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이버대학생의 교육서비스가 학습동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욱(Lee, Wook),변광인(Byun, Gwang-In)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2 사이버사회문화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원격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습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이버 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학습동기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주요변수는 교수자가 제공하는 교육서비스, 학습동기, 그리고 만족이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해 교육서비스 품질은 기존의 서비스 품질 측정 요인으로 사용되고 있는 SERVQUAL 22개 항목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서비스 특징에 맞게 수정한 것으로 서비스품질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사이버교육은 면대면 학습이 가능한 집합교육과는 달리 학습자 스스로의 자기 조절이 중요한 만큼 학습자로 하여금 동기를 유발할 수 있고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동료들의 우호적인 분위기, 학습과정에서의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통한 사이버 교육의 활성화, 학습과정에서 집중력이 분산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세분화, 교육내용의 적합성과 구성에 초점을 두고 설계를 하여야 학습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ion effect of education service affecting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cyber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end, the E-learning service quality was measured with SERVQUAL which was widely employed in academic research area. From rich survey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the three factors of E-learning service quality such as concreteness, certainty, responsiveness and sympathy a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users' learning satisfaction, but the credibility is not. For the satisfaction, the academic motivation and program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program factor has relatively mor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than the academic motivation factor does. For the learning motiv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otivation and flow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 and also, the flow factor has more of an effect than the motivation factor on learning achievement. This resul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cyber training environment, and the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satisfy the learners needs.

      • 모바일 교육 서비스의 국내외 현황 및 모바일 교육 서비스 시대를 준비하는 사이버대학교에 대한 제언

        이주민(Ju-min Lee)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0 사이버사회문화 Vol.1 No.1

        원격교육과 e‐러닝의 차세대 형태로 모바일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교육은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사이버 대학교 뿐만 아니라 일반 오프라인 대학에서도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국외 대학교와 국내 대학교들의 모바일 교육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모바일 교육 서 비스를 준비하는 사이버대학교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국외 대학들은 웹 기반의 교육 컨텐츠를 모바일 교육 서비스로 확장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모바일 포털 및 웹 사이트를 통해 모바일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온오프라인 대학 모두 모바일 교육 서비스 수립을 위한 연구 및 방향에 대해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반면, 국내 대학들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 구축은 빠르게 도입하고 있으나 교육 컨텐츠 및 서비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늦은 발걸음을 하고 있다. 또한 대학교가 주도권을 잡고 있다기 보다는 학생 주도로 자발적인 앱 개발을 통해 캠퍼스 생활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오프라인 대학에 비해 사이버대학은 강의와 같은 학습관리 관점에서 접근을 하고자 하나 아직은 강의수강 정도의 시범적인 서비스 단계이다. 미래 교육의 커다란 방향이며 사이버대학의 미래 경쟁력을 키워줄 것이라 기대되고 있는 모바일 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사이버대학교는 1) 모바일 기기 특성 및 사용자를 고려한 모바일 교육서비스 체계를 수립하고, 2) 유연한 시스템 구조와 서비스 활성화 체계 구축 및 이를 위한 대학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3) 사이버대학교 중심의 미래지향적인 모바일 교육 서비스에 대한 조직 구성이 필요하다. Researchers have emphasized m‐learning as the next paradigm of e‐learning in the education research area. Since smart phones, such as i‐phones, have become popular, universities have started to develop mobile campuses and make planes for their education services in the m‐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introduces various cases of m‐learning in international universities and domestic universities. This paper relates the current m‐learning status of not only traditional universities but also cyber universities. For cyber universities, this research provides the next steps as m‐learning leader.

