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부임파절로 전이된 저분화암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박창우,김병헌,이헌실 대한내과학회 1987 대한내과학회지 Vol.32 No.3

        Identifiction of the exact histopathological types of metastatic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 is diagnostic problem, particularly in case of unknown primary site. We studied the subcellular morphology of 10 poorly differentated carcinomas by electron microscopy in order to get the exact histopathological types and primary site. After ultrastructural investigation, the exact histopathologic types of all cases were confirmed. Six case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two cases adenocarcinoma, one case small cell carcinoma and one case liver cell carcinoma. Of five cases that the primary site was unknown on clinical and histopathalogical studies, the primary site became known in two cases (lung and liver, one case each). The primary site of two cases were strongly suggested as biliary tract including gallbladder, and breast. The remaining one couldn`t known the primary site in spite of ultrastructural investigation. We conclude that ultrastructural examination of metastatic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 can help to identify the exact histopathological differentiation and the original cells.

      • 대학 및 지역사회 특성에 부합한 대학 사회봉사센터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박창우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05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한 사회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는 대학들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대학 사회봉사활동 운영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고, 대학사회봉사 전문가로부터 추천받은 5개 대학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자가 제안한 사회봉사활동 운영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봉사는 대학의 의무이고 사회봉사가 학생들을 성장시킨다는 사실들을 대학구성원에게 주지시켜, 사회봉사에 대한 대학구성원들의 인식을 변화시켜야 한다. 둘째, 실적위주의 형식적인 봉사교육보다는 학생들이 봉사활동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여건(사회봉사 전담교수확보, 사회봉사 1강좌 당 수강인원 제한, 봉사활동 후 적절한 피드백)을 우선 마련해야 한다. 셋째, 대학 및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봉사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지역사회 욕구조사 및 지역사회 복지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넷째, 충분한 예산 확보, 안정적 조직 구축, 봉사규정 제정 및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부 차원에서 사회봉사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고, 사회봉사평가는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노력, 지역사회 특성에 맞는 독창적인 프로그램 수행여부, 프로그램의 성과 확인 등 정성적 평가위주로 실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

        기독교사회복지의 구성 영역에 관한 연구

        박창우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사회복지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의 구성 영역(목적, 주체, 대상, 방법, 재원)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전문가 인터뷰, 델파이 조사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도 및 교회성장은 교회사회복지활동의 자연스러운 귀결이어야지 그 자체가 교회사회복지활동의 목적이 될 수는 없다. 둘째,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은 스스로 그리스도인임을 밝히는 그리스도인의 사회복지실천으로 그 목적과 방법이 성경적인 경우를 말한다. 셋째, 기독교사회복지의 대상에는 모든 인간이 포함되어야 한다. 넷째, 기독교사회복지를 실천함에 있어 기도, 찬양, 예배 등과 같은 형식은 반드시 표현되어야 하거나 배제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과 여건을 고려해서 적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사회복지를 실천하는데 있어 외부 기관의 재정적 지원은 기독교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For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this study arranged the component scope(objective, main agent, object, method, financial resources) of Christian social welfare.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used literature review, interview with experts and the method of Delphi survey. Main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angelism and growth of church shall be the natural conclusion of social welfare activities of church and growth itself cannot be the objective of social welfare activities of church. Second, practice of social welfare by Christians is to declare themselves that they are the Christians and its objective and method refer to the Biblical case. Third, all men shall be included in the object of Christian social welfare. Fourth, in putting Christian social welfare into practice, formality such as prayer, praise and service are not the ones that should be necessarily expressed or excluded, and must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situation and condition. Lastly, in fulfilling Christian social welfare, financial support from external organizations shall be used discreetly within reasonable limits without damaging identity of Christianity.

