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공격 행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소담,이영옥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2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공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B시 소재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만 8세의 발달장애(심한) 남자 아동이다. 본 연구는 주 1회 40분씩 총 40회기 진행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BCL 6-18)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발달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회기별 변화에 따른 내재화 문제와 공격 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불안/우울, 위축/우울, 신체 증상)와 공격 행동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T점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 중 불안/우울, 위축/우울, 신체 증상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공격 행동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 완화와 공격 행동 완화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의 미술치료 연구동향

        김진희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9 임상미술심리연구 Vol.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in Korea to see how art therapy research is being utilized for preschoolers,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18 who are subjects to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Based on analysis criteria, all the data were divided by areas of art therapy, age, the types of disabilities and the area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support.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for preschoolers,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as highly utilized at 49.7 percent. Second, arts therapy for subject to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was used more for preschooler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ird, arts therapy research was mostly for developmental disorders includ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intellectual disability. Fourth,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support areas were used in the order of adaptive behavior, cognition, communication, behavioral development, and sensory mot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future directions of art therapy research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as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인 18세 미만의 장애 유·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연구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에 따라 예술심리치료연구의 영역별, 연령별, 장애유형별, 발달재활서비스 지원영역별로 나누었으며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유·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예술심리치료연구는 미술치료가 49.7%로 높게 활용되고 있었다. 둘째,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연구는 장애 청소년에 비해 유·아동을 대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셋째,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의 미술치료연구는 자폐와 지적장애를 포함한 발달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넷째,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영역은 적응행동, 인지, 의사소통, 행동발달, 감각·운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향후 미술치료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 아동화 분석 앱을 활용한 아동화 특성과 양육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분석

        이성옥,김현진,한성욱,정광조,이은봉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2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인공지능 아동화 분석 앱 개발과 실제 적용사례에 관한 것이다. 아동화 분석 앱 개발과 효과 검증, 그리고 양육 스트레스와 아동화에 나타난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이 주요 연구주제이다. 연구대상은 A도 관내 유치원에 재학중인 만 3세∼5세 아동과 해당 학부모 2,856명이다. 한국 부모 양육 스트레스 검사와 아동화를 연구도구로 하여, 인공지능 아동화 분석 앱, 만족도 조사 등을 활용하고 비모수 방법인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양육자 중 22.8%가 보통 수준 이상의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고위험 수준에 해당하는 경우가 7.1%였다. 둘째, 아동화를 분석한 결과 난화 수준의 그림을 그리거나 지시를 이해하지 못해서 주제를 그리지 못한 아동화가 상당수 있었다. 셋째, 양육 스트레스와 아동화 특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대부분의 그림 항목에서 수렴타당도가 확인된 것은 색 사용, 사지 생략, 덧칠, 인물 표현 방식 등이었다. 넷째, 인공지능 아동화 분석 앱을 이용한 아동화 분석에 있어서 상당한 수준의 일관성과 타당도를 확보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아동심리 선별기능 장치로서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양육자 만족도 조사에서 아동심리 이해도 증진, 시스템 만족도, 타인에게 권유하려는 의사 등에서 97%, 양육자 스트레스 이해도 증진 96%, 재이용 의사 74% 등 전체적으로 90%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유경미,조용태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1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 No.1

        집단미술치료는 지적장애아동에게 집단 구성원 간 협동작품을 함께 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을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표출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행동양식과 사고 및 감정을 모방하는 과 정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습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 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K-WISC-Ⅲ 지능검 사에서 지능이 55이하인 지적장애 또는 다운증후군으로 진단된 아동이고,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이 낮은 초등학교 고학년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은 독립변인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하고 종속변인을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설정하였으며, AB설계에 따라 기초선(5회기), 중재(15회 기), 유지(5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또래에게 시각적으로 주의기울이기’, ‘또래의 지원을 적절하게 수용하기’ 행동에서 공통적으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기 때문에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유지 또한 효과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psychotherapy program on social interaction amo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group art psychotherapy program effect the social interaction amo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how change in sessions process of group art psychotherapy on social interaction amo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5 elementary school children diagnosed as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with Down's Syndrome; they scored under 55 on the K-WISC-Ⅲ, and under 121 on the Social Interaction Rating Scale(Walker, & McConnell, 1988; Walker et al, 1988). The experimental condition was demonstrated by AB design, included baseline(5 sessions), intervention(15 sessions), and maintenance(5 sessions). The results found in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Behavior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increased at the intervention levels and social interaction also were maintained.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정재원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1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시의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목적을 안내하고, 참여의사를 밝힌 1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6명, 통제 집단 6명으로 구성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주 1∼2회 9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심리적 소진 척도와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 검증을 실시 하였다. 자료 분석은 Wilcoxon Signed Rank 검증과 Mann Whitney U 검증을 사용하였 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 의 심리적 소진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서비스 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집단미술 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해결과 치료를 위해 특수학교와 심리치료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burnout and job stress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2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from K city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fter they were introduced of the purpose. They were divided into 6 members of experimental and 6 members of contro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were 90 minutes each and were implemented once or twice a week in total of 10 sessions. The research methods were burnout inventory and job stress scale and they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For data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 Tests and Mann Whitney U Test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decreasing burnout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Secondl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decreasing job stress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To sum up those research results,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burnout and reducing job stress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service. Therefore, we expect that group art therapy could be applied to special schools and the psychotherapy field for curing and solv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피학대아동과 일반아동의 나무그림 반응특성