      • 사이버대학교 영어학과의 인터넷커뮤니티 분석

        박은영(Eun-Young Park)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3 사이버사회문화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영어학과의 인터넷 커뮤니티의 운영 및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은 인터넷 커뮤니티가 교수적, 관리적, 사회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분석방법에 의거하여 본 연구는 4개의 사이버대학에 영어 관련 학과의 인터넷 커뮤니티의 역할을 조사한다. 사이버대학 영어학과의 인터넷 커뮤니티는 대학 홈페이지, 다음, 싸이월드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대부분 조교나 학과장 교수가 운영자의 역할을 하면서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하였다. 2012년에 게시판에 올라온 글들을 중심으로 분석이 진행되었는데, 결과로는 첫째, 활성화되지 않는 게시판이 많이 있었고, 게시판의 재정비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인터넷 커뮤니티는 대부분 사회적, 관리적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교수적 역할은 미흡하였다. 또한 페이스북, 블로그, 트위터와 같은 다양한 SNS가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채팅과 같은 실시간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인터넷 커뮤니티는 이러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와 같은 결과에 의거하여 계속적인 변화와 발전이 필요하겠다. This research discusses the management and roles of Internet community when engaging with e-learning of English courses in cyber university. Previous researches identify that the roles of Internet community involve the instructional, organizational, and social tasks.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role,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Internet community in English related department of four cyber universities. Internet communities were made in university homepage, Daum, Cyworld, and so on. In most cases, the teaching assistant or department chair took the role of a manager, and encouraged students' participation. Bulletin boards and writings of 2012 were analyzed. In conclusion, at first, there were many boards which were not used actively, so the reorganization of the boards are necessary. Secondly, it is revealed that Internet community played the social and organizational roles but not the instructional roles. Next, more diverse ways of SNS such as facebook, blogs, twitter are to be considered. Finally, synchron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like online chatting is recommended in Internet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ementation ideas for developing Internet community were suggested. Since Internet community plays a critical role in e-learning, it must be equipped with an appropriate set of skills and attributes.

      • 사이버교육에서 실재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혜영(Kim, Hye-Yung),이준엽(Lee, Jun-Yup),조용대(Jo, Yong-Dae),오태헌(Oh, Tae-Hun)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2 사이버사회문화 Vol.3 No.2

        본 연구는 온라인 대규모 강좌의 실재감과 상호작용의 정도를 규명할 목적으로 사이버대학의 교육요소와 강의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강좌에서 실재감의 중요성을 유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온라인 강좌의 개발과정에서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실재감 중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온라인 강좌 개발 시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LMS 기능 활용 관련 요인이 강의 콘텐츠 관련 요인에 못지않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한 강의 콘텐츠 개발에 대한 강조 뿐 아니라 교수자의 강의실 운영에 대한 관심도 제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강의 흥미로움과 학생 수준 고려 요인의 영향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강좌 개발 시에 강의 수강 학생의 수준과 니즈를 충분히 고려하여 흥미로운 주제와 내용을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factors of Cyber Education and the level of lecture satisfaction, in an attempt to define ‘presence’ of the large size lecture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level of interac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presence’ in on-line lectures was ascertained as being substantial. Second,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were found to be exceedingly consequential. Third, the factor regarding the usage of LMS function, among the factors affecting ‘presence’, proved itself to be as influential as one concerning the lecture contents. Lastly, it was found that amongst the various factors making impact upon ‘presence’, the appeal of the lecture and consideration for the student level are extremely crucial elements.

      • 사이버대학 평가 체제 개선을 위한 학습 평가 현황 분석연구

        김현숙(Kim, Hyun-Sook),박은영(Park, Eun-Young)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2 사이버사회문화 Vol.3 No.2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의 평가 체제 개선을 위하여 학습 평가 현황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사이버대학교의 양적 팽창과 더불어 질적 관리 중에서 특히 학습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현행 사이버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평가들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5개의 사이버대학교에서 영어관련 과목들을 대상으로 평가 방법을 조사하였다. 과목에 따라서 평가방법은 상이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사이버대학에서 교양필수로 채택하고 있는 과목이 영어과목인 고로, 영어와 관련된 과목들을 먼저 주된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로는 대부분의 시험, 과제물 및 토론은 텍스트에 기반을 두어 실시되었고, 간접 평가, 결과 지향적 평가에 치중됨을 보였다. 이는 웹기반 교육을 실시하는 사이버대학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주는데,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및 영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의 평가방안이 필요하며, 수행평가 및 전자포트폴리오와 같은 직접평가의 도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형성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의 과정을 평가할뿐 아니라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피드백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의 확립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학습평가방안 분야에서 개선을 위한 지침을 제공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valuations implemented at cyber universities, and to present the proper ways to evaluat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educational evaluation systems of five different cyber universitie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most exams, reports, and discussions were done in a text-based format, which belonged to indirect and product-oriented tests. This suggests some different evaluation systems should be considered in web based education.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and e-portfolios can be the alternative for this, and the system for formative assessment should be made as well. In addition, the feedback of the instructors should be given after the tests and reports are completed, and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ests should be utilized for both the professor and the learner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cyber universities as a reference work, and will become a cornerstone upon which the quality of cyber universities can improve.

