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머신러닝을 사용한 탄성파 자료 보간법 기술 연구 동향 분석

        배우람,권예지,하완수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20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3 No.3

        We acquire seismic data with regularly or irregularly missing traces, due to economic, environmental, and mechanical problems. Since these missing data adversely affect the results of seismic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we need to reconstruct the missing data before subsequent processing. However, there are economic and temporal burdens to conducting further exploration and reconstructing missing parts. Many researchers have been studying interpolation methods to accurately reconstruct missing data. Recently,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such as support vector regression, autoencoder, U-Net, ResNet, and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have been applied in seismic data interpolation. In this study, by reviewing these studies, we found that not only neural network models, but also support vector regression models that have relatively simple structures can interpolate missing parts of seismic data effectively. We expect that future research can improve the interpolation performance of these machine learning models by using open-source field data, data augmentation, transfer learning, and regularization based on conventional interpolation technologies. 탄성파 탐사를 수행할 때 경제적, 환경적 제약 또는 탐사 장비의 문제 등에 의해 탄성파 자료의 일부가 규칙적또는 불규칙적으로 손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자료 손실은 탄성파 자료 처리와 해석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라진 탄성파 자료를 복원할 필요가 있다. 탄성파 자료 복원을 위해 재탐사 또는 추가적인 탐사를 진행하는 경우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사라진 탄성파 자료를 정확히 복원하기 위한 보간 기법 연구를 진행해왔다. 최근에는 머신러닝 기술 발달에 따라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고, 다양한 머신러닝 기술들 중에서도 서포트 벡터 회귀, 오토인코더, 유넷, 잔차넷, 생성적 적대 신경망 등의 알고리즘을 활용한 탄성파 자료의 보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복잡한 신경망 모델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한 서포트 벡터 회귀 모델을 통해서도 뛰어난 보간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추후 머신러닝 기법들을 사용하는 탄성파 자료 보간 연구들에서 오픈소스로 공개된 실제 자료를 이용하며 데이터증식, 전이학습, 기존 기법을 이용한 규제 등의 기술을 활용하면 탄성파 자료 보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Design of a Transceiver Transmitting Power, Clock, and Data over a Single Optical Fiber for Future Automotive Network System

        배우람,주하람,정덕균 대한전자공학회 2017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7 No.1

        This paper proposes a new link structure that transmits power, clock, and data through a single optical fiber for a future automotive network. A pulse-position modulation (PPM) technique is adopted to guarantee a DC-balanced signal for robust power transmission regardless of transmitted data pattern. Further, circuit implementations and theoretical analyses for the proposed PPM transceiver are described in this paper. A prototype transceiver fabricated in 65-nm CMOS technology, is used to verify the PPM signaling part of the proposed system. The prototype achieves a 10-13 bit-error rate and 0.188-UI high frequency jitter tolerance while consuming 14 mW at 800 Mb/s.

      • KCI등재

        머신러닝을 사용한 단층 탐지 기술 연구 동향 분석

        배우람,하완수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4

        단층은 근원암에서 형성된 석유 가스 등의 탄화수소가 이동하는 통로이자 탄화수소를 가두는 덮개암의 역할을 할수 있는 지질구조로, 탄화수소가 축적된 저류층을 찾기 위한 탄성파 탐사의 주요 대상 중 하나이다. 하지만 기존의 유사성, 응집성, 분산, 기울기, 단층가능성 등 탄성파 자료의 측면 방향 불연속성을 활용하는 단층 감지 방법들은 전문지식을 갖춘 해석자가 많은 계산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단층 해석에필요한 계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최근에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연구들이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단층 해석에는 다양한 머신러닝 기술들 중 서포트백터머신, 다층퍼셉트론, 심층 신경망, 합성곱 신경망 등의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연구는 독자적인 구조의 모델을 사용한 연구뿐만 아니라,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 성능이 검증된 모델을 활용한 연구 및 단층의 위치와 주향, 경사 등의 정보를함께 해석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현재까지 단층 위치 및 단층 정보 해석에 가장 효과적인 기술은 영상 처리 분야에서 검증된 U-Net 구조를 바탕으로 한 합성곱 신경망인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합성곱 신경망에 전이학습 및 데이터 증식 기법을 접목하면 앞으로 더욱 효과적인 단층감지 및 정보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조오현 선시조에 나타난 ‘공(空)’의 세계

