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직경 및 식립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분석

        변나영,남은혜,윤영아,김일규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고정원 보강을 위하여 사용하는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직경 및 식립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미니임플랜트의 직경 및 피질골 표면에 대한 식립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15 × 15 × 20 mm3의 육면체에서 식립되는 피질골의 두께를 1.0 mm로 하였으며, 미니임플랜트의 길이를 8.0 mm로 고정하고 직경은 1.2 mm, 1.6 mm와 2.0 mm, 식립각도는 피질골 표면에 대해 90˚, 75˚, 60˚, 45˚ 및 30˚인 3차원 유한요소 모델로 제작한 다음, 미니임플랜트 두부중심에 각도 변화 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200 gm의 수평력을 가하여 응력 분포 양상과 크기를 3차원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골에 나타나는 최대 응력은, 식립각도와 무관하게 미니임플랜트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응력이 감소하였고, 대부분의 응력이 피질골에서 흡수되었다. 또한 미니임플랜트의 직경이 증가하고 식립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피질골과 접촉면적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피질골에 나타나는 최대응력은 식립각도 보다 피질골 표면과 접촉하는 미니임플랜트 위치가 더 유의한 연관성을 가졌다. 이상의 결과는 미니임플랜트 사용 시 골내 응력 분포는 식립각도의 감소보다는 미니임플랜트 직경 증가와 미니임플랜트와 피질골 표면의 접촉위치가 미니임플랜트의 유지 및 안정성에 영향을 주므로 미니임플랜트의 식립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diameter of the mini-implant and insertion angle to the bone surface. To perform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 hexadron of 15 × 15 × 20 mm3 was used, with a 1.0 mm width of cortical bone. Mini-implants of 8 mm length and 1.2 mm, 1.6 mm, and 2.0 mm in diameter were inserted at 90˚, 75˚, 60˚, 45˚, and 30˚ to the bone surface. Two hundred grams of horizontal force wa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mini-implant head and stress distribution and its magnitude were analyzed by ANSYS,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ximum von Mises stresses in the mini-implant and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were decreased as the diameter increased from 1.2 mm to 2.0 mm with no relation to the insertion angle.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showed that the stress was absorbed mostly in the cortical bone, and little was transmitted to the cancellous bone. The contact area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diameter and decreased insertion angle to the bone surface, but maximum von Mises stress in cortical bone was mo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contact point of the mini-implant into the cortical bone surface than the insertion angle to the bone surface.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maintenance of the mini-implant is more closely related with the diameter and contact point of the mini-implant into the cortical bone surface rather than the insertion angle.

      • KCI등재후보

        군인의 우울수준에 따른 DAS(Draw-A-Story)검사 반응차이 연구

        변나영,이근매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3 임상미술심리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군인의 우울수준에 따른 DAS검사의 반응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 구대상은 군장병 247명으로 DAS검사와 BDI검사로 상위 20%에 해당하는 40명 우울집단, 하위 20%에 해당하는 40명을 비 우울집단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 DAS 그 림의 형식적 분석, 내용적 분석, 자극그림 선택의 차이에 대한 결과를 SPSS WIN 12.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 χ²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인들은 DAS 검사의 내용적 분석에 있어 정서내용, 자아상, 자기보고 점수가 우울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군인들은 DAS 검사의 형식적 분석에 있어 공간사용 점수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세부사항 사용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났다. 셋째, 군인들이 선택한 DAS검사의 자극그림은 우울집단이 ‘공룡’과 ‘화산’그 림을, 비 우울집단이 ‘면사포 쓴 여인’과 ‘중성적 아이’ 그림을 많이 선택하였다. 이러한 연 구 결과는 DAS검사가 군인의 우울과 비 우울 상태를 진단하고 변별하는데 있어 유용성을 입증하는 것과 동시에 부적응 병사들을 선별하여 우울과 관련된 문제 등을 예방하고 군인 관련 상담, 미술치료 분야에서 우울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ldiers' difference in result after DAS test was executed. DAS test and BDI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from 247 soldiers. Then, 40 soldiers that take up 20% of those with high depression level and 40 soldiers that take up 20% of those with low depression level were used in the research. They were tested on formal and content-wise analysis of DAS picture test and stimulating picture. SPSS WIN 12.0 was used to manage the result as well as the T-test and χ²test.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part of DAS test, emotional content, ego, and self-re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level. Second, the formal part of DAS test, the use of spa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use of detai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he stimulating picture test, soldiers that choose pictures of dinosaurs and volcano were in a depressed group while those that choose pictures of woman in veil and a child of whom sex cannot be told were under not-depressed group. DAS test has proven to be able to discriminate between soldiers under depression and those that are not through this research. Moreover, this research helps to prevent for the problems related with depression of soldiers and provides basic reference for soldiers counselling area and art therapy for the future study on depression.

      • KCI등재

        딸기 품종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지표성분 밸리데이션

        용예슬,이송미,변나영,선상욱,김민정,장서우,장원석,이선이,임순호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6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xidant capacity of 20 strawberry extract using the DPPH and ABTS assay and HPLC-DAD validation method. The total polyphenolic and flavonoids contents of 20 strawberry extracts were 22.77- 107.61 mg TAE/100 g FW and 17.58-44.12 mg QE/100 g FW. The Aiberry and Elie star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hat was 1540.6-1124.0 μmol TEAC/100 g FW and Derunoka showed the highest activit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6352.3-4592.3 μmol TEAC/100 g FW and FA23 showed the highest activity. The HPLC-DAD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ellagic acid results showed high linearity in various concentration ranges, and the limit of detection was 2.35 μg/mL. The limit of quantification was 7.12 μg/ mL. Relative standard deviation values from intra-and inter-day precision were less than 5.31%. Recovery rate at 10, 50, and 100 μg/mL, respectively, were 100.0-101.0%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less than 5.30%. These results provide viable information for the valid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in strawberry fru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