와 교육기관과의 관계 재정비, ③ 직업교육훈련협의회에 관한 광역자치단체장의 벤치마킹을 통한 인식변화를 강조하였다. The inter-governmental relations, which wide-area local governments would like to make for their regional human-resources development through occupation,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based on the policy community, the partnership, or the network-organization, in the context of connection and cooperation. Also, the way of making cooperation among them is various according to ethnic nation and organiz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purpose of paper is to expand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for regional human-resources development, in particular in terms of wide-area government. In fact, it has been almost difficult for wide-area local governments to make their cooperative relations with central government agenci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Committee for Occupation, Education, and Training (COET) so far. The focus of paper, as alternatives, has been given on the fact that ① the power and the responsibility of wide-area local government should become greater to include its stronger role in keeping tax bases than that of central government, ② the relation between wide-area local government and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improved for better educational climate, life-long education, and other educational works, and ③ the governor of wide-area local government should change his way of thinking on COET through benchmarking it from a specific wide-area province.

      • 공무원 계약임용의 방법에 관한 연구

        서원석 ( Won Seok Suh ) 한국행정연구원 1999 기본연구과제 Vol.1999 No.-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개방형직위제도는 우리나라 공무원 제도의 폐쇄성을 극복하고, 개방형 임용체계를 도입하는 새로운 시도이다. 그러나 개방형 임용체계를 효과적으로 운영해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이 제한적인 개방형직위의 운영만으로 효과적인 개혁을 이루어 나가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행 개방형직위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써, 직위분류제의 전면적인 실시와 공무원 계약제의 도입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선 현행 개방형직위제도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제한적인 직위의 개방만으로는 직업공무원제의 폐단을 시정할 수 없으며, 따라서 공직의 개방방법은 공직사회 전반에 광범위하게 직위분류제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개방화를 추진하는 것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따라서 중간단계로서 개방가능한 직위의 일정비율을 정하고, 이 비율을 점차 확대하는 점진적인 추진전략이 필요하지만, 현재와 같이 일정비율의 공직만을 개방화의 목표로 삼고 그 비율에 만족하여서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개방형 임용제의 도입을 주장하는 논리가, 우리 나라 공직사회의 문제점으로 신분보장과 폐쇄성을 지적하고 있고,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개방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개방형 임용제에서도 신분보장이나 폐쇄성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개방화보다는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다양성과 분권화에 초점을 둔 새로운 인사제도 개혁의 논리와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즉 우리 공직사회에 뿌리 내려온 중앙집권적인 인사체제를 탈피하고. 개념 조직과 집단의 목성에 따른 다양성을 감안한 분권화된 인사관리 체계를 구축할 것과. 이를 위해서는 공직 전반에 직위분류제를 도입하고, 공무원이 정부와의 계약에 의하여 그 책임과 권한 및 의무가 부여 되는 공무원 계약제의 도입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러한 직위분류제에 기반한 공무원 계약제를 이루어 나가기 위한 구체적 전략으로, 현재의 개방형 직위제도를 수정하여 더욱 발전시키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함을 건의한다. 첫째. 개방형직위의 대상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대상직위로 는 현재의 국장급이상 직위에서 그치지 말고, 과장급이하의 전재 직위 에로 그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하며, 그 비율은 현재 20%에서 출발하여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나감으로써, 종국에는 100%에 이르도록 추진해 나가야 한다. 둘째, 직위분류제 전면도입의 중간단계로서 실시되고 있는 개방형직위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i) 개방형직위에 임명되는 계약직 공무원의 취약한 신분을 강화하여, 계약기간이 만료되더라도 그 실적이 우수한 자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경력직의 신분으로 계속 공직에서 근무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 한다. 또한 민간으로 돌아갈 경우에는 원래의 직위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한다. ii) 개방형직위에 임명되는 경력직 출신에 대하여는, 신분보장을 인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계약직 공무원과 동등한 입장에서 계약에 의하여 임명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형평성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Recently, the Civil Service Commission employed the strategy of establishing an "the Open Employment Position System(OEPS), which is expected lo open 20% of grade 1 - 3 positions in central department The aims of this reform are lo provide increased flexibility and effectiveness, and to create a more competitive workplace in Korean Government But this OEPS have some problems and obstacl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urrent OEPS, and to suggest more advanced and realistic alternatives. From the case study of the Position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USA, this study finds as follows. First, most federal employees are career employees, and thus protected by merit principles on the basis of adequacy of their performance* Second, `Open Recruit System` and `Decentraliz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are two m£u?r tools to make government productive. This study finds that OEPS are not enough to increase flexibility in Korean Public Personnel Management, because only 20% of grade 1-3 positions are opened To reform the rigid management system, and to make the effective and realistic change, all of the public positions must be opened. After all. this study suggest that current OEPS policy must accomodate `the Pbsi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Contract Recruitment System*. The concrete strategies to institutionalize `the Posi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Contract Recruitment System* in Korean Govern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open employmeni position must be increased from 20% to 100% incremenUilly. Second, the range of open employmeni position must be enlarged from `grade 1-3 position* to `grade 4-9 position`. Third, all appointees of OEPS, not only non-career employees but also career employees, equally have to make a contract with government.