      •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 of Technology Integration and Teaching Practices

        서원석(Won-Seok Suh)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1 사이버사회문화 Vol.2 No.2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을 교수자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적 실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자는 심층 인터뷰, 교수자 관찰, 그리고 이차적인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삼각측정을 통하여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수자 인식 및 장애요소들과 관련하여 세 가지의 중요한 주제(의미)를 발견하였다. 첫째, 다수의 교수자들이 교수적 활용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도입의 필요성에 대하여 합의적인 생각을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과도한 수업자료 및 요구되는 수업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표출하였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교수자들로 하여금 테크놀로지를 교수적인 목적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방해되는 요소인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둘째, 테크놀로지의 적극적인 교수적 활용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 상황적 요소들이 발견되었다. 즉, 테크놀로지의 교수적 활용에 있어서 교수자들의 인식이나 활용 역량보다 사전 경험이나 교수전략의 부재가 보다 영향력을 가진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인 테크놀로지 접목을 위한 사후 지원의 필요성이 다수의 교수자들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특히, 많은 교수자들이 집중적이고 개인화된 교육의 필요성을 표출하였다. 특히, 교수자 동료들이 테크놀로지를 성공적으로 교수 활용한 사례들은 교수자 본인들로 하여금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하여 자기 성찰적 의식을 강화함과 동시에 매우 긍정적인 도전을 주는 요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방법의 현주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며, 아울러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더 나은 교수 및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효율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 of technology adoption and integration in learning along with teaching practices from instructors’ perspectives. Through triangulatio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instructor observation, and secondary data analysis, three significant themes were drawn regarding how instructors had perceived technology integration into teaching and what barriers they had against their teaching practices. First, a majority of instructors were not in accord with the necessity of technology adoption for their teaching. They had expressed concerns on excessive course materials and activities in curriculum, which are interpreted as hindrances of taking their active role in integrating technology into instructional practices. Second, there were latent and situational barriers that affected the activ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 One of the influential factors to instructional practices with technology was the absence of prior experienc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with technology rather than perception or technical skills. Third, the demand of follow-up support for successful technology integration was shown by a large number of instructors. In addition, many of instructors expressed the necessity of customized and focused training. Especially, it was shown colleagues’ successful innovation practices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a very positive influence that had promote reflective thinking and challenge the instructional use of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tate of instructional utilization of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instructors and also suggest efficient approach to support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 Screen Quota as Dependent Development Mechanism and Korean Films in the 1990s

        Dong-Yoon Kim(김동윤)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1 사이버사회문화 Vol.2 No.1

        이 연구는 1990년대 후반 한국 영화 발전을 어떠한 이론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가? 라는 단순한 물음에서 비롯되었다. 다양한 지표에 대한 분석을 통해, 1990년대 후반 한국 영화 발전과 성장이 스크린쿼터의 결사적 사수와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는 당시까지 문화산업 영역에서 지배적 담론이었던 문화제국주의 혹은 종속이론 관점과는 다른 접근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당시 한국 영화 발전의 제도적 토대를 스크린쿼터에 두었을 때, 스크린쿼터는 헐리우드 영화의 가공할만한 위력 속에서 한국 영화가 일차원적 생존을 넘어 나름의 의미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즉 카르도소(Cardoso)가 자신의 의존적 발전 이론에서 분명하게 밝히고 있는 ‘상대적 자율성(relative autonomy)’ 기제로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더불어, 1990년대 후반 미국과의 통상압력과 협상 과정 속에서 한국 정부와 영화계가 ‘상대적 자율성’ 기제로 채택한 스크린쿼터에 대한 완고하면서도 일관된 입장은 헐리우드 영화산업에 맞 서 우리 중심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장르를 표방하고, 한국 영화의 자생적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회로 작동한 것으로 이해했다. This paper sought to accentuate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n cultural imperialism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quota and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film industry. In Korea, the screen quota has been energetic resource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film industry, involving its social and cultural values or norms, as compared to those in Hollywood films. Evidence was collected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film industry in the late 1990s which can be understood with the dependent development theory of Cardoso, not with the prior dependent theory of Frank.