        배우,이승하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7

        이 논문은 조오현 선시조의 사상적 바탕인 공사상(空思想)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차별과 분별이 없는 ‘공(空)’의 세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아울러 조오현 선시조의 형성 배경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공사상의 ‘공(空)’이란 용어는 불교사상의 근본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말로, 존재하는 모든 것은 영원한 실체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조오현의 공사상은 반야공의 자유 세계와 중도(中道)의 평화 세계, 그리고 불이(不二)의 평등 세계로 나타난다. ‘반야공의 자유 세계’는 반야경에서 말하는 공사상을 바탕으로 펼쳐지는 세계다. 이 세계를 나타내는 「아지랑이」에서는 불변하는 실체가 없다는 깨달음을 보여주고,「허수아비」에서는 자유자재한 삶의 경지를 나타낸다. ‘중도의 평화 세계’가 잘 나타난 「숲」에서는 대립을 넘어서는 평화로운 세계, 즉 중도의 세계를 나타낸다. ‘불이의 평등 세계’는 둘이 아닌 ‘하나’인 세계, 즉 평등한 세계다. 「내가 죽어 보는 날」에서는 분별하고 대립하는 ‘내’가 죽고, 깨침의 ‘내’가 다시 태어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데, 이런 깨침은 삶과 죽음이 둘이 아닌 하나인 세계를 나타낸다. 이런 ‘공(空)’의 세계를 나타내는 조오현의 선시조는 전통적인 한시 형식의 선시는 물론 한글 선시와도 변별성을 보이며 새로운 문학 양식으로 자리 잡는다. ‘공(空)’의 세계는 궁극적으로 자유 · 평화 · 평등의 세계를 나타낸다. This paper did research on how the World of ‘Empty’ free of relative discrimination and Vikalpa (distinguishment) is manifested with the ‘Empty’ idea, which i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Jo, Oh-hyun’s zensijo, as the center. In addition, this paper considered the background of Jo-Ohhyun zensijo formation and its characteristic. The term of ‘Empty(空)’ in ‘Empty’ idea is the word indicating the fundamental concept of Buddhism, meaning that there is no eternal noumenon(substance) in all things which exist. Jo, Oh-hyun’s ‘Empty’ idea is represented as the free world of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ā, the peaceful world of the Middle Path, and the equal world of ‘No Second.’ ‘The free world of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ā is the one stretched out on the basis of the ’Empty’ idea mentioned by 『Prajñā-Paramitā』 In his work 「Haze」 plainly portraying this world, the author shows Awakening that there is no unchangeable substance while representing a free and bold realm of life through his work 「Scarecrow」. In his zensijo 「Forest」 portraying ‘the World of the Middle Path’ quite explicitly, the author expresses a peaceful world beyond confrontation, namely, the World of the Middle Path. ‘The Equal World of No Second’ represents the World of ‘Oneness’ other than two, i.e. the equal world. In his work 「The Day I am trying dying」, the author is sending a message that ‘‘I’ ,who is discriminating and confronting, die, and ‘I’ of enlightenment am reborn’, and such enlightenment represents the world where life and death are one other than two. Jo, Oh-hyun’s zensijo representing the world of empty like this, is getting established as a new literary form while showing a differentiation not only from zen poetry of traditional Chinese poetry form but also from Hangeul zen poetry. Ultimately, the World of ‘Empty’ represents the world of freedom, peace and equality.

      • 비탈면의 지하공동 평가를 위한 물리탐사의 적용

        배우,이봉직 한국교통대학교 2015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0 No.-

        In this karst terrains, sinkhole-cave systems are causes of the most serious geological hazard, because they threaten water storage, ground collapse and lead to ground-water contamination. And karst features may cause many complicate problems in course of construction stage. Limestone rock slope collapse due to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mestone during slope construction has been reported to occur frequently. The collapse of the slope is composed of limestone cavities in the slope due to chemical weathering, weathered residual soil due to rapid weathering, the collapse caused by the filling of the unfavorable direction and blocked joints and joints in clay can be categorized the causes and types.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safety of the cut slope and to check the underground cavity, the integrated geo-physical surveys have been applied, such as resistivity survey methods.

      • KCI등재

        합의경계 중심의 지적재조사사업 경계설정 개선에 관한 연구

        배우재(Bae, Woo Jae),송명경(Song, Myong Kyong),이용호(Lee, Young Ho) 한국지적학회 2014 한국지적학회지 Vol.30 No.2

        지적종사자의 숙원 사업인 지적재조사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지적이 가지고 있는 근원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여 국가의 중요한 공간정보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본 연구는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기존의 현실경계 위주의 경계설정 방안에서 소유자 공감을 유도할 수 있는 합의 경계 설정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합의경계에 따른 경계설정이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경계설정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합의의 도출을 위한 조정안을 도입하고 도로중심선과 토지의 정형화를 활용하고 관련 법률과의 검토를 통하여 경계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합의경계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현실경계와의 괴리는 제도적으로 보완하고자 하였다. 결정된 경계는 지상경계화 하도록 하고 경계점표지 등록부를 시스템화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합의서의 도입으로 법적인 안정성과 업무처리의 신속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It have a chance to solve the original problems to have Korean cadastre so as to launch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n earnest and this project will support the increasing industry of spatial information for the country. Thus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the mutual agreement boundary determination instead of the real ground boundary in order to push forward to this project. Also it is introduced that the process of boundary determination was founded a new method using by the mutual agreement boundary determination. There are necessary of the boundary determination using the special methods a kind of the mutual agreement for delivering the mutual agreement, the practical use of formalizing of land shape, the consideration of relational regulations. The boundary gap between the mutual agreement and real ground boundary is complemented by the cadastral institution. This paper introduces that the decided boundary make to mark the ground monument with the monument book of parcel points. Finally, this determination of the mutual boundary is possible to secure the legal stability and to provide the efficient business proc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