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훈립(Park, Hun-Rip),김종민(Kim, Jong-Min),이승일(Lee, Seung-Il),최현성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3 No.-
교통에 이용되는 모든 차량은 통행의 목적이 종료되는 시기의 장소에서 반드시 보관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주차문제는 자동차화(Motorization) 시대의 도래에서 부터 시작된 문제로, 도시교통의 큰 문제가 되어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된 것은 ’80년대의 자동차 대수가 급증하기 시작한 시기와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주차문제라 함은 주차시설의 부족, 불법주차, 주차배회차량 등을 연상할 수 있는데, 자가용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나타난 주차문제는 주차 시설의 난립, 주차장의 영세화, 주차요금의 불합리성, 주차행정의 미흡 등으로 다양한, 많은 문제가 산적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문제는 도시의 규모와 상관없이 대도시를 포함한 중·소도시, 심지어는 읍, 면소재지에서조차 비슷한 양태를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도로공간에서는 차량의 통행과 주차를 함께 수용할 만한 시설여건이 충분히 갖춰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주차의 각 형태에 적합한 주차공간의 운영형태를 다양화하게 공급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는데 특히, 설치가 쉽고,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한 노상주차(연석주차, Curb Parking)의 합리적 설치 및 효율적인 운영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박훈립(Park, Hun-Rip),김종민(Kim, Jong-Min),이승일(Lee, Seung-Il)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3 No.-
우리나라에 있어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3개년 목표의 실행계획(Action Program)에 대한 필요성은 매년 지방자치단체에서 총 예산의 14~19%에 달하는 교통투자예산의 투입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개선효과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설정된 교통계획 하에서 3년 단위의 연차별 실행계획 수립을 통해 단년도(單年度) 교통투자 예산의 합리성을 제고하여 순차적으로 교통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제도의 효율성 있는 실행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는 막대한 투자재원이 소요되는 교통계획 집행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두 가지 요소인 교통계획부분과 투자예산부분에 대하여 교통계획의 경우 통일된 평가기준 및 평가체계가 미비하고, 종합계획의 조정 및 교통계획 수립지침이 부재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교통투자예산 편성의 경우도 주로 전년도 답습주의에서 탈피하지 못하여 투자예산의 경직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통제목적의 품목별 예산제도를 적용하고 있으나, 교통개선사업은 단년도에 그치지 않고 수 년 동안 지속되는 사업이 많아 중·장기적으로 투자예산을 편성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1년의 회계년도에 그치고 있어 사업의 지속성 확보가 어려운 실정으로 인해 중·장기적인 시각에 기초한 합리적인 정책목표의 설정과 정책방향의 기준 없이 재원배분이 이루어져 투자재원배분의 비효율성과 낭비 및 비능률을 초래하고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호흡곤란 평가에서 우심실 박출계수의 의의
이정은 ( Jung Eun Lee ),민보람 ( Bo Ram Min ),박재석 ( Jae Seok Park ),박훈표 ( Hun Pyo Park ),전미정 ( Mi Jung Jun ),원경숙 ( Kyung Sook Won ),최원일 ( Won Il Choi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0 No.6
배경: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호흡곤란은 일반적으로 폐활량에 반비례하나 유사한 폐기능에서도 서로 다른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우심실박출계수와 호흡곤란의 정도와 연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호흡곤란의 정도는 Medical Research Council (MRC) 호흡곤란척도로 분석하였고, MRC 4/5도인 중증군 24명과, MRC 2/3도인 중등증군 16명을 비교 분석하였다. 심전도게이트 일회통과법을 이용한 방사성동위원소 심조영술을 이용하여 우심실 박출계수를 구했으며, 안정시 동맥가스분석 및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기저 폐기능에서 잔기량의 예측치 평균이(%) 중증군에서(210±87) 중등증군(160±27)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P<0.03), 폐활량 및 확산계수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우심실 박출계수(%)는 중증군에서(25±8) 중등증군(35±6)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P<0.001), 동맥혈가스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우심실 박출계수가 독립적으로 호흡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밝혀졌다. 결론: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우심실 박출계수가 호흡곤란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Patients with COPD generally complain of very different degrees of dyspnea regardless of their pulmonary function. The study, we assessed the righ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in relation to dyspnea in COPD patient. Methods: The pulmonary function including the diffusion capacity was measured. The righ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RVEF) was measured using a first-pass radionuclide scan by multigated acquisition (MUGA). Forty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were stratified for dyspnea according to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MRC) scale. Moderate dyspnea and severe dyspnea is defined as MRC 2/3 (n=16) and MRC 4/5 (n=24) respectively. Results: The baseline pulmonary function tests including DLCO and the resting arterial blood gas were similar in the moderate and severe dyspnea group, with the exception of the residual volume (% predicted) (moderate 160±27, severe 210±87, p<0.03). The righ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was significantly (p<0.001) lower in the severe dyspnea group (25±8) than in the moderate group (35±6). The independent factor assess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vealed only the severity of dyspnea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VEF (p<0.02).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righ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would contributes to severity of dyspnea in patients with a similar pulmonary function (Tuberc Respir Dis 2006; 60: 631-637)
이경희(Kyung Hee Lee),이현진(Hyun Jin Lee),박훈일(Hun Il Park),홍은옥(Eun Ok Hong),송경식(Kyung Sik Song) 대한약학회 1997 약학회지 Vol.41 No.2
One hundred and seventy crude drugs were screened for prolyl endopeptidase (PEP) inhibitors. Among them, 80% methanolic extract of 18 medicinal plants such as Polygonum cuspidata, Sanguisorba officinalis, Eugenia caryophyllata, Rubus coreanus, Cinnamomum cassia (Cassiae Cortex and Cinammomi Ramulus), Rheum palmatum, Ulmus pumila, Sorbus commixta, Areca catechu, Uncaria sinensis, Terminalia chebula, Caesalpinia sappan, Nelumbo nucifera, Machilus thunbergii, Paeonia moutan, Elscholtzia patrini and Cynomorium coccineum inhibited more than 70% of PEP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40 ppm. The active principles of P. moutan, M. thunbergii, T chebula, A. catechu, S. commixta, R. palmatum, R. coreanus, E. caryophyllata and P. cuspidata were transferred into organic solvents, which showed more than 75% inhibition at 5 p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