        신현복,이근매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1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피학대아동과 일반아동들의 나무그림 반응특성을 나무그림의 형식적, 내용적 으로 분석하여 반응의 차이를 살피고, 피학대아동의 학대 후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이 나무 그림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 는 피학대아동은 C지역 ○ ○아동학대예방센터에 피학대아동으로 신고 된 초등학교 4-6학년 50명을 선정하였다. 일반 아동은 초등학교 4-6학년(성별무시)을 대상으로 K-CBCL(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의 문제 행동점수에서 T점수 60이하로 임상증후가 보이지 않는 아동 50명을 선정하였다. 피학대아동 과 일반아동의 나무그림을 Koch의 기준을 참조로 특수지표로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자 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각 집단의 나무그림 반응특성 각 항목에 빈도차이는 x²검증을 통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학대 아동의 나무그림의 형식적 분석에 있어서 그림자/음영과 지면선 항목을 제외한 크기/기울 기와 위치, 필압/선의성질과 지우기 항목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피 학대아동의 나무그림의 내용적 분석에 있어서 줄기, 가지, 수관, 기타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경향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나무그림검사를 통하여 피학대아동들의 심리적 불안, 위축과 충동적 행동특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나무그림검사가 피학대아동을 선별하는 보조적인 도 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grasp reaction characteristics of abus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by analyzing forms and contents of their tree drawing, and to check how abused children's psychological responses after being abused are presented on the tree drawing. Study subjects are, first, 50 abused children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6th grades who are reported as abused children by ○○child-abuse prevention center in C area and, second, 50 normal children (males and females)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6th grades who received less than 60 of T-score on K-CBCL. Tree drawings were analyzed by a special index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study purposes based on Koch standard. For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SPSS WIN 12.0 was adopted and x²-verification used to exhibit comparative rea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 of abused children and the group of normal children with frequency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formal analysis, the tree drawings of abused children tended to place the tree only at the sides, either left or right, use significantly many short lines and draw with weak or dim lines. Second, in content analysis, the trees that abused children drew showed scars and knots on the tree stems or trunk with significant frequency, long but narrow stems and stalks, stalks with thicker ends with smaller middle, the father from the trunk the thicker the branches, unbalanced thicker stems with narrower branches, falling leaves or fruits, and peculiar trees. In conclusion, we could see a feeling of psychological uneasiness, shriveling, an impulsive act of abused children, the tree drawings presented chance of application as additional tool that select abused children.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불안과 우울감소를 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신현복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2 임상미술심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불안과 우울감소를 위하여 콜라주 미술치료를 실시 한 임상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자폐아동 어머니 1명이며, 연구목적에 맞게 3단계로 구성한 콜라주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1회, 60분씩 총10회기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사 회불안척도(K-FNE)검사와 우울척도(BDI)검사를 사용하였고, 자기보고식 체크리스트와 회기별 변화과정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사후점수를 원점수로 대응 비 교분석하였으며, 회기별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콜라주 미술치료가 장 애아동 어머니의 사회불안 감소에서 효과적이었다. 둘째, 콜라주 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요약하면, 콜라주 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 회불안과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콜라주 미술치료의 일반화를 위한 후 속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collage art therapy carried out for the reduction of social disturbance and depression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e subject is a mother of an autistic chil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in three steps and was carried out for 10 times on a weekly basis, 60 minutes per session. K-FNE and BDI were employed in the study and self check list and sessional changing process was collected. Collected data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y comparing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scores to raw scores, and the sessional changing process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First, collage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social disturbance of the mother of the disabled child. Second, collage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of the mother of the disabled child. In summar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generalize collage art therapy since it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social disturbance and depression of the mother of the disabled child.

