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 독거노인공동거주 실태조사 연구- 예천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

        배정인,차남현 한국주거학회 201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actual living conditions of the rural communal living system for elders who live alone through building survey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nd evaluate the living conditions in terms of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and the appropriateness as an environment for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residents of four ‘communal living houses for elders who live alone’ in Yecheon-gu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buildings were very poor when evaluated in terms of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particularly safety supportiveness and accessibility were significantly poor among living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but were excellent in terms of human relations due to aging in place. In order for the communal living system for elders who live alone to become an effective measure for solving the problem of residence of elders who live alone in rural areas, the advantage of utilizing the human infrastructure of the existing community at low social costs should be strengthened but efforts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s by applying the concept of environment design for the elderly are strongly required. 이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공동거주의 집’ 거주노인들의 주생활을,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파악하고, 그 거주 성능을 노인환경디자인개념에서 제안하는 성능 측면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게이트키퍼를 통한 유목적표집과 편의표집을 병행하여, 네 곳의 ‘독거노인공동거주의 집’에 거주하는 22명의 노인을 선정했다. 관찰결과 ‘독거노인공동거주의 집’의 물리적 환경은 노인환경디자인개념이 거의 적용되지 않았다. 심층면담분석결과, 거주노인에게 있어서 ‘독거노인공동거주의 집’은, 공동거주노인들에게 ‘자발적 행동을 유도하는 곳’이며, 공동거주노인들이 ‘사회적 지지를 얻는 곳’, ‘도구적 편익을 얻는 곳’, ‘사생활 확보하러 나갈 수 있는 곳’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귀납되었으며, 평가 준거로 삼은 노인환경디자인의 개념 즉 접근성, 지원성, 안전성, 쾌적성, 자율성, 독립성, 사회성, 프라이버시, 개인화 중, 프라이버시와 개인화를 제외한 제반 성능이 ‘독거노인공동거주의 집’에 있음이 드러났다. 이는 대부분 물리적환경이 아니라 인적환경이 우수하기 때문이었다. 향후 독거노인공동거주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적 환경의 우수성에 기인하는 장점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함과 동시에 물리적 환경의 열악함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Nalbuphine HCL (Nubain)을 이용한 균형마취

        배정인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8 계명의대학술지 Vol.17 No.2

        Nalbuphine hydrochloride을 사용하여 균형마취를 시행한 20례의 환자 중 남녀는 각각 8례, 12례이며 연령은 평균 49±6.8세였다. 수술시간은 평균 207±33.0분이며 회복시간은 평균 247±34.8분이였고 평균 동맥압은 술전 93.6±7.8 mmHg, 피부절개시 116.2±18.0 mmHg, 술후 95.1±14.8 mmHg였다.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위 절제술 12례, 난관절제술 2례, 담낭 절제술 6례였다. 동맥혈 가스분석치를 비교하면 술전 PH는 7.39±0.03 PaCO₂는 42.9±2.8 mmHg, PaO₂는 91.9±6.42 mmHg이고 술후 PH는 7.35±0.02, PaCO₂는 41.4±1.2 mmHg, PaCO₂는 93.8±3.91 mmHg이였다. 호습수는 술전 평균 1.±1.8회/분, 술후 평균 19±1.4회/분이였다. 합병증은 구역질 및 구토, 두통, 발한, 구내건조 및 호흡저하는 1례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nalbuphine hydrochloride를 사용하여 균형마취를 시행한 결과 nabuphine hydrochloride는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호흡저하가 적은 약제이며 마취종료 후 의식회복이 빨랐으며 약 자체의 독성이 적고 효력이 강해서 술후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약이다. 또한 부작용이 적고 약값이 비싸지 않기 때문에 균형마취시 사용하기에 적당한 약제라고 사료된다. Nalbuphine hydrochloride produces agonistic analgesic effects at the kappa-receptor and antagonistic effects at the mu-recepto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modynamic effects of nalbuphine hydrochloride during balanced anesthesia. 20 patients,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hysical status ⅠandⅡ, were scheduled for elective surgery. All patients were administered nalbuphine hydrochloride and glycopyrrolate IM 60 min. for premedication. Induction was established with pentothal sodium and succinylcholine after preoxygenation. 1.0 ㎎/㎏ of nalbuphine hydrochloride, and non-depolarizing muscle relaxant were administered for maintenance.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9±6.8 years and there were eight men and twelve women. The duration of the operation and recovery time were 207±3.3 min. and 247±34.8 min. respectively. The mean arterial pressure was 93.6±7.8 mmHg preoperatively, 116.2±18.0 mmHg intraoperatively, 95.1±14.8 mmHg postoperatively. The arterial blood gases were analysed for the evaluation of ventilatory function. The PaCO₂ was 412.9±2.8 mmHg preoperatively, 41.1±1.2 mmHg postoperatively. The PaO₂was 91.9±6.42 mmHg preoperatively, 93.8±3.91 mmHg postoperatively, pH was 7.39±0.03 preoperatively, 7.35±0.02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vital signs, arterial blood gas analysis and respiratory rate measured at preoperativ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states. Taken these all together, we conclude that nalbuphine hydrochloride is the safe drug for balanced anesthesia because of its cardiovascular stability, no respiratory disturbance, tolerable postoperative pain, rapid recovery of consciousness, few side effects, drug toxicity and low cost of drug.