      • 북한이탈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 유형에 관한 연구

        김현경(Hyun-Kyung Kim)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1 사이버사회문화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는 인터넷이라는 도구를 전혀 활용할 수 없었던 북한이탈 청소년들이 그들을 둘러싼 남한에서의 사회적 지지체계(부모, 교사, 교우와의 유대관계)가 그 개인의 인터넷 활용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북한이탈청소년의 건전한 인터넷 활용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조사는 북한이탈청소년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사회복지관, 하나센터, 대안학교, 북한이주자지원센터를 활용하는 14세부터 만25세 미만의 북한이탈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2011년 2월~4월까지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 청소년이 부모⋅교사⋅교우와의 유대(지지)가 많을수록 인터넷 정보형을, 적을수록 인터넷 오락형을 추구하였다. 또한 친구와의 유대가 많을수록 인터넷 관계형을 지향하였다. 하지만 부모⋅교사와의 유대의 많고 적음은 관계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논의 및 함의에서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주 양육자가 자녀의 인터넷 활용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해야 할 것인가, 그리고 교사 및 교우 체계가 북한이탈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에 미칠 수 있는 영향 등을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various type of social capital on the pattern of internet use among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00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living in Seoul, Incheon, and KyoungGi Province during from Feb. to April, 2011.. Their age was between 14 and 24. The analyses method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atterns of internet usage were 'relationship-oriented usage', ''information-oriented usage', and 'pastime-oriented usage'. The types of social support were 'tie-to parents', 'tie-to-teachers' and 'tie-to-friends'. The result revealed that 'much more tie-to parents', 'much more tie-to-teachers', 'much more tie-to-friends' affected 'information-oriented usage'. But 'less tie-to parents', 'less tie-to-teachers, and 'less tie-to-friends' affected 'pastime-oriented use'. Finally, important playing role of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s social supporter was indicated and discussed.

      • 온라인 쇼핑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이미지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관호(Kim, Kuan-Ho),이원준(Lee, Won-Jun)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2 사이버사회문화 Vol.3 No.2

        최근 마케팅 환경은 이미 전통적인 오프라인 시장에서 인터넷 중심의 온라인 시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온라인 시장에서의 기업 간 경쟁도 점차 심화되고 있다. 다양한 온라인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지만 특히 소비자들을 직접 상대해야 하는 온라인 소매상인 인터넷 쇼핑 기업들의 경쟁은 매우 심한 편이다. 사이트 간 이동이 자유로운 온라인상에서 소비자들의 로열티를 구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실제적으로 온라인 소매상에 대한 소비자 로열티는 취약한 실정이다. 또한 개인 정보 유출 등 인터넷 쇼핑 기업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는 이들 기업들이 보다 사회적으로 큰 책임감을 가질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이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제 활동들이 기업의 직접적 성과인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온라인 쇼핑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와 기업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와 기업 이미지는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modern society has entered into online economy and related online market is booming while power of traditional offline market is diminishing rapidly. Also competition among online corporation is becoming fierce today and consumer loyalty also constantly diminished. Also as a way of differentiation, online shopping sites' social responsibility is bocoming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brand image and repurchase intentions of online shopping site. This paper applies the concep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to the online shopping context. The results show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positively influences on brand image and the corporate image. Furthermore, both brand image and corporate image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s. Thus, online shopping sites should consider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factors such as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to build strong brand attitude and increase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