      •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 of Technology Integration and Teaching Practices

        서원석(Won-Seok Suh)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1 사이버사회문화 Vol.2 No.2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을 교수자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적 실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자는 심층 인터뷰, 교수자 관찰, 그리고 이차적인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삼각측정을 통하여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수자 인식 및 장애요소들과 관련하여 세 가지의 중요한 주제(의미)를 발견하였다. 첫째, 다수의 교수자들이 교수적 활용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도입의 필요성에 대하여 합의적인 생각을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과도한 수업자료 및 요구되는 수업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표출하였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교수자들로 하여금 테크놀로지를 교수적인 목적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방해되는 요소인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둘째, 테크놀로지의 적극적인 교수적 활용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 상황적 요소들이 발견되었다. 즉, 테크놀로지의 교수적 활용에 있어서 교수자들의 인식이나 활용 역량보다 사전 경험이나 교수전략의 부재가 보다 영향력을 가진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인 테크놀로지 접목을 위한 사후 지원의 필요성이 다수의 교수자들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특히, 많은 교수자들이 집중적이고 개인화된 교육의 필요성을 표출하였다. 특히, 교수자 동료들이 테크놀로지를 성공적으로 교수 활용한 사례들은 교수자 본인들로 하여금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하여 자기 성찰적 의식을 강화함과 동시에 매우 긍정적인 도전을 주는 요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방법의 현주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며, 아울러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더 나은 교수 및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효율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 of technology adoption and integration in learning along with teaching practices from instructors’ perspectives. Through triangulatio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instructor observation, and secondary data analysis, three significant themes were drawn regarding how instructors had perceived technology integration into teaching and what barriers they had against their teaching practices. First, a majority of instructors were not in accord with the necessity of technology adoption for their teaching. They had expressed concerns on excessive course materials and activities in curriculum, which are interpreted as hindrances of taking their active role in integrating technology into instructional practices. Second, there were latent and situational barriers that affected the activ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 One of the influential factors to instructional practices with technology was the absence of prior experienc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with technology rather than perception or technical skills. Third, the demand of follow-up support for successful technology integration was shown by a large number of instructors. In addition, many of instructors expressed the necessity of customized and focused training. Especially, it was shown colleagues’ successful innovation practices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a very positive influence that had promote reflective thinking and challenge the instructional use of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tate of instructional utilization of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instructors and also suggest efficient approach to support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 학습태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서원석(SUH, Won-Suk),김경수(KIM, Kyung-Soo),김석우(KIM,SUK-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 학습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효능감과 학습태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교사관계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2(KEEPⅡ)의 1차년도 자료 중 일반계 및 자율계 고등학생 2학년인 5,929명을 최종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태도는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아효능감은 진로성숙도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 효과를 주어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셋째, 자아효능감은 교사관계만족도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이 진로성숙도와 교사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통해 실제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 실질적 시사점과 정책적 의사결정의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teacher satisfaction, and academic attitude in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is study, the first year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Panel 2 (KEEPⅡ) 5,929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teacher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fficacy has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ttitude through career maturity, and thus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ttitude through teacher satisfaction, and thu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not only 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and teacher satisfact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ir academic attitude.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actual high school education can have practical implications and basic data for policy decision making.