      • KCI등재후보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배운,공마리아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7 임상미술심리연구 Vol.7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search the changes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artistic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retarda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t preschool and self-expression reaction per each s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a 4 year old boy who goes to Y preschool located in D city, received pediatrician's opinion that he has a developmental problem. The research tools were self-expression ability test and self-expression improvement scale. For the self-expression ability test, self-expression rating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Rakos & Schroeder(1980) and translated by Byeon Changjin and Kim Seonghee(1980), was used. For the self-expression improvement scale, the one that was by Ji Hannae(2011). Data process first, for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bility, pre, post and follow up self-expression ability tests were don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For the change of artistic self-expression, pictures drawn at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were evaluated with the use of the and the results were bar charts. Second, for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t the class, self-expression ability was divided into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lements based on pre, post and follow up reports, Third, for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per each session, the changes of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self-expression were compared based on CCTV recording. This study self-expression ability and artistic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retarda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t preschool reaction per each session caused a positive change. 본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로서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능력 및 미술적 자기표현 변화와 어린이집 학급에서 자기표현 변화와 회기별 자기표현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소재의 Y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 남아이다. 연구도구는 Rakos와 Schroeder(1980)가 개발한 것을 김성희(1982)가 번안한 자기표현평정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미술적 자기표현능력의 측정을 위해서 지한내(2011)가 사용한 자기표현 향상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첫째, 자기표현능력 변화는 자기표현능력 검사를 사전ㆍ사후․추후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하였으며, 미술적 자기표현의 변화는 프로그램 초기, 중기, 후기에 그린 자유화에 대해서 자기표현향상 척도를 이용해 그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비교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에서 학급생활에서의 자기표현의 변화는 담임교사의 사전․사후․추후보고를 토대로 언어적․비언어적 요소로 나누었다. 셋째, 회기별 자기표현의 변화는 CCTV 녹화와 음성녹음을 토대로 언어적․비언어적 자기표현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지체 유아는 자기표현능력 및 미술적 자기표현 점수의 향상을 보였으며, 어린이집의 학급과 회기별 과정에서도 긍정적인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최장만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0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A시의 B초등학교 돌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 중 다문화 아동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임의 배치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 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검사와 사회성 검사와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사전 사 후로 검사해 비교 분석하였다. 사전ž사후 검사 결과는 평균 및 표준편차,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 아 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동적학교생활화(KSD) 변 화에서도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의 인물상의 행위, 양식, 역동성, 인물상의 특징, 사용된 상징에서 변화를 보였다. 학교생활의 부정적인 부분들로 해석되었던 표현은 감 소하고 학교생활에서의 또래와의 상호작용과 사회성이 높아졌음을 나타내는 표현이 증가한 것으로 변화가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how group art therapy program affects self-esteem and socia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multicultural children from B elementary school emergency care children in A city, Gyeonggi-do,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self-esteem scale test, the sociality scale test and the dynamic school life (KSD)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test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were calculated by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pre- and post-test of school life (KSD). The change was analyzed that the expression that was interpreted as negative parts of school life in the behavior, style, dynamics, character characteristics, and symbols of post-test in the character image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test, and the expression that showed the increase in interaction with peers and sociality in school life increased.

      • KCI등재후보

        선택적함구증 아동의 활동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권소선,김현정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0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선택적함구증 아동을 대상으로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언어·행동 변화 및 투사그림검사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학 년에 재학 중인 10세 아동 1명이다. 연구대상자에게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주2회, 1회 기에 45분, 총 30회기 진행하였다. 활동중심 미술치료의 실시에 따른 언어·행동 변화 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진행을 회기별 기록하여 기술하였으며, 투사그림검사의 변 화를 살펴 보기위해 HTP, KSD, LMT를 프로그램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그림을 분석 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회기 별 언어·행동변화에서 초기에 인사를 하지 않으며 입모양으로 표현하다가 후기로 갈 수록 언어로 인사를 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활동을 말로 표현할 정도로 언어적 의사 소통이 신장되었다. 또한, HTP, KSD, LMT의 분석결과에서도 사회적 상호작용과 현 실검증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택적함구증 아동에게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언어적 의사소통이 신장 되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과 현실 감 검증의 긍정적 효과를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language, behavior, and projecti ve test by applying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to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T he subject of study is one 10-year-old child attending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 chool.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45 minutes in a ses sion, and 30 sessions in total to the participant. The program progress was recorded f or each session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a ctivity-oriented art therapy, and HTP, KSD, and LM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 r the program to analyze the participant's draw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 ollows. As a result of conducting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verbal communication was expanded enough to express greetings and to communicate in his own language as the program progresses to the later sessions from the early stages of not expressi ng greetings at all. In addition, the results of HTP, KSD, and LMT analysis showed that social interaction and reality verification ability were improved. In conclusion, by applying activity-oriented art the rapy to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verbal comm unication was improved, and it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of improving social intera ction and re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