      • 간질수술에서 Pofol^�과 Diprivan^� 의 비교임상연구

        배정인,손은익,이창영 대한정맥마취학회 1998 정맥마취 Vol.2 No.4

        서론: 간질수술시 이용되는 propofol은 마취유도가 신속하고 의식회복이 빠른 정맥마취제이다. 의식회복 후 절제할 간질부위를 정확하게 확인한 후 가장 근접한 부위까지 절제함으로 후유증을 적게할 수 있다. 간질수술환자에서 propofol제품인 Pofol^?? (동국제약, 한국)과 Diprivan^?? (ICI Pharm, Co, UK)을 이용하여 전정맥마취를 시행한 후 혈역학적 변화 및 효능을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두군 모두 12명의 환자를 각각 대상으로 하였으며 마취유도는 2㎎/㎏를 일회용량으로 주입하고 마취유지는 100 mcg/㎏로 하였다. 수술단계는 6단계로 분류하였다. (Ⅰ: Carniotomy, Ⅱ: Electrocorticography, Ⅲ: Functional mapping, Ⅳ: Cortical resection, Ⅴ: Post-resection, Ⅵ: Craniotomy closure). 결과: 두군 모두 동맥혈가스 분석과 활력징후를 분석하였따. 의식회복시간은 Diprivan^??군(10.6±3.22min.)보다 Pofol^??군(8.9±2.64min.)에서 약간 빨랐다. 다른 결과는 두군간에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Pofol^??과 Diprivan^?? 모두 수술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간질수술에 이상적인 정맥마취제이다. 의식회복시간은 Diprivan^??보다 Pofol^??이 약간 빨랐고 술중 뇌피질파 및 기능적 뇌지도화검사시 약간 도움이 되었다.

      • 완전무치악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

        배정인,Jeong-In Bae 대한심미치과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 Vol.32 No.2