      • 공직 조기 퇴직자의 사회진출 실태분석 및 활용방안

        서원석 ( Won-seok Suh ) 한국행정연구원 1997 기본연구과제 Vol.1997 No.-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구축하기 위하여, 정부부문에서는 정부조직의 축소와 민영화, 정부인력의 감축 등의 대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정부혁신시대에 있어서 정부의 인력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특히 정부조직에 축소와 민영화로 인하여 초래될 것으로 예상되는 공무원 잉여인력에 대하여 정부는 어떤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조기퇴직이 불가피한 공직인력에 대하여는 정부는 어던 대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인가? 이러한 점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내용은 먼저 각국의 정부혁신사례를 살펴보고, 각국에서 행해진 인력정책들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로서 정부혁신과정에서 예상되는 인력관리의 단계와 전략을 도출해 보았다. 또한 우리나라 조기퇴직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우선 각종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민간과 공직의 퇴직실태 및 조기퇴직실태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공직 퇴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공직 조기퇴직자의 활용대책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론으로는 먼저 정부 인력관리의 장기적인 목표와 방향에 있어서 장기적인 대책으로는 구가인력의 총체적인 활용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국가인력의 총체적인 활용은 정부와 민간간, 중앙과 지방간, 부처와 부처간의 인력이 유동성 있게 움직이며, 활용되는 체제의 구축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정부와 민간간, 중앙과 지방간, 부처와 부처간, 기업과 기업간 공히 개방형 인사제도의 확립이 요구되며, 동시에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움직이는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보가 요구된다. 이러한 개방적이고 신축적인 공무원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폐쇄적이고 경직된 구조를 타파하고, 신분보장에 안주하거나 관례답습적인 행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민간에서 도입되고 있는 연봉제와 성과금제를 공직사회에 점진적으로 도입하면서, 장기적으로는 공무원계약제와 공무원단체활동의 동시허용 등의 대안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단기적인 대책으로는 대대적인 정부구조의 개편과정에서 발생되는 잉여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i) 정부조직내에서의 유연한 인력 재배치 방안과, ii) 적극적인 민간 취업알선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먼저, 정부내부에서의 인력활용을 위해서는 우선 정부인력에 대한 총정 원제를 도입할 것과, 이 총정원의 범위내에서 필요한 인력과 잉여인력이 각 기관간에 서로 원활하게 교류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인력정보은행의 설치 및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운영을 제안하고 있다. 잉여인력에 대한 적극적인 취업알선을 위하여는 공직퇴직인력에 대한 취업정보를 제공하는 독자적인 취업정보제공서비스를 제공과, 조기퇴직 공직인력의 민간분야 취업알선을 전담하는 조직으로써 행정자치부 인사복무국에 과단위 전담조직의 설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 한 공무원의 조기퇴직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제도로서는 근무경력이 20년에 미달하는 공직자에게도 적절한 `조기퇴직수당`이 지급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할 것과, 공무원에 대하여도 고용보험을 적용해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eek Korea government`s best policy of workforce management in the era of government innovation. Especially, this study was focused on following two questions: what is the best policy about management of surplus workforce that is derived from reduction and privatization of government organization? And what is the best policy about early retired employee in government sector? This study considers the cases of innovation and workforce policy which is performed in other countries. And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actual condition of early retirement employee in Korea through the statistical data sour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early retired employees, an questionaire survey was carried out. 111 early retired employees and 404 employees retired by the age limit responded to the survey. The followings ar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In a long term, the government should increase flexibility of total human resources management(H.R.M). In order to increase flexibility, the workforce is moved and utilized elastically among public-private, central-local, and inter-department field. In order to establish and manage such a flexible public personnel management system, the annual salary system and the result-oriented salary system should be introducted into government sector, and gradually `the life tenure system` must be changed to `the contract system of public employee.` If `the contract system of public employee` is fixed, the right of collective bargaining should be permitted to public employee. In a short term, the researcher makes two policy recommendations to absorb surplus workforces: i) Flexible redeployment system of human resources within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ii) Active job mediation of early retirement employee for private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