      • KCI등재

        기독교복지와 사회복지의 비교에 관한 연구

        박창우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7

        사회복지란 인간의 사회적 욕구 및 사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려는 조직적․체계적인 노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회복지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천되어왔다. 하지만 행복해지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삶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그 토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가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적 관점에 근거하여 기존의 사회복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와 한계를 지적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독교복지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신학관련 교수, 그리스도인 사회복지학 교수, 그리스도인 사회복지사, 사회복지 실천경험이 있는 목회자 등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독교적 관점에서 기존의 사회복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왜곡된 욕구 추구, 인간의 힘만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 하나님 형상으로 회복시키는데 실패, 제한적이고 선택적인 복지, 영적 욕구에 대한 간과 및 잘못된 영성 추구를 지적하였다. 또한 기존의 사회복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독교복지의 특징으로 전문가들은 인간의 진정한 행복을 추구할 수 있게 원조, 하나님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도움을 구해야 함, 하나님 형상의 회복, 하나님 나라의 확장, 기독교 영성 추구를 지적하였다. 향후 기독교복지의 발전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복지 실천 시 기독교의 기본 전제 적용, 신학과 사회복지학의 학제 간 연구, 기독교적 가치와 사회복지 전문성을 조화롭게 통합할 수 있는 기독교복지 교육 및 실천현장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Social welfare can be defined as an organized, systematic endeavor to increase human happiness by resolving man’s social desire and problems. Historically, social welfare has been practiced through diverse methods. Despite man’s incessant efforts to become happy, however, his life h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So what is the reason that social welfare has failed to make man happy after so many efforts directed so far in this regard? Based on a Christian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indicat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ocial welfare, and then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welfare that can solve them. To the end,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and Delphi method on the subject of theology-based professors, Christian professors of social welfare, Christian social workers, pastors experienced in practicing social welfare, etc. as well as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rom a Christian viewpoint, specialis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indicat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ocial welfare, such as distorted pursuit of desire, tendency to solve matters by human capacity alone, failure to recover the God’s image, limited and elective welfare, neglect of spiritual desire, and misguided pursuit of spirituality. They also pointed out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welfare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ocial welfare assistance in pursuing man’s true happiness, accepting God and seeking His help, recovery of image of God, expansion of Kingdom of God, and pursuit of Christian spirituality. For development of Christian welfare in the future, this study proposed applying the Christian prerequisite in executing Christian welfare,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theology and social welfare, providing Christian welfare education and practice fields that can unite Christian values and expertise in social welfare harmoniously.

      • 퍼지 모델 기반 피드백 선형화 제어 시스템의 강인 안정성 해석과 설계

        박창우,이종배,김영욱,성하경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1 No.3

        본 논문에서는 퍼지 피드백 선형화 제어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강인 안정성 해석과 제어기 설계방법을 제안한다. 제어 대상인 비선형 시스템을 모델링 하는데 있어서 Takagi-Sugeno 퍼지 모델 기법을 이용하고, 이때 발생할 수 있는 모델 불확실성과 외란을 고려한다. 모델링을 통해서 얻어진 폐루프 시스템에 대한 안정성 판별은 Diagonal Norm based Linear Differential Inclusions 으로의 구조 변환을 이용하여 강인 안정성 해석을 하였으며, 퍼지 피드백 선형화 제어 시스템을 안정화시키는 제어기의 이득을 얻기 위하여 LMI 최적화 계산법을 기반으로 한 수치 해석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강인 안정성 해석 및 제어 설계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한다. Systematical robust stability analysis and design scheme for the feedback linearization control systems via fuzzy modeling are proposed. It is considered that uncertainty and disturbances are included in the Takagi-Sugeno fuzzy models representing the nonlinear plants. Robust stability of the closed system is analyzed by casting the systems into the diagonal norm bounded linear differential inclusions and by converting the analysis and design problems into the linear matrix inequality optimization, a numerical method for finding the maximum stable ranges of the fuzzy feedback linearization control gains is also propo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 the robust stability analysis and control design examples are given.

      • KCI등재후보

        Robust Fuzzy Feedback Linearization Control Based on Takagi-Sugeno Fuzzy Models

        박창우,Mignon Park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4 No.4

        In this paper, well-known Takagi-Sugeno fuzzy model is used as the nonlinear plant model and uncertainty is assumed to be included in the model structure with known bounds. Based on the fuzzy models, a numerical robust stability analysis for the fuzzy feedback linearization regulator is presented using Linear Matrix Inequalities (LMI) Theory. For these structured uncertainty, the closed system can be cast into Lur'e system by simple transformation. From the LMI stability condition for Lur'e system, we can derive the robust stability condition for the fuzzy feedback linearization regulator based on Takagi-Sugeno fuzzy model.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nalysis is illustrated by a simple exa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