        디지털 방법을 사용한 무치악의 임플란트 치료계획은 surgical guide design으로 구체화된다. Surgical guide를 제작할 때, 우리는 먼저 최종 보철의 형태를 가상공간에 구현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식립 계획을 구체화하게 된다. 그러나 완전무치악 환자는 치아배열의 기준이 없고 악간관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최종 보철의 형태를 짐작하기 어려워 surgical guide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때 기존의 만족스러운 총의치나 부분의치, 잔존치 등이 존재한다면 그 치아배열이 가상적인 최종 보철의 reference가 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reference가 부재하거나 만족스럽지 못하다면, 진단용 목적으로 총의치를 제작하되 이를 구내에서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surgical guide를 제작할지라도 구내 상황에 따라 implant의 위치가 계획한 것과 다르게 식립될 수 있으며, 만약 guide의 positioning이 잘못된다면 그 오차는 모든 implant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guide 수술이 오히려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다. 본 기고에서는 치아 배열의 reference가 될 수 있는 자료들을 적절한 시기에 채득하여 이를 디지털 공간에 이전 및 통일된 좌표계로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또한 이렇게 수립된 식립계획을 현실의 구강에 적은 오차로 이전 및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여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무치악 가이드 디자인의 프로토콜 정립에 대해 의견 개진하려 한다. Treatment planning of edentulous patient with digital method is materialized by designing the surgical guide. When designing the surgical guide, we first implement the shape of the final prosthesis in the virtual space and then materialize the implantation plan based on this.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make surgical guides for edentulous patients as their lack of both the reference for the arrangement of teeth and interocclusal relationship makes it hard to envision the shape of the final prosthesis. If there exists good partial or complete dentures or residual teeth, its teeth arrangemen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virtual final prosthesis and the subsequent surgical guide. If such a reference is absent or unsatisfactory,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omplete denture for diagnostic purposes and verifying it on patient's mouth is necessary and use it as a new reference for the virtual final prosthesis. But even if a surgical guide is produced through the reference from the thorough reflection of the virtual final prosthesis, when we use it in the surgical field, the intraoral condition of the patient may make the implants deviated from planned in the surgical guide. In the worst case, if the positioning of the surgical guide on the mouth is incorrect, it can lead to a catastrophic error that displaces all the implant, in which case the guided surgery would be much worse than the non-guided one. In this article, we will discuss how to obtain references of tooth arrangements in a timely manner and align or register them into a unified coordinate system in digital space, and also introduce how to transfer such an implantation plan from the virtual world into the patient's mouth of real world with minimum error. And lastly, I would like to express my opin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rational and systematic protocol of guided surgery of the edentulous patient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간질수술환자의 Propofol 정맥마취

        배정인,전재규,정성원,손은익 대한정맥마취학회 1998 정맥마취 Vol.2 No.3

        서론: 간질치료는 인류의 역사를 통하여 오랫동안 난제였으며 많은 연구가 지속되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료는 약물을 통한 것이었고 최근에 와서야 비로소 수술에 의한 근본적 치료에 접근하게 되었다. 간질수술을 위한 마취방법은 여러 가지로 시행할 수 있으나 본원에서 술중 일정 시간 동안 환자를 각성케 하여 외과의와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며 정확한 병변부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게끔 뇌피질의 지도화와 뇌파의 측정을 정확히 하고자 propofol을 지속적으로 정주하는 방법으로 마취를 시행하였다. 방법: 간질치료를 위한 뇌수술을 받은 환자 4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감시장치를 부착한 후 수술하는 자세를 취한 후 propofol 100mcg/㎏/min을 지속적으로 점적투여하여 의식소실 후 30분, 뇌피질 지도화를 위해 점적투여를 중단하고 각성 후 30분과 재차 점적투여하여 의식소실 후 30분, 2시간, 4시간 및 수술종료 후 30분의 동맥혈가스 검사와 혈압 및 심박수를 비교하였으며 또 의식회복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동맥혈가스 검사상 이산화탄소 분압은 술전 41±4.34㎜Hg, 의식소실 후 30분 44±5.28 ㎜Hg, 각성 후 30분 42±6.35㎜Hg, 재차 의식소실 30분, 2시간 4시간 후 각각 46±6.37 ㎜Hg, 44±4.79 ㎜Hg, 44±6.51 ㎜Hg였으며 마취회복 후 30분은 36±3.98 ㎜Hg였다. 동맥혈 산소분압은 술전 101±31.3 ㎜Hg였고 술중 비경 카눌라로 3 L/min의 산소를 투여한 각각의 산소분압은 190~210 ㎜Hg 정도의 결과를 보였다. Propofol의 점적투여 평균 시간은 8.3시간이었고 propofol 점적투여 중단 후 의식회복되는 시간은 평균 9.2±3.7분 소요되었다. 결론: 뇌파검사와 뇌피질 지도화를 위해 술중 의식회복 및 각성이 필요한 뇌수술을 위한 마취시 propofol의 지속적 점적투여는 propofol의 신속한 의식회복과 오심, 구토 등의 부작용이 적은 장점으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약제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