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박주범,정동열 한국문헌정보학회 20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4 No.4

        Library anxiety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elds that concerns user's affectivit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tudy. Considerable library users have been discovered to experience library anxiety according to researches. Although digital libraries are becoming more popular changing drastically from traditional libraries, few studies have addressed the measurement of digital library anxiety(DL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multidimensional digital library anxiety scale(DLAS)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library anxiety and digital libraries. It will become possible to define the construct of DLAS, provide its underlying dimensionalities, and find out how much they explain the construct.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LAS has been developed with 39 items representing seven distinct factors which were interpreted as affect, resources, know-how, security, language, technology, and task explaining 51.165% of DLA. Also, DLAS' characteristics about demographic variables and use pattern were found through the T-test and ANOVA analysis for each factor. 도서관 불안은 문헌정보학에서 이용자의 정서적 부분에 관한 대표적 연구로 인정 받아왔으며, 많은 도서관 이용자들이 정보이용 과정에서 도서관 불안을 경험하고 있으며 도서관 불안이 정보 활용에 제한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져 왔다. 오늘날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가장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도서관 환경은 전통적 도서관의 그것과 매우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도서관 불안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받는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DLAS)를 개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불안의 개념과 하위영역 등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DLAS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서적 문제, 자원, 이용지식, 보안, 언어, 기술적 문제, 과제 등 7개의 하위영역과 39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이 7개의 영역은 전체 디지털도서관 불안의 51.165%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이용 특성 변수를 사용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불안의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적 변인과 영향요인을 예측하였다.

      • KCI등재

        지식검색서비스 이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주범,정동열 한국정보관리학회 2004 정보관리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a web-based question-answer service and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 behavior of the service for a more efficient question-answer service plan.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the question-answer service in respect of reinforc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itself and the efficiency of question-answer services. The speciality, accuracy, and specificity including the variety of themes should be improved for more effective information. Also, interactivity, readiness, and convenience should be improved for a more efficient service. 본 연구는 지식검색서비스의 특성과 성능 분석을 근거로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등 지식검색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제반사항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요구를 보다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검색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이용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한 개선방안은 지식의 효과성과 검색서비스의 효율성을 강화시키는 요소를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지식 자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답변의 전문성, 정확성, 주제의 특성 및 다양성을 향상시켜야 하고, 검색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쌍방향성, 즉시성, 편리성의 측면을 강화시켜야 한다.

      • KCI등재

        일상적 만남의 담화분석을 통한 정보탐색행위에 관한 연구: 기러기엄마를 중심으로

        박주범,정동열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 정보관리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rough the casual interactions which are regular contacts with others as information sources in the context of ELIS.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using semi-structured one-to-one interviews with 9 wild-goose mot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sual interactions. We identified information need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rough the casual interactions and the major interpretative repertoires. 본 연구는 일상생활 정보탐색의 맥락에서 개인에게 생활의 모니터링 도구로 기능할 수 있는 주변 사람과의 반복적 접촉인 일상적 만남에 대해 탐색한 연구이다. 의도적 정보행위와 비의도적 정보행위의 조합인 일상적 만남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일상생활 정보탐색 이론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9명의 기러기엄마와 일대일 면접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상적 만남에서의 정보요구, 정보탐색과정, 정보탐색행위의 특성 등을 밝혀내고, 연구 참여자의 해석에 기초한 일상적 만남의 레퍼토리를 분석함으로써 정보원으로서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이버위협 관리를 위한 인터넷 위협 및 취약점 정보 수집기 설계 및 구현

        이은영,백승현,인성,주범,오형근,이도훈 한국융합보안학회 2006 융합보안 논문지 Vol.6 No.3

        초창기 보안은 침입차단시스템에 국한되었지만 현재에는 안티바이러스, 침입 탐지 및 방화벽과 같은 관련 정보보안 솔루션들이 많아지면서 이기종의 정보보안제품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이 개발운영되고 있다. 최근에는 통합보안관리체계를 넘어서서 웜바이러스 해킹 등 아직 일어나지 않는 사이버 위협을 관리해 능동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위협관리시스템이 보안업계의 새로운 관심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정보보호제품의 변화에 따라 수집정보도 다양화되어가고 있으며 사이버 위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정보보안제품들로부터의 수집되는 정량적인 이벤트 로그들뿐 아니라 Microsoft, linux, 오라클과 같은 범용 어플리케이션들의 취약점 정보, 웜바이러스 등의 악성 코드 정보, 또한 국제적 분쟁으로 인한 사이버징후와 같은 보안 뉴스들의 정성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위협 관리를 위한 정보수집의 일환으로 정량적인 정보와 정성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인터넷 위협 및 취약점 정보 자동수집기를 설계, 구현하였다. 제안된 수집기는 사이버위협을 관리하는데 있어 정량적인 정보 뿐 아니라 정성적인 정보를 함께 수집함으로써 사이버위협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아직 발생하지 않은 사이버 위협에 사전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Beginning flag security it was limited in Firewall but currently many information security solutions like Anti-virus, IDS, Firewall are come to be many. For efficiently managing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ESM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are developed and operated. Recently over the integrated security management system, TMS (Threat Management System) is rising in new area of interest. It follows in change of like this information security product and also collection information is being turning out diversification. For managing cyber threats, we have to analysis qualitative information (like vulnerabilities and malware codes, security news) as well as the quantity event logs which are from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of past. Information Threats and Vulnerability Auto Collector raises the accuracy of cyber threat judgement and can be utilized to respond the cyber threat which does not occur stil by gathering qualitative information as well as quantity information.

      • 네트워크 이상탐지를 위한 트리 기반과 인공 신경망 모델 성능 비교 연구

        최태정(Choi Tae Jeong),지인(Park Jiin),손상원(Son Sangwon),주범(Yun Joobeom)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네트워크 악성 트래픽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금융 사기, 침입, 테러 행위 같은 악의적 행동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이러한 위협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이상 탐지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악성 트래픽 탐지를 위해 트리 기반과 인공 신경망 기반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트리 기반 모델은 부스팅 계열의 LightGBM, XGBoost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신경망 모델로는 LSTM 기반의 AutoEncoder와 DNN을 이용하여 이상 탐지를 수행했다. 수행 결과 트리 기반의 부스팅 모델 XGBoost가 다른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균형 트리 기반이며 결정론적 모델인 특성이 높은 성능의 요인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